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노인의 영양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사회적 연결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ctivities Daily Living, Instruments Activities Daily Living, and Social Network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Hom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6 no.4, 2019년, pp.1472 - 1484  

양경미 (중부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영양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사회적 연결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213명으로, 평균연령은 71.38±5.59세 이었다. 연구분석 방법은 SPSS 21.0을 사용하여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제 변수간의 차이, 영양상태, 일상생활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사회적 연결망(가족간지지, 친구간지지, 상호 의존적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의 독립변수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재가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서 삶의 만족도는 교육(F=5.280, p=.002), 경제상태(F= 22.407, p<.001), 월수입(F=3.181, p=.015), 주관적 건강상태(F=14.93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독립변수들간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삶의 만족도는 가족간 지지(r=268, p<.001), 친구간 지지(r=.286, p<.001)에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고, 영양상태(r=-.222, p=.001),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r=-.235, p=.001), 상호의존적 사회적지지(r=-.283, p<.001)는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재가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예측요인은 경제적 상태(β=.358, p<.001), 주관적 건강상태(β=.245, p<.001), 상호의존적 사회적 지지(β=-.158, p=.009),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β=-.153, p=.012)으로 30.1%의 설명력을 보였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23.778, p<.001).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재가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노인을 위한 재정적 지지, 노인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상호의존적 사회적 지지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 활동을 활성화하는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K-ADL, K-IADL, and social network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home. Total 213 research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ir average age was 71.38±5.59. As the methods of analysis, using the SPSS 21.0, this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남·녀 노인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영양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사회적 연결망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 변수들이 노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남·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예측변수를 확인하여 노인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는 65세 이상 재가노인의 영양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사회적 연결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광역시 대도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재가 남·녀 노인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영양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사회적 연결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한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겠다.
  •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영양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사회적 연결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고, 재가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고,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9년 4월 25일에서 5월 31일 까지 자료수집을 수행하였고, 235부를 배포하여 설문지 답변이 불충분한 자료 22부를 제외하고 총 213부를 최종 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 자발적 참여를 원하는 대상자에게 설문지 작성 방법,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대상자 선정방법, 비밀보장, 연구 참여 동의 및 철회 가능, 자료수집 방법과 소요시간, 설문지 작성에 동의했어도 자유의지에 의해 언제든지 철회가능 및 어떠한 불이익이 없음을 상세히 설명하였고,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고자 하는 대상자로부터 연구 참여에 대한 서면동의를 받았다. 연구대상자가 시력저하로 설문지를 스스로 작성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본 연구자가 설문 문항을 읽어주고 대답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 선행연구결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남·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영양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사회적 연결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노인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우리나라 노인들의 다수는 노화로 인한 건강문제[1],[2],[3],[4]. 소득 감소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1],[4], 영양불량[5],[6],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저하[1],[7], 노년기의 사회적지지 또는 연결망 저하[6],[7], 빈곤[8],[9]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노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임을 알 수 있는 근거는?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연구패널 자료를 활용 하여 만65세 이상 노인 3,943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결과, 주관적 건강상태와 사회적 연결망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15] 사회적 연결망은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고[16], 사회적 연결망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6]. 이와 같이 사회적 연결망은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삶의 질과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의 건강상태는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노인의 영양 상태가 매우 나쁜 상황임을 보여주는 수치는? 노인의 영양 상태를 확인하는 측정 도구중 하 나인 Nutritional Screening Check List (NSI)를 사용하여 도시노인 196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영양 상태를 수행한 연구에서, 영양상태가 양호한 노인은 70명(35.7%), 중등도 위험군은 57명 (29.1%), 고위험군은 69명(35.2%)으로 나타났고 [6], 일도시지역 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영양불량 83%, 정상 17%[10]로 나타나 우리나라 노인의 영양 상태는 매우 나쁜 상황임을 보여주고 있다. 노인의 영양 불량 상태는 노인의 건강상태를 악화시켜 삶의 만족도 및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S. K. Nam, O. S. Shim, "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n Quality of Life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53, pp. 239-259. (2011). 

  2. Y. P. Lee, S. K. Park, J. H. Khil, S. H. Maeng, J. W. Shin, S. Chung, "The Effect of Exercise Participation in Elderly on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Life Satisfication", The Korea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Vol. 26, No. 4, pp. 495-500. (2018). 

  3. J. Y. Song,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ith Chronic Illnes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 13, No. 5, pp. 273-280, (2019). 

  4. J. H. Noh, "What Are Needed for Satisfied Life of the Elderly?: Focusing on wealth, health and economic activities", GRI Review, Vol. 20, No. 2, pp. 287-317. (2018) 

  5. H. S. Hyun, I. S. Lee, "Nutritional Status and Risk Factors for Malnutrition in Low-income Urb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4, No. 6, pp. 708-716. (2014). 

  6. H. K. Kim, H. K. Chang, M. R. Lee, Y. J. Son, S. J. Han, N. Y. Yang, M. R. Yoo, S. Y. Choi, Y. M. Kim, "Influence of Malnutrition and Social Network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of Nursing, Vol. 20, No. 2, pp. 98-107(2013) 

  7. K. H. Kim, "The Impact of ADL Disability through Social Networks on Depression in Old Age",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73, No. 2, pp. 49-77. (2018). 

  8. H. C, Kim, "Depression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 between The Socioeconomic Deprivation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9, No. 2, pp. 231-247. (2019). 

  9. S. J. Lee, Y. J.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Status and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of the Elderl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8, No.12, pp. 771-779. (2018) 

  10. S. H. Kim, S. C. Kwon, "Nutritional status among elderly Korean women and related factor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4, No. 1, pp. 16-24. (2012). 

  11. Korea Statistics, 2015 Elderly Statistics, Korea Statistics (2015) 

  12. Y. J. Kang, K. H. Jung, "An Empirical Study on Income Inequality and Health in Korean Society",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46, No.4, pp. 265-291. (2012). 

  13. J. Y. Jung, J. S. Kim, H. J. Choi, K. Y. Lee, T. J. Park, "Factors Associated with ADL and IADL from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Korean J Fam Med. Vol. 30, pp. 598-609. (2009). 

  14. O. M, Baik, "Factors associated with functional health outcome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pplying Andersen's revised model",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 38, pp, 1-27, (2011), 

  15. D. M. Yeum, J. S. Jung, "Research 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Elderl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ing",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 30, No. 4, pp. 27-50. (2014) 

  16. Y. M. Ko, Y. T. Cho, "Different Influence of Risk Factors on Self-rated Health between The Economically Poor and Non-poor Elderly Populations Living Alone :Based on One Sub-area in Seou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30, N0. 2, pp. 41-53. (2013). 

  17. J, H, Kim, "Influential Factors on the Change i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Households - Longitudinal Analysis using a Latent Growth Model",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9, N0. 1, pp. 339-349. (2019). 

  18. S. S. Park,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n the Aged Life Satisfaction : Using Decision Tree Model",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 29, N0. 3, pp. 39-57. (2018). 

  19. K. S. Park, "Informal Social Ties of Elderly Korean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ol. 34(FAL), pp. 621-647. (2000). 

  20. L. Kennedy-Malone, K. R. Fletcher, L. M. Plank, Management guidelines for nurse practitioner working with older adults (2nd ed.). Philadelphia: F. A. Davis Company (2004) 

  21. H. H. Yu, I. S. Kim, "Health status, dietary patterns and living habits of the elderly in Jeon-Ju",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ol. 5, No. 2, pp. 91-102. (2002). 

  22. C. W. Won, K. Y. Yang, S. Y. Kim, E. J. Lee, J. L. Yoon, K. H. Cho, et al.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K-IADL) scale", Th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Vol. 6, No. 1, pp. 107-120. (2002). 

  23. M. P. Lawton, E. M. Brody,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Gerontologist, Vol. 9, No. 3, pp. 179-186. (1969). 

  24. J. E. Lubben, "Assessing social networks among elderly populations", Fam Community Health, Vol. 11, No. 3, pp. 42-52.(1988) 

  25. K. W. Lee, S. Y. Kim, W. B. Chung, G. S. Hwang, I. H. Hwa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Lubben Social Network Scal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 30, No. 5 pp. 352-358, (2009). 

  26. E. D.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S. Griffin,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 49, No. 1, pp. 71-76. (1985). 

  27. M. H. Cho, K. H. Cha, A Study of International comparing distribution on Quality of Life. Seoul: Jipmoon press. 1998. 

  28. S. H. Lee, "Chages in household consuption expenditure structure in 2015: Based on effect of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on economy." KB knowledge Vitamin, pp. 15-19, (2015). 

  29.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National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Older Koreans, 2016 

  30. Choe Yong Min, Lee Sang Ju,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ocial Support Network for Single Home-owned Old People", Korean J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22, pp. 193-217. (2003) 

  31. B. K. Shin, S. J. Lee, "Factors Influencing on the Length of Time When the Subjectiveand Economic Poverty Occurs to the Elderly after Retirement",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k Social Welfare, Vol. 71, No.4, pp. 61-89. (2016). 

  32. M. Y. Park, "Determining of the elderly poverty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6, No. 7, pp. 63-69, (2018). 

  33. Myung Jin Hwang, "Determinant of Poverty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Society, Vol. 11, No. 4, pp. 351-358. (2016). 

  34. R. H. Lee, J. K. Lee, "Material Hardship and Life Satisfaction among Low-income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73, No. 4, pp. 29-53,(2018). 

  35. K. W. Seo, Y. S. Song, "Influence of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Korean J Rehabil Nurs, Vol. 19 No. 2, pp. 71-81, (2016). 

  36. Y. K. Park, S. R. Suh, "A Predictive Model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Based on ICF Model,"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8, No. 2, pp. 113-123. (2018).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