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공무원의 직무유형에 따른 불면과 신체화증상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Insomnia and Somatization According to Types of Work of Firefighters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8 no.1, 2020년, pp.42 - 52  

윤희수 (충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주가원 (충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상익 (충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신철진 (충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손정우 (충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시경 (충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박혜미 (충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정환 (충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소방공무원은 직무 환경 상 항상 비상대기를 해야 하는 스트레스 상황에 처해있으며, 지속적인 외상적 사건에의 노출로 인해 불면, 우울을 포함한 다양한 정신질환에 취약 해지기 쉽다. 이에 소방공무원들의 직무 유형별 정신건강요인의 차이 유무를 살펴보고, 특히 그 중에서도 업무의 지장 및 불편을 줄 수 있는 불면과 신체화 증상과의 관련성을 보고자 한다. 방 법 충청북도 소재 지역 소방서에 근무하는 소방공무원 126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하여 일반적 특성 및 관련 검사를 수행하였다. 불면증 심각성 척도(ISI), 신체화 증상 척도(PHQ-15), 사건 충격 척도(IES-R-K), 스트레스 척도(PSS-10), 회복탄력성 척도(K-CD-RISC-2), 알코올 의존 선별검사 척도(AUDIT-K), 역학연구센터 우울 척도(CES-D) 및 국제 신경정신평가(MINI-plus)의 자살 척도를 활용하여 정신건강상태 현황 조사 및 요인 간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결 과 정신건강요인들 중 불면증과 신체화증상의 관련성은 직무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구급 직군이 화재진압 직군과 구조 직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사건 충격, 우울, 음주도 직무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사건 충격은 구급 직군이 화재진압 직군보다 높고 우울은 구급 직군이 구조 직군보다 높으며 음주는 행정 직군이 화재진압 직군, 구급 직군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회복탄력성은 구조 직군이 구급 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스트레스, 자살위험성은 직무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소방공무원 신체화증상의 유의한 예측 인자로 불면증, 스트레스, 사건 충격이 있었으며, 특히 불면의 영향이 큼을 보여주었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지역 소방공무원들의 직무 유형에 따라 다양한 정신건강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구급 직군의 경우가 타 직군에 비해 불면, 신체화 증상, 큰 사건 충격, 취약한 회복탄력성 등 여러 정신건강변인에서 취약한 상황으로 보고되었다. 그 중 불면의 경우 모든 직무유형에서 신체화 증상에의 의미 있는 예측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Firefighters are always under stress due to their job environment, and they are likely to become psychologically vulnerable due to continuous exposure to traumatic events, which is a stressful situation that requires emergency standby at all tim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우울 영향력을 배제하고 불면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를 중심으로 보고자 하였는데, 불면증은 우울증의 진단 기준에 포함될 만큼 주된 증상 중의 하나로 우울증과 상호 연관적29인 관계이며, 우울, 불면 모두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왔으나 불면증의 단독 효과는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다.3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울 영향력을 배제한 채 소방공무원의 불면과 신체화증상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그 중 불면의 경우 모든 직무유형에서 신체화 증상에의 의미 있는 예측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수면에 대한 정신건강의학적 개입 근거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겠다.
  • 사건 충격도 구급 직군(6.4±10.7)이 화재진압 직군(4.2±7.8)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화재진압 직군과 구급 직군에서 가장 높은 사건 충격 점수를 나타낸 이전 연구의 동일한 결과가 이를 뒷받침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 지역 소방공무원의 직무 영역별 정신건강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건강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우울 영향력을 배제하고 불면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를 중심으로 보고자 하였는데, 불면증은 우울증의 진단 기준에 포함될 만큼 주된 증상 중의 하나로 우울증과 상호 연관적29인 관계이며, 우울, 불면 모두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왔으나 불면증의 단독 효과는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다.

가설 설정

  • 20) 우리나라 성인의 경우 피로감을 가장 많이 호소하고 있으며,두통, 요통의 순서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21) 신체화 증상은 불면,22,23) 우울증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우울증은 신체화의 가장 흔한 원인 중의 하나로 간주되기도 하며24) 우울 정서가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어 신체 감각 지각을 증가시키고, 이를 병리적으로 해석하도록 만들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방공무원이란 무엇인가? 소방공무원은 화재와 사건사고로부터 시민과 재산을 구조하는 전문적 훈련을 받은 공무원이며, 그 업무량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018년 기준 우리나라의 국가직, 지방직소방공무원은 총 51,779명이며, 우리나라 소방공무원 1인 이 담당하는 국민 수는 1,000명으로 미국 208명, 일본 941명에 비해 월등히 많아 업무 부담이 상대적으로 과중한 편이다.
소방공무원이 겪는 고초는 무엇인가 연구목적 소방공무원은 직무 환경 상 항상 비상대기를 해야 하는 스트레스 상황에 처해있으며, 지속적인 외상적 사건에의 노출로 인해 불면, 우울을 포함한 다양한 정신질환에 취약 해지기 쉽다. 이에 소방공무원들의 직무 유형별 정신건강요인의 차이 유무를 살펴보고, 특히 그 중에서도 업무의 지장 및 불편을 줄 수 있는 불면과 신체화 증상과의 관련성을 보고자 한다.
구급 직군에서 화재진압 직군, 구조 직군 보다 더 많은 불면 증상을 호소하는 이유는? 번째로 구급 직군에서 화재진압 직군, 구조 직군 보다 더 많은 불면 증상을 호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전 연구에서도 구급 직군이 타 직군에 비해 스트레스 및 피로 척도가 높다는 결과가 있었고, 소방공무원의 경우 직무스트레스와 피로도 등이 수면의 질과 관련이 있어10) 구급 직군의 낮은 수면의 질과 그로 인한 불면 증상을 뒷받침 한다. 또한 구급 직군은 타 직군에 비해 출동 빈도가 현저하게 높고, 휴식을 제대로 취하지 못하며, 체력 상의 문제를 느끼는 비율이 가장 높게 보고되고 있는데1) 이런 직무 특성으로 인한 불면도 이번 연구에서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Agency. Fire administration data and statistics;2018. 

  2. Choung Y. A study on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of 119 fire officiers: Focusing on the fire and crisis management headquarters of Kyonggi provi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Anseong;2002. 

  3. Lee SK, Lee YK. Empirical study on causes and results of job stress among fire fighters: focusing on job characteristics, role confusion, relationships with co-worke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2007;21:74-86. 

  4. Corneil W, Beaton R, Murphy S, Johnson C, Pike K. Exposure to traumatic incidents and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atology in urban firefighters in two countries. J Occup Health Psychol 1999;4:131. 

  5. Heinrichs M, Wagner D, Schoch W, Soravia LM, Hellhammer DH, Ehlert U. Predicting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from pretraumatic risk factors: a 2-year prospective follow-up study in firefighters. Am J Psychiatry 2005;162:2276-2286. 

  6. Yu JH, Park KH. Psycho-social variables related to PTSD symptoms in fire-fighters: focusing on depression, anxiety,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9;38:415-426. 

  7. Dudek B, Koniarek J.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oher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mong firefighters. Int J Occup Med Environ Health 2000;13:299-305. 

  8. Carey MG, Al-Zaiti SS, Dean GE, Sessanna L, Finnell DS. Sleep problems, depression, substance use, social bonding, and quality of life in professional firefighters. J Occup Environ Med 2011;53:928-933. 

  9. Yu J, Park K. Psycho-social variables related to PTSD symptoms in fire-fighters: focusing on depression, anxiety,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Korean J Clin Psychol 2009;28:833-852. 

  10. Kim KH, Kim JW, Kim SH. Influences of job stressors on psychosocial well-being, fatigue and sleep sufficiency among firefight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6;18:232-245. 

  11. Kwon SC, Song JC, Lee SJ, Kim I, Koh J, Ryou H, Kim SH, Kim D, Jung SA.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Related Factors in Firefighters of a Firestation.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8;20:193-204. 

  12. Bae JM.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ization shocks, social supports, coping behaviors, and PTSD sympto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ire Official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2010;44:141-163. 

  13. Psychosomatic medicine: current trends and clinical applications-edited by Lipowski ZJ, Lipsitt DR, Whybrow PC.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8;29:398-400. 

  14. Shin H. The effect of negative affectivity, alexithymia,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on somatization: Test of a linear mediation model.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0;19:17-32. 

  15. Stanley IM, Peters S, Salmon P. A primary care perspective on prevailing assumptions about persistent medically unexplained physical symptom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in Medicine 2002;32:125-140. 

  16. Ring A, Dowrick CF, Humphris GM, Davies J, Salmon P. The somatising effect of clinical consultation: what patients and doctors say and do not say when patients present medically unexplained physical symptoms. Soc Sci Med 2005;61:1505-1515. 

  17. Shin H, Won H. A study on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omatization (1):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mplification scale and symptom analysis questionnair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8;17:33-39. 

  18. Min S. Study on the concept of hwabyeong.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89;28:604-616. 

  19. Kim K, Kim J, Won H. Symptomatic study of depression, part 2, aspects of korean depression symptom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77;16:46-52. 

  20. Jun T, Kim D, Lee K. Comparison between self-report scale according to physical symptoms complained by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schizophrenia and mani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4;33:1219-1231. 

  21. Lee BL, Kim DJ, Shin MS, Choi BM. A preliminary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s of Wahler physical symptom inventor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2;41:146-158. 

  22. Ancoli-Israel S, Soares CN, Gaeta R, Benca RM. Insomnia in special populations: effects of aging, menopause, chronic pain, and depression. Postgrad Med 2004;116:33-47. 

  23. Kim K, Uchiyama M, Liu X, Shibui K, Ohida T, Ogihara R, Okawa M. Somatic and psychological complaints and their correlates with insomnia in the Japanese general population. Psychosom Med 2001;63:441-446. 

  24. Wayne K, Gary R. Depression and somatization: a review. Am J Med 1982;72:127-135. 

  25. Romano JM, Turner JA. Chronic pain and depression: does the evidence support a relationship? Psychol Bull 1985;97:18. 

  26. Jun J. Organizational diagnosis for efficient organizational design and Research service for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 by the national fire service.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ssociation;2018. 

  27. An S, Do M. The effect of firefighters' professional pride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job t ype. Korean Human Resources Administration 2019;18:93-114. 

  28. Greene-Shortridge TM, Britt TW, Castro CA. The stigma of mental health problems in the military. Mil Med 2007;172:157-161. 

  29. Taylor DJ, Lichstein KL, Durrence HH, Reidel BW, Bush AJ. Epidemiology of insomnia, depression, and anxiety. Sleep 2005;28:1457-1464. 

  30. Jun J, Kim S, Lee Y, Jo S. Effects of major depression and insomnia on somatization symptoms.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012;19:84-88. 

  31. Bastien CH, Vallieres A, Morin CM. Validat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as an outcome measure for insomnia research. Sleep Med 2001;2:297-307. 

  32. Kroenke K, Spitzer RL, Williams JB. The PHQ-15: validity of a new measure for evaluating the severity of somatic symptoms. Psychosom Med 2002;64:258-266. 

  33. Horowitz M, Wilner N, Alvarez W. 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 Med 1979;41:209-218. 

  34. Weiss DS, Marmar CR.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Wilson JP, Keane TM, editors.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New York: Guilford Press;1997. p.399-411. 

  35. Cohen S, Kamarck T, Mermelstein R.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 Health Soc Behav 1983;24:385-396. 

  36. Cohen S, Williamson G. Perceived stress in a probability sample of the US In: Spacapam S, Oskamp S, editors. The social psychology of health: Claremont Symposium on Applied Social Psychology;1988. 

  37. Lee J, Lee M. Effects of self-complexity and self-efficacy on de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Koreanpsychology 2005;2005:422-423. 

  38. Connor KM, Davidson JR.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Depress Anxiety 2003;18:76-82. 

  39. Vaishnavi S, Connor K, Davidson JR. An abbreviated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the CD-RISC2: Psychometric properties and applications in psychopharmacological trials. Psychiatry Res 2007;152:293-297. 

  40. Jo K, Chae S, Park A, Lee H, Shin I, Min S. Optimal cutting value of Korean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K) for screening dangerous drinkers. Korean Academy of Addicition Psychiatry 2009;13:34-40. 

  41. Beekman AT, Deeg D, Van Limbeek J, Braam AW, De Vries M, Van Tilburg W. Brief communication: criterion validity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results from a community-based sample of older subjects in the Netherlands. Psychol Med 1997;27:231-235. 

  42. Sheehan DV, Lecrubier Y, Sheehan KH, Amorim P, Janavs J, Weiller E, Hergueta T, Baker R, Dunba GC.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MINI):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tructured diagnostic psychiatric interview for DSM-IV and ICD-10. J Clin Psychiatry;1998. 

  43. Jung J, Kim HC, Sakong JK, Sung HM, Jung SW, Lee EJ, Shin IH, Kim JB. Suicidality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the impact of psychiatric comorbidit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2;51:85-92. 

  44. Ohayon MM. Severe hot flashes are associated with chronic insomnia. Arch Intern Med 2006;166:1262-1268. 

  45. Nyer M, Farabaugh A, Fehling K, Soskin D, Holt D, Papakostas G, Pedrelli P, Fava M, Pisoni A, Vitolo O, Mischoulon D. Relationship between sleep disturbance a nd depression, anxiety, and functioning in college students. Depress Anxiety 2013;30:873-880. 

  46. O'Leary K, Bylsma LM, Rottenberg J. Why might poor sleep quality lead to depression? A role for emotion regulation. Cognition and Emotion 2017;31:1698-1706. 

  47. Curcio G, Ferrara M, De Gennaro L. Sleep loss, learning capacity and academic performance. Sleep Medicine Reviews 2006;10:323-337. 

  48. Brosschot JF. Cognitive-emotional sensitization and somatic health complaints. Scand J Psychol 2002;43:113-121. 

  49. Zhong X, Hilton HJ, Gates GJ, Jelic S, Stern Y, Bartels MN, Demeersman RE, Basner RC. Increased sympathetic and decreased parasympathetic cardiovascular modulation in normal humans with acute sleep deprivation. J Appl Physiol 2005;98:2024-2032. 

  50. Lee NY, Hah YS. Post-traumatic stress experienced by firefighters and paramedic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2;9:83-9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