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라시대 교량 월정교 교각기초의 복원안정성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ty of Foundation for Piers of WoljungGyo Bridge Built in Ancient Silla 원문보기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18 no.4, 2019년, pp.273 - 286  

이광우 (Department of Infrastructure Safety Research,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홍기권 (Institute of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Korea Engineering & Construction) ,  유승경 (Dept. of Civil Engineering, Myongji Colleg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라의 수도인 경주에 서기 760년에 건설된 것으로 알려진 월정교에 대한 복원공사가 최근 완료되었다. 고문헌에 따르면, 월정교는 축조 이후 고려시대인 서기 1280년까지 약 520년 동안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월정교지에서는 양측 교대와 4개의 교각기초 및 한두단의 교각석이 발견되었다. 발견된 교각기초 중 하나는 상당한 부등침하가 일어난 상태였다. 따라서 월정교의 안전한 복원을 위해서는 부등침하의 원인을 밝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월정교 복원공사에 앞서, 지층상태 파악을 위한 시추조사, 2차원 지반강성 평가를 위한 표면파시험, 지지력 평가를 위한 대형평판재하시험 등 광범위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지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초안정성 평가를 위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월정교 교각기초의 하부지반은 월정교 복원에 따른 하중에 대해 지지력 및 침하에 충분한 안전율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교각기초 하부지반에 대한 추가적인 보강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복원에 앞서 부등침하가 발생한 교각기초 하부에 자갈을 이용한 평탄화 작업은 실시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derelict bridge called WoljungGyo was restored in Gyeongju, the capital city of ancient Silla. WoljungGyo was originally built in 760AD, and later rebuilt in 1280AD during the Goryeo Kingdom. The bridge lasted in working condition for at least 520 years. The bridge was uncovered to the remains of ...

주제어

표/그림 (1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월정교 교각 하부 기초지반의 상태평가와 이론해석을 통해, 기초지반의 부분적인 보강과 교각기초석의 정렬(整列) 작업만으로도 월정교 복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월정교 복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기초지반 거동을 파악할 수 있는 정재하시험을 통해 최종적으로 기초의 안정을 평가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월정교 복원의 중요성과 실험평가의 효율성을 감안하여, 대형 평판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대형 평판재하시험 위치는 Fig.
  • 가역성(可逆性)에 입각하여 현재 잔존하고 있는 기초 유구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금번 월정교복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따라서 현장 지반조사와 상부 구조설계 결과를 바탕으로 기초지반에 인위적인 보강을 하지 않은 상태에 대한 교량기초 안정해석을 수행하여, 기초 보강의 필요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실험결과로부터 결정된 세굴방지공을 설치한 경우와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 교각기초의 지지력 및 침하 특성을 각각 평가하였다. 퇴적 모래층 및 자갈층, 암반층의 순서로 분포하고 있는 월정교지지층에 대해, 교각과 교각 사이 및 교각과 교대 사이의 퇴적모래층을 쇄석으로 치환한 것으로 간주하여 세굴방지공을 모사하였다.
  • 월정교 복원 공사시, 교각기초 및 교대 유구의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월정교를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교각기초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일련의 현장 조사 및 실험을 수행하여 월정교지 지반특성을 파악하였고, 지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각기초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월정교의 성공적인 복원을 위해 교각부의 기초지반 상태 및 지지특성을 확인하고, 기존 유구의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월정교를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교각 기초 설계, 시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각과 교각 및 교각과 교대 사이의 중앙부 위치에서 수행한 지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각기초 하부의 지층상태를 추정하였다. 또한 안전측의 검토를 위해, 교각기초 하부에는 어떠한 지반보강도 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여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초의 의미는? 기초(基礎)라는 용어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 정확하지는 않으나, 그 의미는 상부의 자중, 적재하중, 각종 외력을 받아 이것을 안전하게 지반에 전달하는 지중 구조물을 총칭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고대 기초공법에 대한 문헌 자료나 연구결과는 찾아보기가 쉽지 않을 정도로 극히 드문 실정이다.
월정교의 안전한 복원을 위해 요구되는 것은? 발견된 교각기초 중 하나는 상당한 부등침하가 일어난 상태였다. 따라서 월정교의 안전한 복원을 위해서는 부등침하의 원인을 밝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월정교 복원공사에 앞서, 지층상태 파악을 위한 시추조사, 2차원 지반강성 평가를 위한 표면파시험, 지지력 평가를 위한 대형평판재하시험 등 광범위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문화재의 복원이 현존 유구의 훼손을 최대한 억제한 상태에서 즉, 원형을 가급적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문화재의 복원은 잔존 유구 및 유물을 정비하고 학술적 고증을 거쳐 원래 모습에 가깝게 복원(또는 중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현존 유구의 훼손을 최대한 억제한 상태에서 즉, 원형을 가급적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향후 대상 문화재에 대해 새로운 역사적 사실이 밝혀 지거나 더 나은 기술이 개발되었을 때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월정교의 복원에 있어서도 기존 유구의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안전하게 복원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절한 기초 보강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Gyeongju-si (1986), Report of excavation survey and restoration design for Woljunggyo. 

  2. Jang, H. D. (2009), "Restoration work of Woljeong-gyo",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53(11), pp.84-88,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 Joh, S. H, Jang, D. W., Gang, T. H. and Lee, I. W (2005), "Evaluation of Stiffness Profile for a Subgrade Cross-Section by the CAP (Common-Array-Profiling)-SASW Technique",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21, No.4, pp.71-81. 

  4. Kang, J. G., Yeo, H. K. Son. B. J. and Ji, U. (2008), "An Experimental Study to Evaluate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of Scour Protection for Historic Site Restoration of Woljeong-gyo", J. of Korea Water Resour. Assoc., Vol.41, No.8, pp.845-854. 

  5. KNUCH (2006), Master plan and feasibility study for restoration of Woljunggyo,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6. Nam, S. J. (2007), "Restoration Study of Woljeong-gyo",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ol.16, No.4, pp.77-93. 

  7. NRICH (1988), Report of excavation survey for Woljunggyo sit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