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완화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에서 우울증이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the Survival of Terminal Cancer Patients in a Palliative Care Unit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7 no.2, 2019년, pp.138 - 146  

손지성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원형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정섭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혜영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강상구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최서현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배재남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말기 암 환자에서 우울증이 암의 경과 및 예후와 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암 환자의 생존율과도 부적 관련성이 보고된 바 있으나 국내에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완화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에서 우울 증상과 생존율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방 법 2015년 10월부터 2018년 8월까지 한 대학병원의 완화 병동에 입원한 29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대상자는 혈액종양내과 전문의가 최종적으로 진단 확정한 2개월 미만의 예상 생존 기간을 가진 말기 암 환자로 하였다. 생존기간은 완화 병동에 입원 후부터 완화 병동에서 임종 시까지의 기간으로 하였으며, 3일 이내 사망하거나 일반 병실로 전실 및 다른 병원으로 전원을 간 환자는 제외하였다. 입원 시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으로 우울증을 평가했으며, 291명의 환자 중 146명(50.2 %)이 PHQ-9를 완료했으며, 145명(49.8 %)은 의식 저하 또는 환자의 거부로 인해 평가되지 않았다. 결 과 Kaplan-meier 생존 분석에서, 4주 생존율은 우울하지 않은 군(PHQ-9<10)에서 45.4%, 우울증 군(PHQ-9≥10)에서 18.7%였다. 우울증의 중증도에 따라 Cox 비례위험 모델에서, 중등도(moderate), 중증(moderately sever) 및 고도(severe)의 우울증 군의 사망 위험은 최소(minimal) 우울증 군보다 각각 2.778, 1.882 및 3.423배 높았다. 결 론 완화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 중, 우울증이 있는 군에서 우울증이 없는 군보다 생존기간이 짧았다. 우울증 치료가 말기 암 환자의 생존율을 증가시키는지를 알기 위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urvival time in terminal cancer patients admitted to the palliative care unit. Emotional problems are important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in the palliative care unit, and evaluation of patients' depression plays an importan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완화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들에서 입원 시의 우울증과 사망 시까지의 생존기간을 관찰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완화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를 대상으로, 우울증이 말기 암 환자들의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후향적 연구를 통해 평가하였으며, 우울증과 생존기간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 19) 특히 말기 암 환자로 국한했을 때 우울증이 환자의 여명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말기 암 환자를 대상으로 우울증과 생존율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후)스펙트럼증후군의">스펙트럼 증후군의 유병률이 0~58%로 다양하다.3) 이처럼 연구들이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암의 종류가 다양하고, 그 종류에 따라 호발하는 성별 및 연령이 서로 다를 뿐 아니라 암의 증상이나 경과가 상이하기 때문이다.4) 또한 우울증을 진단하는 방법이 다양하고, 평가 및 진단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이 암의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 환자의 우울증 유병률은 어떻게 되는가? 우울증은 암 환자에게 발생하는 가장 흔한 정신과적 문제 중 하나로 일반 인구에 비해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암 환자의 우울증 유병률은 대략 22~29%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나,2) 연구에 따라서는 암 환자에서 우울증의 유병률이 0~38%, 우울증 스펙트럼 증후군의 유병률이 0~58%로 다양하다.3) 이처럼 연구들이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암의 종류가 다양하고, 그 종류에 따라 호발 하는 성별 및 연령이 서로 다를 뿐 아니라 암의 증상이나 경과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암 환자의 우울증 유병률이 연구마다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1) 암 환자의 우울증 유병률은 대략 22~29%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나,2) 연구에 따라서는 암 환자에서 우울증의 유병률이 0~38%, 우울증 스펙트럼 증후군의 유병률이 0~58%로 다양하다.3) 이처럼 연구들이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암의 종류가 다양하고, 그 종류에 따라 호발 하는 성별 및 연령이 서로 다를 뿐 아니라 암의 증상이나 경과가 상이하기 때문이다.4) 또한 우울증을 진단하는 방법이 다양하고, 평가 및 진단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이 암의 경과 중에 많이 발생하여 연구 결과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우울증과 암환자의 관계는 무엇인가? 우울증은 암 환자에게 발생하는 가장 흔한 정신과적 문제 중 하나로 일반 인구에 비해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암 환자의 우울증 유병률은 대략 22~29%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나,2) 연구에 따라서는 암 환자에서 우울증의 유병률이 0~38%, 우울증 스펙트럼 증후군의 유병률이 0~58%로 다양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cDaniel JS, Musselman DL, Porter MR, Reed DA, Nemeroff CB.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Diagnosis, biology, and treatment. Arch Gen Psychiatry 1995;52:89-99. 

  2. Hotopf M, Chidgey J, Addington-Hall J, Ly KL. Depression in advanced disease: a systematic review. Part 1. Prevalence and case finding. Palliat Med 2002;16:81-97. 

  3. Massie MJ. Prevalence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J Natl Cancer Inst Monogr 2004;32:57-71. 

  4. Harrison J, Maguire P. Influence of age on psychological adjustment to cancer. Psycho-Oncology 1995;4:33-38. 

  5. Mitchell AJ, Chan M, Bhatti H, Halton M, Grassi L, Johansen C, Meader N. Prevalence of depression, anxiety, and adjustment disorder in oncological, haematological, and palliative-care settings: a meta-analysis of 94 interview-based studies. Lancet Oncol 2011;12:160-174. 

  6. Butler LD, Koopman C, Cordova MJ, Garlan RW, DiMiceli S, Spiegel D. Psychological distress and pain significantly increase before death in metastatic breast cancer patients. Psychosom Med 2003;65:416-426. 

  7. Yun YH, Heo DS. Problem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admission to a university hospital. J Korean Acad Fam Med 1996;17:294-304. 

  8. Chaturvedi SK. Exploration of concerns and role of psychosocial intervention in palliative care--a study from India. Ann Acad Med Singapore 1994;23:256-260. 

  9. Rabkin JG, McElhiney M, Moran P, Acree M, Folkman S. Depression, distress and positive mood in late-stage cancer: a longitudinal study. Psychooncology 2009;18:79-86. 

  10. Ha HK.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2;21:665-674. 

  11. Oh BH, Cho DY, Kim NK. The comparison of anxiety and depression between cancer patients and non-cancer medical pati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6;25:121-131. 

  12. Lee CY, Oh DW.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J Korean Neuropsy chiatr Assoc 1990;29:178-187. 

  13. Lee YJ, Kim CM, In YH, Lee DC, Seo SY, Seo AR. Associ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pain, anxiety and depress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a pilot study.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175-182. 

  14. Kim SW, Lee SY, Kim JM.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J Korean Soc Biol Psychiatry 2006;13:59-69. 

  15. Johansen C. Psychosocial factors. In: Holland JC, Breitbart WS, Butow PN, Jacobsen PB, Loscalzo MJ, McCorkle R, editors. Psycho-onc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p.35-39. 

  16. Meyer HA, Sinnott C, Seed PT. Depressive symptoms in advanced cancer. Part 2. Depression over time; the role of the palliative care professional. Palliat Med 2003;17:604-607. 

  17. Rieke K, Schmid KK, Lydiatt W, Houfek J, Boilesen E, Watanabe-Galloway S. Depression and survival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Oral Oncol 2017;65:76-82. 

  18. Bortolato B, Hyphantis TN, Valpione S, Perini G, Maes M, Morris G, Kubera M, Kohler CA, Fernandes BS, Stubbs B, Pavlidis N, Carvalho AF. Depression in cancer: the many biobehavioral pathways driving tumor progression. Cancer Treat. Rev 2017;52:58-70 

  19. Lawrie I, Lloyd-Williams M, Taylor F. How do palliative medicine physicians assess and manage depression. Palliative Medicine 2004;18:234-238. 

  20. Kim SY, Kim SW, Kim JM, Shin IS, Bae KY, Shim HJ, Bae WK, Cho SH, Chung IJ, Yoon JS. Differential Associations Between Delirium and Mortality According to Delirium Subtype and Age: A Prospective Cohort Study. Psychosom Med 2015;77:903-10. 

  21. Kroenke K, Spitzer RL, Williams JB. The PHQ-9: validity of a brief depression severity measure. J Gen Intern Med 2001;16:606-613. 

  22. Park SJ, Choi HR, Choi JH, Kim KW, Hong JP.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Anxiety and Mood 2010;6:119-122. 

  23. Moriarty AS, Gilbody S, McMillan D, Manea L. Screening and case finding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using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a meta-analysi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2015;37:567-576. 

  24. Anonymous.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n a WHO Consultation on Obesity.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2000. 

  25. Charlson ME, Pompei P, Ales KL, MacKenzie CR. A new method of classifying prognostic comorbidity in longitudinal studi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J Chronic Dis 1987;40:373-83. 

  26. Huang YQ, Gou R, Diao YS, Yin QH, Fan WX, Liang YP, Chen Y, Wu M, Zang L, Li L, Zang J, Cheng L, Fu P, Liu F. Charlson comorbidity index helps predict the risk of mortality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ic nephropathy. J Zhejiang Univ-Sci B (Biomed & Biotechnol) 2014;15:58-66. 

  27. Jung KW, Won YJ, Kong HJ, Lee ES. Prediction of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in Korea, 2019. Journal of Korean Cancer Association 2019;51:431-437. 

  28. Cook MB, McGlynn KA, Devesa SS, Freedman ND, Anderson WF. Sex disparities in cancer mortality and survival.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11;20:1629-1637. 

  29. Machin D, Campbell MJ, Tan SB, Tan SH. Sample size tables for clinical studies. 3rd ed, Chichester: Wiley-Blackwell;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