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울감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에서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증상의 공존율 분석
Analysis of Coexistence Rates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Symptoms in Patients with Depression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7 no.2, 2019년, pp.147 - 154  

정미영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의과학과) ,  박서영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의과학과) ,  김정호 (마산대학교 간호학과) ,  임우영 (건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연정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우울증 환자들에게서는 부주의를 포함한 인지기능 저하는 흔히 동반된다. 우울증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부주의 증상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에게서 나타나는 증상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부주의 증상의 원인에 따라 치료가 달라지므로 두 질환을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울감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에서 ADHD 증상의 공존율과 증상 별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2015년 3월~2018년 7월까지 우울감을 주소로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에 내원한 15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사회인구학적 특성(연령, 성별, 학력, 직업),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성인 주의력결핍과잉 행동장애 자기보고척도(Adult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self-report scale-V 1.1, ASRS-V 1.1), 한국판 코너스 성인 ADHD 평정척도(Korean-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 K-CAARS)를 수행하였다. 우리는 우울증군과 비우울증군을 CES-D점수로 분류하였으며, 자료처리는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 t-tests,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성인 ADHD 증상 공존율은 우울증군에게서 36.7%로 높았다(p-value<0.001). K-CAARS에서 ADHD 증상 정도는 우울증군(Inattention=1.80, Hyperactivity=1.92, Impulsivity=1.56, Self-concept=2.06)이 비우울증군(Inattention=1.28, Hyperactivity=1.25, Impulsivity=1.09, Self-concept=1.42) 보다 높게 나타났다(p-value<0.001). 결 론 본 연구에서는 ADHD 증상이 우울군에서 공존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울감을 호소하는 환자의 증상을 평가할 때, ADHD 증상의 공존 여부와 ADHD 진단 가능성에 관심을 가지고 정확하게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병행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Cognitive dysfunction, including inattention, is often observed in patients with depression. Inattent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depression is similar to those among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patients. It is important to diagnose the two diseases accurately, bec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울감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성인 ADHD 선별검사를 실시하여 우울증 및 ADHD 증상 공존여부에 따른 환자들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몇 가지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 따라서 우리는 우울증 환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부주의가 ADHD의 증상으로부터 야기 될 수 있으며, 증상의 원인이 되는 질환을 감별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에 주목했다. 우리는 성인 우울증 환자에게서 ADHD 증상의 공존여부를 확인하고, 우울증 여부에 따른 ADHD 증상의 차이 또한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란 무엇인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부주의(Inattention), 과잉행동(Hyperactivity), 충동성(Impulsivity)을 주 증상으로 하며, 12세 이전 아동기에 발병하는 질환이다.1) ADHD는 아동기의 여러 기능영역(예 ; 가정, 학교 등)에 지장을 초래하며, 약 50%는 성인기까지 증상이 지속된다.
주요 우울증 발병률은 연령대에 따라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28) 주요우울증을 가진 약 6,000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유병 연령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18세~29세의 인구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29) 또한 성인 주요우울증 환자들의 남/녀 간의 차이를 본 연구에서 주요 우울증은 20대 21.5%, 30대 14.4%, 40대 17.6%, 50대 21.2%로 성인기 초기와 후기에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30) 이전 연구는 우울증 발병률이 생애 주기 별 그래프 상 연령에 따라 ‘U자’ 곡선을 보이는 것과 일치하며,28) 20대, 40대 이상, 30대 순으로 우울증 주소 비율이 높게 나타난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우울증에는 어떠한 증상이 있는가 부주의는 ADHD 이외에 우울증에서도 흔히 보고되고 있다.7) 우울증은 지속적인 우울감, 흥미 상실, 무력감, 수면장애, 부주의를 보이며 이로 인해 일상 및 사회생활에 지장을준다.1) 우울증 환자는 실행능력, 주의력, 기억 그리고 정신운동성 속도가 저하되며, 그 중 주의력과 실행기능은 우울증 환자의 특성-마커(trait-marker)로 보고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BMC Med 2013;17:133-137. 

  2. Fayyad J, De Graaf R, Kessler R, Alonso J, Angermeyer M, Demyttenaere K, De Girolamo G, Hro JM, Karam EG, Lara C, Lepine JP, Ormel J, Posada-Villa J, Zaslavsky AM, Jin R. Cross-national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adult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Br J Psychiary 2007;190:402-409. 

  3. Kim MJ, Park I, Lim MH, Paik KC, Cho S, Kwon HJ, Lee SG, Yoo SJ, Ha M. Prevalence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its comorbidity among Korean children in a community population. J Korean Med Sci 2017;32:401-406. 

  4. Faraone SV, Biederman J, Spencer T, Wilens T, Seidman LJ, Mick E, Doyle AE.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adults: an overview. Biol Psychiatry 2000;48:9-20. 

  5. Barkley RA.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ci Am 1998;279:66-71. 

  6. Kim SH, Lee BG. The Mediating Roles of Self-Esteem and Self-Perception Between Adult ADHD and Interpersonal Problems. J Saramdaum Educ 2015;9:63-78. 

  7. Paelecke-Habermann Y, Pohl J, Leplow B.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in remitted major depression patients. J Affect Disord 2005;89:125-135. 

  8. Lee RS, Hermens DF, Porter MA, Redoblado-Hodge MA. A meta-analysis of cognitive deficits in first-episode major depressive disorder. J Affect Disord 2012;140:113-124. 

  9. Chun MM, Turk-Browne NB. Interactions between attention and memory. Curr Opin Neurobiol 2007;17:177-184. 

  10. McIntyre RS, Cha DS, Soczynska JK, Woldeyohannes HO, Gallaugher LA, Kudlow P, Alsuwaidan M, Baskaran A. Cognitive deficits and functional outcomes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determinants, substrates, and treatment interventions. Depress Anxiety 2013;30:515-527. 

  11. Fischer AG, Bau CH, Grevet EH, Salgado CA, Victor MM, Kalil KL, Sousa NO, Garcia CR, Belmonte-de-Abreu P. The role of comorbid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the clinical presentation of adult ADHD. J Psychiatr Res 2007;41:991-996. 

  12. Sobanski E. Psychiatric comorbidity in adul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Eur Arch Psychiatry Clin Neurosci 2006;256:i26-i31. 

  13. Kessler RC, Adler L, Barkley R, Biederman J, Conners CK, Demler O, Faraone SV, Spencer T, Ustun B, Walters EE, Zaslavsky AM. Th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adult ADHD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m J Psychiatry 2006;163:716-723. 

  14. McIntosh D, Kutcher S, Binder C, Levitt A, Fallu A, Rosenbluth M. Adult ADHD and comorbid depression: A consensus-derived diagnostic algorithm for ADHD. Neuropsychiatr Dis Treat 2009;5:137. 

  15. Adler LA. Clinical presentations of adult patients with ADHD. J Clin Psychiatry 2004;65:8-11. 

  16. Montano B. Diagnosis and treatment of ADHD in adults in primary care. J Clin Psychiatry;2004. 

  17. Sobanski E, Alm B, Krumm B. Methylphenidatbehandlung bei Erwachsenen mit Aufmerksamkeitsdefizit-/Hyperaktivitatsstorung. Nervenarzt 2007;78:328-337. 

  18. Moon E, Sakong JK, Jung SW, Sung HM, Lee JY, Koo BH, Kim YT, Shin IH, Cho H, Kim DH, Kim MK, Choi JS, Jung IM, Kim JB. Development of clinical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depression: focused on evaluation guidelin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4;53:24-31. 

  19. Logan GD. An instance theory of attention and memory. Psychol Rev 2002;109:376. 

  20. McIntyre RS, Soczynska JZ, Woldeyohannes HO, Alsuwaidan MT, Cha DS, Carvalho AF, Jerrell JM, Dale RM, Gallaugher LA, Muzian DJ, Kennedy SH. The impact of cognitive impairment on perceived workforce performance: results from the international mood disorders collaborative project. Compr Psychiatry 2015;56:279-282. 

  21.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 Psychol Meas 1977;1:385-401. 

  22. Cho MJ,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3;32:381-399. 

  23. Cho MJ, Kim KH. Use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scale in Korea. J Nerv Ment Dis 1998;186:304-310. 

  24. Kessler RC, Adler L, Ames M, Demler O, Faraone S, Hiripi E, Howes MJ, Jin R, Secnik K, Spencer T, Ustun TB, Walters E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dult ADHD Self-Report Scale (ASRS): a short screening scale for use in the general population. Psychol Med 2005;35:245-256. 

  25. Kim JH, Lee EH, Joung YS. The WHO Adult ADHD Self-Report Scal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Psychiatry Investig 2013;10:41. 

  26. Park JS, Lee WH, Lee SR, Kim SM, Bahn G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conners adul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cale in general populat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3;52:342-352. 

  27. Kim H, Lee J, Cho S, Lee IS, Kim JH. A preliminary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s-Korean version in college students. Korean J Clin Psychol 2005;24:171-185. 

  28. Newmann JP. Aging and depression. Psychol Aging 1989;4:150. 

  29. Chang SM, Sohn JH, Lee JY, Choi JH, Cho SJ, Jeon HJ, Hahm BJ, Lee DH, Cho MJ. Characteristics of diagnostic criteria for depression in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7;46:447-452. 

  30. Lee DH, Ham KA, Kim JY, Kim MK, Jung SW, Kim JB. Gender differences in DSM-IV major depression symptoms: based on Korean 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 questionnaire (K-PDSQ). Kor J Rehabil Psychol 2013;20:501-522. 

  31. de Zwaan M, GruB B, Muller A, Graap H, Martin A, Glaesmer H, Hilbert A. The estimated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adult ADHD in a German community sample. Eur Arch Psychiatry Clin Neurosci 2012;262:79-86. 

  32. Tuithof M. Prevalence, persistency and consequences of ADHD in the Dutch adult population. Tijdschr Psychiatr 2014;56:10-19. 

  33. Alpert JE, Maddocks A, Nierenberg AA, O'Sullivan R, Pava JA, Worthington III JJ, Biederman J, Rosenbaum JF, Fava M.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childhood among adults with major depression. Psychiatry Res 1996;62:213-219. 

  34. Greenberg PE, Fournier AA, Sisitsky T, Pike CT, Kessler RC. The economic burden of adul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the United States (2005 and 2010). J Cin Psychiatry 2015;76:155-162. 

  35. Kennedy SH, Milev R, Giacobbe P, Ramasubbu R, Lam RW, Parikh SV, Patten SB, Ravindran AV. Canadian Network for Mood and Anxiety Treatments (CANMAT) Clinic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adults: IV. Neurostimulation therapies. J Affect Disord 2009;117:S44-S53. 

  36. Lee JY, Kim HY, Kim JH, Cho SS, Kim SE.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ult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Preliminary Study Kor J Psychol 2002;2002:660-666. 

  37. Mochrie KD, Whited MC, Cellucci T, Freeman T, Corson AT. ADHD, depression, and substance abuse risk among beginning college students. J Am Coll Health 2018:1-5. 

  38. Kim M, Rhee M. The effect of adult ADHD tendencies on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selfencouragement. Kor J Psychol 2018;23:475-488. 

  39. McIntyre RS, Kennedy SH, Soczynska JK, Nguyen HT, Bilkey TS, Woldeyohannes HO, Nathanson JA, Joshi S, Cheng, JSH, Benson KM, Muzina DJ.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adults with bipolar disorder or major depressive disorder: results from the international mood disorders collaborative project. Prim Care Companion J Clin Psychiatry 2010;12. 

  40. Lee DY, Lee CS, Park CS, Kim BJ, Cha BS, Lee SJ, Bhang SY. Effect of symptoms of adul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on symptoms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Korean conscripts. Psychiatry Investig 2012;9:154.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