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체기능장애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웰니스
Comparison of Acceptance of Disability, Stress, Coping Methods, and Wellness between Mothers of Physical Dysfunctional 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6 no.4, 2019년, pp.1385 - 1398  

강지순 (한세대학교 간호학과) ,  황지원 (경동대학교 간호대학) ,  김정애 (경복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체기능장애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스트레스, 대처방식, 웰니스 정도를 비교하여, 유형별 장애아동 어머니를 위한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10월부터 2019년 4월까지 실시하였고, 두군 간의 차이는 t-test, ANOVA, Pearson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신체기능장애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스트레스, 대처방식, 웰니스 정도에 따라 두군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기능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과 대처방식(r=0.23, p=.033), 장애수용과 웰니스(r=0.51, p<.001)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장애수용과 스트레스(r=0.72, p<.001)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과 웰니스(r=0.40, p<.001)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장애수용과 스트레스(r=-0.71, p<.001)는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신체기능장애아동 어머니는 장애수용 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는 낮게, 대처방식과 웰니스는 높게 나타났다. 발달장애아동 어머니는 장애수용 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낮게, 웰니스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신체기능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증진을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낮춰주는 전략 및 대처방식과 웰니스를 모두 증진시켜주는 전략이 필요하고 반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에게는 스트레스를 낮춰주는 전략과 웰니스를 증진시켜 주는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 survey study to provide the base data necessary to prepare efficient management plans for the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by type, comparing degrees of disability acceptance, stress, coping method and wellness between mothers with physical functional disordered children and devel...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유형 특성에 따라 신체 기능장애 및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스트레스, 대처 방식, 웰니스 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유형별 장애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최적의 가족지원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전국장애인 부모연대’에 소속된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신체기능 장애아동과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스트레스, 대처방식, 웰니스 정도를 조사하고 비교 하였다.
  • 본 연구는 장애유형별 신체기능장애아동 어머니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스트레스, 대처방식, 웰니스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유형별 신체기능장애아 동과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스트레스, 대처방식, 웰니스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는 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신체기능장애아동 어머니가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보다 웰니스 정도가 더 낮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신체기능장애 어머니들의 지원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어야 함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상대적으로 신체 기능장애 어머니는 장애수용정도를 높이기 위한 스트레스 감소, 대처방식 증진, 웰니스 정도를 높여서, 심리적 지지를 받고 충분한 정보 습득을 통해 실천할 수 있는 교육을 부단히 받아야 한다.
  • 본 연구는 ‘전국장애인 부모연대’에 소속된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신체기능 장애아동과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스트레스, 대처방식, 웰니스 정도를 조사하고 비교 하였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비교조사 연구이다. 연구결과, 신체기능장애아동과 발달장애아동어머니의 장애수용정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웰니스 정도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수용이란 무엇인가? 장애수용은 역경을 통해 더 강화되고 더 많은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이며, 위기에 반응하여 이를 감당하고 스스로를 조절하며 성장하는 적극적인 과정이라는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다. 장애아동의 양육과 관련된 양육부담,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장애를 수용하는 과정을 통해 장애아동을 돌보는 준 치료사로서 어머니는 장애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많은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대책 방안 모색이 절실한 이유는 무엇인가? 선행연구를 보면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가 높으면 삶의 만족도나 심리적 안녕감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7]. 만약 스트레스로 인해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이 낮아진 다면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부정적 대처방식이 가족 전체로 확대된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대책 방안 모색이 절실하다. 장애아동을 돌보는 어머니의 경우 일상에서 지속되는 스트레스와 예기치 못한 위기가 발생 되는 상황 안에서도 대처 능력에 따라 적응 정도가 차이가 있고, 개인의 욕구 만족 정도에 따라 긍정 혹은 부정적인 적응 상태를 보이기도 한다[3].
신체기능장애아동 부모님의 지역사회연계 돌봄서비스 등 다양한 전략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하위 영역에서는 심리적·사회적· 신체적 영역에서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었고, 경제·교육 영역의 스트레스는 차이가 없었다. 장애인 가족은 자녀의 장애를 둘러싼 부부간의 갈등, 우울, 분노, 좌절 등의 부정적인 정서적 경험과 자녀에게 필요한 것을 충족시키는데 겪게 되는 각종 스트레스, 사회활동 및 여가시간의 축소 등으로 인한 부차적인 상실감, 미래에 대한 불안등 다양한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기도 한다[25]. 발달장애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24]에서 양육스트레스가 높을 때 아동학대, 우울감이 높아지고 그리고 장애수용 정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볼 수 있다. 뇌성마비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26]에서 극단적 유형의 가족이 조화를 이룬 가족에 비해 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기능장애아동 어머니의 스트 레스 수준을 낮추기 위한 가족구성원간의 지지협 력체계 혹은 지역사회연계 돌봄서비스 등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National Health Statistic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7th 2 Year. (2018) http://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8179. 

  2. B. C. Choi, Y. J. Yu, "The Effects of Family Functioning on the Perception of Burden in Parent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Vol.61, No.4 pp. 131-151, (2018). 

  3. J. H. You,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ess and Family Function between Parents of Mentally Retarded and Physically Disabl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005). 

  4. I. S. Cho, J. H. You,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ess and Family Function between Parents of the Mentally Retarded and Physically Disabled", The Korean Society for the education on mental retardation, Vol.8, No.1 pp. 35-56, (2006). 

  5. H. J. Jung, S. S.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Family Communication on Disability Acceptance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17 No.2 pp. 69-95, (2013). 

  6. S. Y. Kim,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Ego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Master's thesis, Jeonnam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015). 

  7. H. J. Song, S. Y. Kim,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Disability Acceptance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Vol.22, No.2 pp. 94-115, (2015). 

  8. M. N. Lee, Effect and development of mother-child interaction program for toddlers with cerebral palsy, Doctoral thesis, Yonsei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014). 

  9. D. H. Jung, A qualitative research on mothers' experience of caring teenagers with cerebral palsy, Doctoral thesis, Seoul Christi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008). 

  10. A. Turnbull, R. Turnbull, E. J. Erwin, L. C. Soodak , K. A. Shogren. Famiies, professionals, and exceptionality: positive outcomes through partnership and trust. Person Education Inc., (2011). 

  11. H. L. Dunn, High-level wellness. 1st ed. Arlington, VA: R. W. Beatty Co, 75-101. (1961) 

  12. J. S. Ka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ellness in Disability Children/s Main Caregiver: Focusing on Acceptance of Disability, Coping Methods, Stres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23, No.2 pp. 89-106, (2019). 

  13. K. W. Ko, C. Y. Nam, Analysis of Studies on the Disability Acceptance of Mothers with the Disabled Children : Focusing on Quantitative Studies in Korea, Journal of Critical Social Welfare, Vol, 51, pp. 368-402, (2016). 

  14. M. J. Lee, A Study on the Breeding Attitude of Mother and the Trouble Action of Infant,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000). 

  15.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rticle 2) 

  16. https://m.terms.naver.com/entry.nhn?cid51007&docId927188&categoryId51007 

  17. G. S. Oh, A study of variables affecting the level of maternal adjustment to the child with mental retardation, doctoral thesis,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Carbondale, (1993). 

  18. W. D. Park, The Influence of Family Resilience on Family Adaptation of Familie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dilities Persons,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009). 

  19. S. G. Yu, Stress and social welfare service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at Republic of Korea, (2000). 

  20. J. H. Amirkhan, "A factor analytically derived measure of coping: The Coping Strategy Indicator", o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9, pp. 1066-1075, (1990). 

  21. H. J. Shin, A validation study of coping strategy indicator(CSI)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002). 

  22. D. J. Anspaugh, M. H. Hamrick, F. D. Rosato. Wellness : concepts and applications. St. Louis : Mosby, (1994). 

  23. S. K. Kim, "Development of Lifestyle Assessment Inventory for Wellness of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39, No.4 pp. 963-982, (2000). 

  24. S. Y. An, The of Effects that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Disability Acceptance of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s Mothers have on Child Abuse, Delayed, Redundant, and Health Disorder Research. Vol. 58, No. , pp 219-238. (2015). 

  25. Y. H. Nam, Y. S. Kim, S. H. Yeon, "A Study on the Effected the Family Adaptability to Families Burde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20, No.2 pp. 49-72, (2016). 

  26. H. J. Lee, Y. S. Eo, "A Study on Family Functioning and Burden of Parents with Cerebral Palsy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6, No.2 pp. 199-211, (2000). 

  27. J. D. Kim, Family Adaptability of Parents and Sibling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ies, Doctoral thesis, chungnam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010). 

  28. K. E. Yeo, I. S. Jo. Theory and practice of behavior modification (for parents and teac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 Gyeongsan : Daegu University Press,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