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단지 계획 시 유해대기오염물질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Health Impact Assessment of Hazardous Air Pollutants in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Plan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8 no.6, 2019년, pp.616 - 625  

김상목 (영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손은성 (이투엠쓰리(주)) ,  서영교 (국립환경과학원) ,  백성옥 (영남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강영향평가는 개발사업 시행에 따른 사람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여 건강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환경영향평가 내에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건강영향평가 시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에 대한 일관성 부족으로 건강영향평가 매뉴얼 개선이 필요하나, 아직 개정은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실제 산업단지 개발 사례 및 기 수행된 건강영향평가를 중심으로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시 매뉴얼에 제시된 원단위 산정 방법을 다르게 적용한 4가지 사례를 선정하여 각각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각 산정된 배출량을 토대로 CALPUFF 모델을 이용한 확산농도 예측 후, 노출농도를 기준으로 위해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위해성 평가 결과, 배출량 산정 방법별 위해도 수준의 차이가 비교적 크게 나타남에 따라, 배출량 산정시 원단위 적용에 대한 매뉴얼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또한 배출량 산정 시 근거자료 활용에 대한 일관성, 건강영향평가에 최적화된 배출계수 개발, 현황 조사에 대한 신뢰성 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alth impact assessment is implemented with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the purpose of minimizing health damage by predicting the impact on human health following implementation of the development project. In health impact assessment, manual revision is required due to the lack of con...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산정된 각각의 배출량은 대기확산모델(CALPUFF)을 통해 인체 위해도 수준을 예측·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배출량 산정 시 원단위 적용방법에 따른 위해도 수준 차이를 비교하여, 건강영향평가 방법론과 관련된 연구 및 건강영향평가 매뉴얼개정 시 참고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아울러 본 사례 연구를 통해 발견된 문제점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제안하여 향후 진행되는 건강영향평가방법론 개선 연구 및 매뉴얼 개정 시 참고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쾌적한 환경에서 살고 싶어 하는 욕구와 더불어 환경의 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이 증대로 인한 영향은 무엇인가? 경제성장 등으로 인간의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살고 싶어 하는 욕구와 더불어 환경의 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과거 공기, 물, 토양 등의 환경 매체별 관리에서 건강을 중심으로 한 사전 예방적 차원의 정책을 수립하고 국민의 참여와 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있으며, 2008년 환경보건법을 제정·공포하여 건강을 고려한 사전 예방 정책의 대표적 수단으로 건강영향평가를 도입, 운영하고 있다(MOE 2010).
건강영향평가의 목적은 무엇인가? 건강영향평가는 개발사업 시행에 따른 사람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여 건강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환경영향평가 내에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건강영향평가 시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에 대한 일관성 부족으로 건강영향평가 매뉴얼 개선이 필요하나, 아직 개정은 되지 않고 있다.
건강영향평가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건강영향평가는 개발사업 시행에 따른 사람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여 건강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환경영향평가 내에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건강영향평가 시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에 대한 일관성 부족으로 건강영향평가 매뉴얼 개선이 필요하나, 아직 개정은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실제 산업단지 개발 사례 및 기 수행된 건강영향평가를 중심으로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시 매뉴얼에 제시된 원단위 산정 방법을 다르게 적용한 4가지 사례를 선정하여 각각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ek SO, Kang BW, Han JS, Lee MD, Lee HS, Kim JH, Son ES. 2009.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Hexavalent Chromium in the Industrial Area. J KOSAE. 25(3): 179-187. [Korean Literature] 

  2. EIAS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urpport System[Internet]. Available from: https://eiass.go.kr. 

  3. Joseph SS, David GS, Robert JY. 2000. A User's Guide for the CALPUFF Dispersion Model. Earth Tech, Inc. 

  4. KEI. 2005. The Application of Air Quality Models on Environment Impact. pp.44-50. [Korean Literature] 

  5. LH. 2015. Estimation of basic unit for Industrial sites. p.79. [Korean Literature] 

  6.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MOE). 2007. A study on the utilization guidelines of the environmental impact prediction model. pp.289-299. [Korean Literature] 

  7.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MOE). 2009. User Guide for Environmental Impact prediction Model. pp.20-23. [Korean Literature] 

  8.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MOE). 2010. Development of health impact assessment techniques and pilot project research(IV). pp.1-2. [Korean Literature] 

  9.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MOE). 2013. Manual of evaluation of health impact items for preparation of hygiene and public health items in environmental impact assement. pp.7, 14-23. [Korean Literature] 

  10.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MOE). 2014. A Study on Implementing the Plan for Improving Health Impact Assessment. pp.3, 149-166. [Korean Literature] 

  11.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MOE). 2016a. Survey report on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2014). pp.5, 12-15. [Korean Literature] 

  12.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MOE). 2016b. Annual report of air quality in Korea 2015. [Korean Literature] 

  13.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MOE). 2017.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ealth Impact Assessment Methodology. pp.3-4, 22-24. [Korean Literature] 

  14. Park JH. 2008. Meterological Field Generation Method for CALPUFF Model.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n. p.5. [Korean Literature] 

  15. PRTR.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 [Internet]. Available from: https://icis.me.go.kr/prtr/main.d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