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포츠문화와 사회변화의 관계 탐색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Culture and Social Chang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6 no.4, 2019년, pp.1181 - 1187  

구강본 (한국교통대학교 스포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의 스포츠는 그 자체만으로도 매우 다양한 현상을 표출하기도 하고, 복잡한 사회적 기호를 재생산하거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각 시대에서 중심적 이슈가 되고 있는 이데올로기와 결합하면서 변용되는 스포츠의 의미는 최근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최근 사회 현상을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과 만나서 스포츠문화는 새로운 현상을 생산하고 있다. 과연 이러한 시대에 우리는 스포츠문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해야 하는 것이 옳은 접근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이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각각의 학문별로 영역별로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 그것이 스포츠문화의 재해석이라는 것으로 표현되었다. 스포츠문화가 어떻게 소비되고, 확산되고, 재해석되어 가는가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스포츠문화의 방향과 지향점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와 같은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스포츠문화는 무엇을 소비하는가에 대한 답을 다섯 가지 형태로 제시하였다. 이를 근거로 스포츠문화의 확산 매개체로 학교체육, 스포츠 동호회(스포츠 클럽), 스포츠이벤트, 스포츠미디어, 스포츠와 관련된 공정성을 제시하였다. 우린 수많은 과학문명을 수용하고, 변용하면서 스포츠문화를 향상시키고, 소비자에게 촉진 시키고 있다. 다만 그러한 것을 규정화 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다. 보다 근본적인 부분에서의 노력, 즉 문화 규정짓기와 근본적인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고, 해야 한다. 스포츠문화의 재해석이라는 틀은 단지 해석의 차원이 아니라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과 답을 끊임없이 찾아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ay's sports, by themselves, express a wide variety of phenomena and reproduce or imply complex social symbols. The definition of sports being transformed in combination with ideology, which has become a central issue in each era, has become more diverse in recent years. Recently, with the 4th I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기 때문에 해석하는 기준, 시대적 배경, 경제적 수준 등에 따라서 다양한 설명이 가능하다. 발표자는 최근 우리가 소비하고 있는 스포츠문화를 요약하여 다섯 가지의 측면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넷째, 스포츠문화는 상징적 이미지를 소비하는 것이다. 이제 스포츠는 문화코드를 해석하는 하나의 기준이 되었다.
  • 둘째, 스포츠문화는 사회적 관계를 소비하는 것이다. 규칙이라는 것을 기반으로 경쟁하여 나를 들어나게 하는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소비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 첫째, 스포츠문화는 인간행동을 소비하는 것이다. 스포츠문화는 인간행동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되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포츠문화는 어떻게 성장하였는가 지금까지의 스포츠문화는 문화에서 분화되어 독자적이고, 전문적으로 성장하였다. 즉 고유하면서 독특한 문화를 생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자성과 전문성에 대하여 아직 혼란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스포츠를 발전시키는데 필요한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스포츠를 발전시키는데 필요한 요소는 다양하다. 과학, 기술, 지도자, 용품 등 다양한 요인이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스포츠문화를 전달하고 이해시키는 과정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스포츠문화에 대한 연구는 어떠한 학문적 영역인가? 스포츠문화에 대한 연구는 스포츠를 하나의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문화현상으로 인식하고,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 또는 기간과 공간을 초월해 어떠한 공통점이 있는지 살펴보는 학문적 영역이다[2]. 또한 문화의 하위영역으로 스포츠문화가 사회 변화에 따라 어떻게 사회와 동조하고, 이질화 되어 왔는지 결과는 무엇인지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영역이고, 여기서 나오는 정보를 체계화하여 인간행동을 분석 축적하기도 하는 분야가 스포츠문화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 J. Kim, M. J. Lee, S. B. Choi. "A Study on Sports as a Field of Distinction: Focusing on the Preference, Participation, and the Place of Sports Activitie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37, No. 3, pp. 53-77, (2014). 

  2. J. S. Lee, "Sports culture history", Communication books. Seoul, (2014). 

  3. K. Wan, "Do you play or do you want to play?", Cultural Science. Vol. 38, pp. 177-182, (2004). 

  4. K. B. Goo, "The Role of Sports Ethics in Educating Physical Educa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Vol. 26, No. 4, pp. 45-56, (2018). 

  5. J. Baudrillard, "La societe de Consommation : Ses Mythes, Ses Structures", Moon Ye Publishing. Seoul, (1991). 

  6. S. Y. Kim, "A Study of Sport Consumer Culture in Consumer societ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ociology of Sport, Vol. 16, No. 2, pp. 431-445, (2003). 

  7. J. Y. Lee, "Cross Cultural Differences in Advertising Strategy for Sorts Produc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9, No. 4 pp 331-339, (2009). 

  8. H. J. Kang, J. Y. Lee, "Modern Sports Management", Hakhyunsa, Seoul, (2013). 

  9. J. Y. Bae, "Planned Culture, Made S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ological, Vol. 2013, No. 6, pp. 301-315, (2013). 

  10. J. H. Jung, "Watching Sports and Playing Sports" Create-Ideacard ttps://www.slideshare.net/phploveme/crevate-ideacard, (2010. 03. 15) 

  11. Eric Cruz, "Re-Inventing The Game: The Evolution Of Sport As Cuilture", IDCC Proceeding, Vol. 2007, No. 9, pp. 46-55, (2007). 

  12. S. J. Kim, M. J. Lee &, S. B. Choi, "A Study on Sports as a Field of Distinction : Focusing on the Preference, Participation, and the Place of Sports Activitie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37, No. 3, pp 53-77, (2014) 

  13. S. W. Nam, "Critical Literature Review of Sport Subculture Studies", Korean Society for the Sociology of Sport, Vol. 31, No. 1, pp 81-105, (2018). 

  14. H. J. Seo, "A Reading of Sociocultural Code Reflected in Mixed Martial Arts", Korean Society for the Sociology of Sport, Vol. 17, No. 1, pp 61-71, (2004). 

  15. T. H. Yu, B. J. Lee, "Exploring the Concept of New Sports and its Educational Meaning",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Vol. 13, No. 1, pp. 67-82, (2006). 

  16. Y. I. Yoon, "Setting fire to the fireplace", Livestock Newspaper, http://www.chuksannews.co.kr/news/article.html?no112224#092i, (2018. 01. 10) 

  17. K. B. Goo, S. B. Kim, "Issues of Sports Circle in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Vol. 26, No. 2, pp. 7-17, (2018). 

  18. J. H. Kim, Korean Sports and Cultural Power after the Flowering Time,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2004). 

  19. S. H. Kim, "Sports Culture of the Country was Investigated as Korean Code",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29, pp. 23-36, (201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