$\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일 스크러버 및 집진장치를 통한 바이오매스 가스화 공정 발생 타르 및 입자 제거 연구
Simultaneous Treatment of Tar and Particles Using Oil Scrubber and Bag Filter in Biomass Gasification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0 no.6, 2019년, pp.712 - 718  

김준엽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조영민 (경희대학교 환경응용과학과) ,  김상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스화(gasification)는 바이오매스로부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열화학적 변환을 통해 수소, 일산화탄소, 메탄 등으로 조성된 가연성 가스인 'producer gas'를 생산할 수 있다. 하지만 producer gas와 함께 타르(tar)를 비롯한 ash 등의 입자상 물질이 함께 생성돼, 발전 터빈이나 연소 엔진 등에 유입되어 고장을 일으키거나 배관 등에 축적되어 막힘 현상 등을 야기하므로 제거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roducer gas 중 타르 및 입자 제거를 위해 오일 스크러버(oil scrubber)와 집진장치를 도입하였다. 흡수용매로써 타르를 효과적으로 제거가 가능한 대두유를 사용하였고, 스크러버의 용매 온도에 따라 제거효율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실험을 통해 관찰하였다. 집진장치에는 타르로 인한 필터 눈 막힘 현상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pre-coating 기술을 도입하였다. Pre-coating에 사용할 물질로써 분말 소석회와 목탄계 활성탄(wood char)을 사용하였으며, 타르(tar)를 비롯한 입자 평균 제거 효율은 소석회를 pre-coating 물질로 사용 시 86%, 활성탄의 경우 80%로 나타났다. 스크러버와 집진장치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에는 평균 제거효율이 소석회는 88%, 활성탄의 경우 83%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ombustible producer gas composed of H2, CO and CH4 could be obtained by the thermal-chemical conversion of biomass. However, a large amount of particulate matters including tar generated causes the mal-function of turbines and engines or the fouling of pipelines. In this study, a wet scrubber usi...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섬유재질 필터를 이용하여 타르를 비롯한 입자상물질을 제거하였으며, 필터 장치로 유입되는 타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집진장치 전단에 스크러버를 도입하고, 그 유무에 따른 집진장치에서의 타르 및 입자에 대한 제거효율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섬유재질 필터를 이용하여 타르를 비롯한 입자상물질을 제거하였으며, 필터 장치로 유입되는 타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집진장치 전단에 스크러버를 도입하고, 그 유무에 따른 집진장치에서의 타르 및 입자에 대한 제거효율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스크러버에 사용되는 흡수용매로써 타르에 대한 흡수 효율이 좋은 대두유를 사용하였고[20], 집진장치에는 pre-coating 기술을 도입하여 producer gas 중 존재하는 타르로 인해 발생되는 필터 눈 막힘 현상 등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Pre-coat 물질로는 점착성을 가진 입자 제거에 대하여 99% 이상의 제거효율을 보인 소석회[19]와 함께 타르를 비롯한 유기물질 흡착능력이 있는 활성탄을 선정하여[16,20], producer gas 중 tar 및 입자가 필터 표면에 형성된 pre-coating 층에서 제거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스화로 생성된 producer gas의 문제점은 무엇입니까? 가스화로 생성된 producer gas는 열 및 전기 생산, 연료전지의 연료, 액체연료 합성 등에 사용된다. 하지만 가스화 과정에서 타르(tar)를 비롯하여 ash, char 등의 입자상 물질이 생성되며, 이러한 불순물의 존재는 배관에 축적되어 막힘 현상을 일으키거나, 발전용 터빈을 손상시키는 문제를 야기하므로, 제거가 필요하다[7,9].
가스화(gasification)란? 가스화(gasification)는 바이오매스로부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열화학적 변환을 통해 수소, 일산화탄소, 메탄 등으로 조성된 가연성 가스인 'producer gas'를 생산할 수 있다. 하지만 producer gas와 함께 타르(tar)를 비롯한 ash 등의 입자상 물질이 함께 생성돼, 발전 터빈이나 연소 엔진 등에 유입되어 고장을 일으키거나 배관 등에 축적되어 막힘 현상 등을 야기하므로 제거가 필요하다.
바이오매스가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에너지원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바이오매스는 동⋅식물을 비롯한 유기생명체의 총칭이며 넓게는 조류(algae), 유기성 폐기물인 분뇨, 하수 슬러지, 음식 폐기물도 포함하므로 손쉽게 얻을 수 있다[4]. 또한 바이오매스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광합성을 통해 성장하고, 연소 시 흡수한 이산화탄소를 다시 배출시키는 탄소 중립적 특성(carbon neutral)이 있으므로[5]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에너지원 중 하나이다. 하지만 화석연료에 비해 수분함량이 많고 낮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어 기존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발전 시스템에 그대로 적용하기 힘들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R. K. Pachauri and L. Meyer,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2-16, IPCC, Geneva, Switzerland (2015). 

  2. G. Santos, Road transport and $CO_2$ emissions: What are the challenges?, Transp. Policy, 59, 71-74 (2017). 

  3. P. A. Owusu and S. Asumadu-Sarkodie, A review of renewable energy sources, sustainability issues and climate change mitigation, Cogent Eng., 3, 1-14 (2016). 

  4. P. McKendry, Energy production from biomass (part 1): Overview of biomass, Bioresour. Technol., 83, 37-46 (2002). 

  5. J. Han and H. Kim, The reduction and control technology of tar during biomass gasification/pyrolysis: An overview, Renew. Sustain. Energy Rev., 12, 397-416 (2008). 

  6. M. Dudynski, J. C. van Dyk, K. Kwiatkowski, and M. Sosnowska, Biomass gasification: Influence of torrefaction on syngas production and tar formation, Fuel Process. Technol., 131, 203-212 (2015). 

  7. Z. A. El-Rub, E. A. Bramer, and G. Brem, Review of catalysts for tar elimination in biomass gasification processes, Ind. Eng. Chem. Res., 43, 6911-6919 (2004). 

  8. W. Torres, S. S. Pansare, and J. G. Goodwin Jr., Hot gas removal of tars,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from biomass gasification gas, Catal. Rev., 49, 407-456 (2007). 

  9. P. Shrivastav, M. Kr. Karmakar, P. Chandra, and P. Kr. Chatterjee, A review on the fuel gas cleaning technologies in gasification process, J. Environ. Chem. Eng., 3, 689-702 (2015). 

  10. N. K. Kaisalo, M.-L. Koskinen-Soivi, P. A. Simel, and Juha Lehtonen, Effect of process conditions on tar formation from thermal reactions of ethylene, Fuel, 153, 118-127 (2015) 

  11. S. Anisa and Z. A. Zainal, Tar reduction in biomass producer gas via mechanical, catalytic and thermal methods: A review, Renew. Sustain. Energy Rev., 15, 2355-2377 (2011). 

  12. T. Tarnpradab, S. Unyaphan, F. Takahashi, and K. Yoshikawa, Improvement of the biomass tar removal capacity of scrubbing oil regenerated by mechanical solid-liquid separation, Energy Fuels, 31, 1564-1573 (2017). 

  13. S. Tuomi, E. Kurkela, P. Simell, and M. Reinikainen, Behaviour of tars on the filter in high temperature filtration of biomass-based gasificatipn, Fuel, 139, 220-231 (2015) 

  14. L. Ma, H. Verelst, and G. V. Baron, Integrated high temperature gas cleaning: Tar removal in biomass gasification with a catalytic filter, Catal. Today, 105, 729-734 (2005). 

  15. H.-J. Choi,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ramic Filter Media, Ph.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015). 

  16. P. Hasler and T. Nussbaumer, Gas cleaning for IC engine applications from fixed bed biomass gasification, Biomass Bioenergy, 16, 385-395 (1999) 

  17. E. Schmidt and T. Pilz, Raw gas conditioning and other additional techniques for improving surface filter performance, Filtration & Seperation, 33(5), 409-415 (1996). 

  18. E. Ravert, Precoating new filters for better airflow, longer filter life, Powder Bulk Engineering, 1-5, CSC Publishing, USA (2006). 

  19. S. Schiller and H.-J. Schmid, Ultrafine dust filtration using precoat materials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filter media, Chem. Eng. Technol., 37, 1009-1020 (2014). 

  20. A. Paethanom, S. Nakahara, M. Kobayashi, P. Prawisudha, and K. Yoshikawa, Performance of tar removal by absorption and adsorption for biomass gasification, Fuel Process. Technol., 104, 144-154 (2012). 

  21. M. Puig-Arnavat, J. C. Bruno, and A. Coronas, Review and analysis of biomass gasification models, Renew. Sustain. Energy Rev., 14, 2841-2851 (2010). 

  22. S. Shaul, E. Rabinovich, and H. Kalman, Typical fluidization characteristics for geldart's classification groups, Particulate Sci. Technol., 32, 197-205 (2014). 

  23. J.-H. Kim, Y.-M. Jo, J.-S. Kim, and S.-B. Kim, Removal of tar from biomass gasification process, J. Korea Acad. Ind. Coop. Soc., 19, 552-561 (2018). 

  24. S. Osipovs, Comparison of efficiency of two methods for tar sampling in the syngas, Fuel, 103, 387-392 (2013). 

  25. S. Hajar, M. Rashid, A. Nurnadia, and M. R. Ammar, The effect of prekotac on particle penetration through a ptfe filter media, Perintis, E-Journal, 5, 22-33 (2015). 

  26. S. Schiller, C. Hellmich, and H.-J. Schmid,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filtration processes using precoat materials, Chem. Eng. Technol., 39, 491-498 (2016). 

  27. R. Boudhan, A. Joubert, K. Gueraoui, S. Durecu, D. Venditti, D. T. Tran, and L. Le Coq, Pulse-jet bag filter performances for treatment of submicronic and nanosized particles from waste incineration, Waste Biomass Valorization, 9, 731-737 (2018). 

  28. N. A. Ahmad and Z. A. Zainal, Performanc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waste palm cooking oil as scrubbing medium for tar removal from biomass producer gas, J. Nat. Gas Sci. Eng., 32, 256-261 (2016). 

  29. B. Ozturk and D. Yilmaz, Absorptive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flue gas streams, Process Saf. Environ. Prot., 84(B5), 391-398 (2006). 

  30. J. Zhang, W. Pan, Z. Long, C. Wang, and Z. Feng, Study of the oil mist filtration performance: Pressure drop characteristics and filter efficiency model, Aerosol Air Qual. Res., 17, 1063-1072 (2017). 

  31. J. M. Gac, A. Jackiewicz, L. Werner, and S. Jakubiak, Consecutive filtration of solid particles and droplets in fibrous filters, Sep. Purif. Technol., 170, 234-240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