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완화 병동에서 임종기 섬망의 변화 양상과 선행 요인
The Changing Patterns and Predisposing Factors of Delirium at End of Life in Palliative Care Unit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6 no.2, 2018년, pp.94 - 101  

임미루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상구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최서현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조진현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문희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혜영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배재남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정섭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원형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완화병동에 입원한 환자들에서 사망 직전에 발생하는 임종기 섬망의 발생을 사망 전 2주시점 전부터 관찰하여 변화양상과 선행 요인을 관찰한 연구이다. 방 법 2015년 10월부터 2017년 8월까지, 일 대학병원 완화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환자 최종 18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자는 매일 3회 Richmond Agitation Sedation Scale과 Nursing Delirium Screening Scale로써 섬망의 세가지 아형으로 진단되었다. 결 과 임종 13일 전 섬망의 빈도는 46%였으며, 그 중 18.3%는 과활동성, 13.8%는 저활동성 그리고 혼합성 아형은 13.8%를 차지하였다. 과활동성 섬망은 임종일까지 점차 감소하는 양상이었으며, 저활동성 아형과 혼합성 아형의 섬망은 임종 4일 전까지 점차 증가하는 양상이었다. 임종 하루 전 86.9%의 환자들은 섬망으로 진단되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위장관 암보다 혈액학적 암이 낮은 임종기 섬망과 연관이 있었으며 과체중도 낮은 임종기 섬망과 연관이 있었다. 결 론 많은 완화의료 환자들은 섬망을 경험하였으며, 과체중은 임종기의 모든 아형의 섬망을 낮추는 보호인자로 고려되었다. 차후 임종기 섬망의 빈도와 위험 인자를 밝히는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pattern and the leading factors of delirium in the palliative ward from 2 weeks before to the end of life. Methods : From October 2015 to August 2017,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conducted on the final 180 patients of 207 pati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완화 의료의 목표를 고려해 볼 때 환자 및 보호자에게 환자의 섬망이 어떻게 진행될 것이며 임종이 가까울 수록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 알려 주는 것이 죽음을 준비하는 환자 및 보호자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종 전 2주 동안 섬망의 빈도가 어떻게 바뀌는지 보고자 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임종기 섬망의 선행 요인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종 전 2주 동안 섬망의 빈도가 어떻게 바뀌는지 보고자 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임종기 섬망의 선행 요인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완화병동에 입원한 환자들에서 임종기 섬망의 빈도를 사망전 2주시점 전부터 관찰하여 변화양상을 관찰한 연구이다. 완화병동에서의 임종기 섬망의 변화 양상은 섬망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특히 저활동성과 혼합성 섬망의 비율이 높아지는 양상이었다.
  • 본 연구는 완화병동에서 세가지 아형의 임종기 섬망 빈도와 그 예측인자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에서 임종기 섬망은 환자의 약 87%에서 나타났으며 과체중과 hematologic malignancy는 더 낮은 임종기 섬망 빈도와 연광성이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망의 유형은 무엇이 있는가? DSM-5에서 섬망은 정신 운동의 활동 수준에 따라 과활동성, 저활동성, 혼합성 활동 수준 이렇게 3가지 아형으로 구분된다.2) 과활동성 섬망은 기분 가변성, 초조, 빠르거나 큰 언어, 분노, 짜증, 공격성, 인내성 상실, 기분 고양, 배회, 쉽게 자극받음, 악몽, 그리고 끊임없는 생각의 반복으로 나타난다.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5판에서 섬망의 임상 양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5판(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DSM-5)에서 섬망은 다음과 같은 임상 양상을 보인다. 1) 주의와 의식의 장애, 2) 장애는 단기간에 걸쳐 발생하고 기저상태의 주의와 의식으로부터 변화를 보이며, 하루 경과 중심각도가 변동, 그리고 3) 인지의 장애(기억의 결손, 지남력장애, 언어, 시공간 능력 또는 지각).2) 섬망은 치매와 임상 양상이 비슷하고 갑작스럽게 발병하기 때문에 섬망이 발생하면 환자들은 쉽게 당황하고 정신적 고통을 겪는다.3) 특히, 임종기 섬망은 환자나 가족에게 중등도 이상의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초래한다.4) 또한, 섬망은 완화 의료 병동에서 짧은 생존기관과 연관성이 있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5)
섬망이란 무엇인가? 섬망은 말기암 환자에게 발생하는 흔한 정신과적 증상이다.1)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5판(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DSM-5)에서 섬망은 다음과 같은 임상 양상을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acleod AD. The management of terminal delirium. Indian J Palliat Care. 2006;12:22-28.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2013. 

  3. Moyer DD. Review article: terminal delirium in geriatric patients with cancer at end of life. Am J Hosp Palliat Care 2011;28: 44-51. 

  4. Bruera E, Bush SH, Willey J, Paraskevopoulos T, Li Z, Palmer JL, Cohen MZ, Sivesind D, Elsayem A. Impact of delirium and recall on the level of distress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and their family caregivers. Cancer 2009;115: 2004-2012. 

  5. Kim SY, Kim SW, Kim JM, Shin IS, Bae KY, Shim HJ, Bae WK, Cho SH, Chung IJ, Yoon JS. Differential Associations Between Delirium and Mortality According to Delirium Subtype and Age: A Prospective Cohort Study. Psychosom Med 2015;77:903-910. 

  6. Meagher DJ, O'Hanlon D, O'Mahony E, Casey PR, Trzepacz PT.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and motoric subtype of delirium.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2000;12:51-56. 

  7. Breibart William Breitbart and Yesne Alici. Evidence-Based Treatment of Delirium in Patients With Cancer. J Clin Oncol 2012;30:1206-1214. 

  8. Morita T, Tei Y, Tsunoda J, Inoue S, Chihara S. Underlying pathologie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clinical features in terminal delirium of cancer patients. J Pain Symptom Manage 2001;22:997-1006. 

  9. Brunnhuber K, Nash S, Meier DE, Weissman DE, Woodcock J. Putting Evidence Into Practice: Palliative Care. London, UK: BMJ Publishing Group;2008. p.4. 

  10. Munster BC, Rooij SE, Korevaar JC. The role of genetics in delirium in the elderly patient. Dement Geriatr Cogn Disord 2009; 28:187-195. 

  11. Caraceni A, Simonetti F. Palliating delirium in patients with cancer. Lancet Oncol 2009;10:164-172. 

  12. Lawlor PG, Gagnon B, Mancini IL, Pereira JL, Hanson J, Suarez-Almazor ME, Bruera ED. Occurrence, causes, and outcome of delirium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a prospective study. Arch Intern Med 2000;160:786-794. 

  13. Centeno C, Sanz A, Bruera E. Delirium in advanced cancer patients. Palliat Med 2004;18:184-194. 

  14. Minagawa H, Uchitomi Y, Yamawaki S, Ishitani K. Psychiatric morbidity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 prospective study. Cancer 1996;78:1131-1137. 

  15. Pereira J, Hanson J, Bruera E. The frequency and clinical course of cognitive impairment in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Cancer 1997;79:835-842. 

  16. Bruera E, Miller L, McCallion J, Macmillan K, Krefting L, Hanson J. Cognitive failure in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a prospective study. J Pain Symptom Manage 1992;7:192-195. 

  17. Del Fabbro E, Dalal S, Bruera E. Symptom control in palliative care-Part III: dyspnea and delirium. J Palliat Med 2006;9: 422-436. 

  18. Fainsinger R, De Moissac D, Mancini I, Oneschuk D. Sedation for delirium and other symptoms in terminally ill patients in Edmonton. 

  19. Plonk WM Jr, Arnold RM. Terminal care: the last weeks of life. J Palliat Med 2005;8:1042-1054. 

  20. Ely EW, Margolin R, Francis J, et al. Evaluation of delirium in critically ill patients: validation of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for the Intensive Care Unit (CAM-ICU). Crit Care Med 2001;29:1370-1379. 

  21. Sessler CN, Gosnell MS, Grap MJ, Brophy GM, O'Neal PV, Keane KA, Tesoro EP, Elswick RK. The Richmond Agitation-Sedation Scal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adult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002;166:1338-1344. 

  22. Gaudreau JD, Gagnon P, Harel F, Tremblay A, Roy MA. Fast, systematic, and continuous delirium assessment in hospitalized patients: The nursing delirium screening scale. Journal of Pain Symptom Management 2005;29:368-375. 

  23. Kim KN, Kim CH, Kim KI, Yoo HJ, Park SY, Park Y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Nursing Delirium Scale. J Korean Acad Nurs 2012;42:414-423. 

  24. Robinson TN, Raeburn CD, Tran ZV, Brenner LA, Moss M. Motor subtypes of postoperative delirium in older adults. Arch Surg 2011;146:295-300 

  25. WHO.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n a WHO Consultation on Obesity, Geneva, 3-5 June, 1997. WHO/NUT/NCD/98.1. Technical Report Series Number 894.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2000. 

  26. Charlson ME, Pompei P, Ales KL, MacKenzie CR. A new method of classifying prognostic comorbidity in longitudinal studi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J Chronic Dis 1987;40:373-383. 

  27. You-qun HUANG, Rong GOU, Yong-shu DIAO, Qing-hua YIN, Wen-xing FAN, Ya-ping LIANG, Yi CHEN, Min WU, Li ZANG, Ling LI, Jing ZANG, Lu CHENG, Ping FU, Fang LIU. Charlson comorbidity index helps predict the risk of mortality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ic nephropathy. J Zhejiang Univ-Sci B (Biomed & Biotechnol) 2014;15:58-66. 

  28.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NCC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Oncology: Adult Cancer Pain. Version 2. 2014. Available at: https://www.nccn.org/store/login/login.aspx?ReturnURL http//nccn.org/professionals/physician_gls/pdf/pain.pdf. Accessed Jun 4, 2015. 

  29. Spiller JA, Keen JC. Hypoactive delirium: assessing the extent of the problem for inpatient specialist palliative care. Palliat Med 2006;20:17-23. 

  30. Gagnon P, Allard P, Masse B, DeSerres M. Delirium in terminal cancer: a prospective study using daily screening, early diagnosis, and continuous monitoring. J Pain Symptom Manage 2000;19:412-426. 

  31. Ross CA, Peyser CE, Shapiro I, Folstein MF. Delirium: phenomenologic and etiologic subtypes. Int Psychogeriatr 1991;3: 135-147. 

  32. Plonk WM Jr, Arnold RM. Terminal care: the last weeks of life. J Palliat Med 2005;8:1042-1054. 

  33. Liang CK, Chu CL, Chou MY, Lin YT, Lu T, Hsu CJ, Chen LK . Interrelationship of Postoperative Delirium and Cognitive Impairment and Their Impact on the Functional Status in Older Patients Undergoing Orthopaedic Surgery: A Prospective Cohort Study. PLoS One. 2014;9:e110339. Published online 2014 Nov 17.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103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