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교사의 긍정적 놀이신념이 영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물리적 환경수준의 중재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level Between Infant Teachers' Positive Play Belief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5 no.6, 2019년, pp.41 - 57  

이미진 (인하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전공) ,  이완정 (인하대학교 아동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 effe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level between infant teachers' positive play belief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3 teachers in charge of one-year-old and two-year-old infants in c...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 교사의 긍정적 놀이신념이 영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물리적 환경수준이 변인 간 관계를 촉진하는지 분석해보고는 것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인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의 적절한 조화와 개선의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줄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긍정적 놀이신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물리적 환경수준의 중재효과를 분석하여 어린이집의 인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의 적절한 조화와 개선의 중요성을 알리고 이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 어린이집 0세에서 2세 영아반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483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교사의 긍정적 놀이신념이 높고 물리적 환경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와 영아 간 상호작용이 긍정적일 것으로 보이며, 구체적으로는 물리적 환경의 수준이 이들의 놀이신념과 영아와의 상호작용 간 관계를 중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 교사의 긍정적 놀이신념이 영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물리적 환경수준이 변인 간 관계를 촉진하는지 분석해보고는 것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인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의 적절한 조화와 개선의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놀이신념의 특징은 무엇인가? 교사의 일상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 중 하나는 놀이신념이라 할 수 있는데,교사는 영아와 놀이하면서 가장 많은 상호작용을 하고, 놀이를 통해 영아와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정서적 교류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정예뿐, 2017). 놀이신념은 교사의 놀이에 대한 자신감과 확신으로 영유아의 놀이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 놀이에 접근하는 방식 등을 형성시킨다(유미,2008). 활동 계획이나 환경 구성 등 교사의 교수학습 행위 대부분은 교사의 놀이신념에 의해 결정되며, 영유아와의 놀이 상황 전개뿐 아니라 영유아와의 활동 진행도 놀이신념의 영향을 받는다(Enochs & Riggs, 1990). 특히, 언어적 표현이 어려운 영아들의 생활 대부분은 놀이로 이루어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아기에 적합한 인적, 물리적 환경이 마련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즉, 어린이집에서 생활하는 영유아와 교사들에게 적합한 물리적 환경의 풍부함은 교사의 보육 효능감을 올려줄 수 있는 것이다(김정화, 2018). 영아기는 성장과 발달이 가장 급격하게 일어나고 발달의 기초를 다지는 시기이며 이 시기에 적절한 발달을 이루지 못하면 이를 회복하기 어렵기 때문에 영아기에 적합한 인적, 물리적 환경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이미화, 2019).
영아의 입장에서 교사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외 어린이집에서 생활하는 영아의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이라 할 수 있다. 영아는 긍정적이고 편안한 교사에게서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구하며,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도움을 받고(임수민,2013),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홍은숙,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숙현 (1994).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의 이해와 활용 : 유아교사를 위한 핸드북. 서울: 동문사. 

  2. 권혜진 (2013).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문제행동지도 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175-200. 

  3. 김미정 (2012). 산.학.관 협력 생태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 모형 개발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은영 (2010). 육아지원기관 시설.설비에 대한 인식: 유치원 교원과 보육시설 종사자 인식을 중심으로. 육아정책포럼, 21, 6-13. 

  5. 김정화 (2018).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어린이집의 물리적 환경, 업무지원 환경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31-132 

  6. 김정희, 김동춘 (2010). 영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조직커뮤니케이션 능력,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1(3), 149-173. 

  7. 김현경, 박희숙 (2015). 교사의 어릴 적 놀이경험이 놀이신념 및 놀이교수효능감,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4(4), 177-194. doi:10.17643/KJCE.2015.24.4.10 

  8. 김희진, 홍희란, 김언아 (2004). 영아를 위한 프로그램의 실제, 서울: 창지사. 

  9. 박천희 (2019). 영유아들의 놀 권리를 지원하는 교사의 역할. 2019 한국보육지원학회 춘계학술대회, 71-74. 

  10. 보건복지부 (2013).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11-1352000-001006-01). https://www.nccw.educare.or.kr/index.do에서 2019년 4월 3일 인출 

  11. 서은경, 송규운 (2016). 교사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생애학회지, 6(2), 61-75. 

  12. 서지은 (2014). 영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신은수 (2000).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 놀이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0(1), 27-42. 

  14. 신은수, 김명순, 신동주, 이종희, 최석란 (2002). 놀이와 유아.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5. 신은희 (1990). 놀이에 대한 교사의 사고체계와 실제행동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양미선 (2013). 가족 친화적 기업문화가 영아기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정건강성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양인정 (2003). 보육시설 물리적 환경실태와 종사자 인식간의 차이연: 성남시 국.공립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유미 (2008).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19. 육아정책연구소 (2009). 2009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보고서(11-1351000-000555-13).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http://www.kicce.re.kr에서 2019년 3월 22일 인출 

  20. 육아정책연구소 (2013). 영아보육의 실태 및 질 제고 방안(연구보고 2013-11).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www.kicce.re.kr에서 2019년 3월 22일 인출 

  21. 육아정책연구소 (2018). 2017년 유아교육 보육 주요통계(연구자료 2018-01).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www.kicce.re.kr에서 2019년 3월 22일 인출 

  22. 육아정책연구소 (2018).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조사 보고(11-1352000-000962-12). 서울: 보건복지부. http://www.kicce.re.kr에서 2019년 3월 22일 인출 

  23. 이금정 (1998). 국.공립과 사립 어린이집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미화 (2019). 영아 양육지원 정책의 방향과 과제. 제 2차 육아정책 심포지엄 자료집, 29-49. 

  25. 이상영 (2014). 직장어린이집 물리적 환경에 대한 사업주와 원장 간의 인식 비교.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소연 (2019). 영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놀이에서의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은해, 이기숙 (1996).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 교사를 위한 활용 지침서, 서울: 창지사. 

  28. 이정덕, 정영희 (2007). 유아교육기관의 실내 환경 위생관리 실태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403-426. 

  29. 임수민 (2014). 영아의 애착안정성 및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전미경 (2011). 직장보육시설의 실외놀이터 설치와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정예뿐 (2017). 보육교사와 만1세 영아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어린이집 자유놀이 시간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조해연 (2014). 어린이집 2세 학급의 물리적 환경, 보육과정, 교사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의 놀이행동과 사회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현정희, 김정원 (2008).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과 놀이 개념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93-113. 

  34. 홍근민 (1997). 영아보육환경의 질적 수준에 따른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홍은숙 (2013).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에서 교사의 민감성과 민감성 인식 및 영아의 적응행동.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36. 황정숙 (2000). 유치원 설립과 개원 준비 과정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회지, 4(2), 97-123. 

  37. 황혁, 나종혜 (2015). 어린이집 유아반 하루일과 유형과 물리적 보육환경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81-282 

  38. Abbott-Shim, M., Sibley, A. (1987). Asse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Atlanta, G.A: Quality Assist, Inc. 

  39. Enochs, L. G., & Riggs, I. M. (1990).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8), 694-706. doi:10.1111/j.1949-8594.1990.tb12048.x 

  40. Fogel, L. M. (2003). Parent beliefs about play: Relations with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child peer play compet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Colombia, USA. 

  41. Olds, A. R. (2001). Child Care Design Guide. New York: McGraw-Hill. 

  42. Sabol, T. J., & Pianta, R. C. (2012). Recent trends in research on teacher-child relationships. Attachment & Human Development, 14(3), 213-231. doi:10.1080/14616734.2012.672262 

  43. Stipek, D. J., & Byler, P. (1997).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Do they practice what they preach?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 305-325. doi:10.1016/S0885-2006(97)90005-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