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운동의도, 운동습관, 운동자기효능감이 규칙적 운동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xercise Intention, Exercise Habits, and Exercise Self-efficacy on Regular Exercise Behaviors in the Elderly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6 no.3, 2019년, pp.232 - 240  

남송미 (한국국제대학교 간호학과) ,  은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intention, exercise habit, exercise self-efficacy on exercise behavior with elders at welfare center. Methods: The subjects were 152 elders at the welfare center at J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s whic...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규칙적 운동을 하는 노인과 불규칙적 운동을 하는 노인의 운동의도, 운동습관, 운동자기효능감이 운동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노인 152명을 대상으로 운동의도, 운동자기효능감, 운동습관이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노인복지관 노인들 중 규칙적운동군이 92명(60.
  • 본 연구는 운동행위에 대한 운동의도, 운동습관, 운동자기 효능감의 영향력을 확인하여 노인복지관 운동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서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의 운동행위의 영향요인과 영향력을 파악하여, 노인 운동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 노인의 규칙적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그 영향력을 파악하여 노인 운동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대상자인 일 지역 노인복지관의 노인에서는 규칙적운동군과 불규칙적운동군간에 일반적 특성의 차이가 없었으므로, 추후연구에서 지역을 확대하고, 복지관의 수를 증가시켜 규칙적운동군과 불규칙적운동군간의 일반적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여 규칙적 운동수행을 증진시키는데 일반적 특성 차이를 고려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겠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규칙적운동군과 불규칙적운동군 간에 건강상태의 차이가 없어 운동의 수행에 건강상태 이외의 운동 관련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 중 운동의도는 규칙적운동군이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동습관이란 무엇인가? 습관이란 특정 단서(cue)에 자동적으로 반응하는 학습된 일련의 행동으로, 운동습관이란 운동을 위한 특정 단서에 자동적으로 반응하여 운동이 수행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운동습관은 Verplanke과 Orbell (2003)이 개발한 Self-Report Habit Index (SRHI)를 Lee와 Gu (2017)가 수정 ․ 보완한 도구인 한국형 운동습관 도구로 개발자의 도구 사용을 허락받았다.
왜 노인 운동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 하는가? 그러나 노인복지관의 운동 프로그램은 규칙적 운동행위 증진을 위한 체계적 수행이 미흡하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어(Kim et al., 2010), 규칙적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규명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반영한 운동 프로그램의 구성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규칙적 운동행위의 영향요인은 무엇인가? Ajzen (1991)의 계획된 행위이론은 많은 연구에서 운동행위를 설명하는데 적절한 이론으로 지지받고 있지만(Hashim, Jawis, Wahat, & Grove, 2014; Lee, 2018), 계획된 행위이론에서 의도는 행위를 25~35% 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위가 의도에 의해 일관되게 유도되지 않아 반복적이고 오랫동안 유지되는 습관의 중요성이 언급되고 있다(Lee, 2018). 따라서 규칙적 운동행위에 운동의도와 운동습관이 영향요인이라고 하겠다. 또한, 운동자기효능감은 운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의미하고(Lee & Chan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2. Fielding, R. A., Vellas, B., Evans, W. J., Bhasin, S., Morley, J. E., Newman, A. B., et al. (2011). Sarcopenia: An undiagnosed condition in older adults. Current consensus definition: Prevalence, etiology, and consequences. International working group on sarcopeni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12(4), 249-256. https://doi.org/10.1016/j.jamda.2011.01.003 

  3. Hashim H, A., Jawis M, N., Wahat, A., & Grove, J. R. (2014). Children's exercise behavior: The moderating role of habit processes with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Psychology Health & Medicine, 19(3), 335-43. https://doi.org/10.1080/13548506.2013.808751 

  4.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7). Annu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2017. Retrieved May 15, 2019 from http://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1000100&brdScnBltNo4&brdBltNo9675&pageIndex1 

  5. Hwang, E. H., & Chung, Y. S. (2008). Effects of the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benefits/barriers on doing regular exercise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3), 428-436. https://doi.org/10.4040/jkan.2008.38.3.428 

  6. Jeong, G. H., Oh. H., Yoon, K. L., Oh, M. A., Kang, E. N., Kim, K. R., et al. (2017). Survey of the elderly (Policy report No 2017-53).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Retrieved April 10, 2019 from http://www.prism.go.kr/homepage/entire/retrieveEntireDetail.do?research_id1351000-201800182 

  7. Joo, C. H., & Kim, O. N. (2018). The study on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elderly welfare center programs by region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1), 370-380. https://doi.org/10.5392/JKCA.2018.18.01.370 

  8. Kim, I. J., Lee, E. O., Kim, I., Kang, H. S., & Bae, S. C. (2001). Pender prediction of exercise behavior in patients with chronic arthritis based on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8(1), 173-178. 

  9. Kim, J. C., Song, S. T., Kim, K. H., Jung, Y. H., Ju, R. A., Cha, E. J., et al.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xercise programs for the elderly in senior welfare center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Retrieved April 10, 2019 from http://dl.nanet.go.kr/SearchDetailView.do?cnMONO1201238573_1 

  10. Kim, J. S., & Hyun, H. J. (2015). Effect of program promoting intention to exercise performance bas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7(1), 1-10. https://doi.org/10.7586/jkbns.2015.17.1.1 

  11. Kim, S. W., Kim, W. C., & Kim, H. C. (2019). The effects of exercise video game on elderly adults' exercise self-efficacy and selfperceived health status.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30(1), 33-42. https://doi.org/10.14385/KSSP.30.1.33 

  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2009.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trieved April 10, 2019 from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13. Lee, B. H., Ko, D. S., Bae, S. Y., Noh, J. S., Choi, M. S., & Park, J. (2010). Factor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Using TPB.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3), 23-31. 

  14. Lee, C. I., Hong, K. J., & Lee, W. H. (2014).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exercise program on successful aging.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13, 47-67. 

  15. Lee, M. J. (2011). An empirocal study on sports programs for the aged in case of Dobong-gu,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6. Lee, M. S. (2018). Development and effects of exercise habit formation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ationa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7. Lee, M. S., & Gu, M. O. (2017).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first and second yea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6), 53-67. https://doi.org/10.5762/KAIS.2017.18.6.53 

  18. Lee, P. S., & Chang, S. O. (2001). The study on the effect of stage based exercise motivational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5), 818-834. https://doi.org/10.4040/jkan.2001.31.5.818 

  19. Lee, S. H. (2017).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senior center by region: Focus on metropolitan areas, medium sized and small city areas, and rural areas. Hallym Journal of Aging Studies, 5(1), 21-35. 

  20. Manini, T. M., & Pahor, M. (2009). Physical activity and maintaning physical function in order adult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3(1), 28-31. 

  21. Marcus, B. H., Selby, B. C., Niaura, V. C., & Rossi, J. S. (1992). Self-efficacy and stage of exercise behaviors change.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63(1), 60-66. https://doi.org/10.1080/02701367.1992.10607557 

  22. Morley, J. E., von Haehling, S., & Anker, S. D. (2014). Are we closer to having drugs to treat muscle wasting disease?. 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 5(2), 83-87. https://doi.org/10.1007/s13539-014-0149-7 

  23. Park, S. Y., & Gu, M. O. (2018). Development and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for older adults with sarcopenia based on transtheoretical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8(6), 656-668. https://doi.org/10.4040/jkan.2018.48.6.656 

  24. Shin, J., K., Ahn, J. K., Kim, K. H., Kim, E. Y., & Kwon, Y. S. (2016). Aging research panel (KLoSA) basic analysis report.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p. 63. Retrieved May 15, 2019 from https://survey.keis.or.kr/openresearch/pubboard/List.jsp 

  25. Statistics Korea. (2018). Population aging population in 2018. Retrieved 12, 2018, from http://kosis.kr/conts/nsportalStats/nsportalStats_0102Body.jsp;jsessionidnwLvGSc9DHVCDX65qkcy85PF9SpLYqDoHUMHp0IDi0faXkllU7HXYFDvy0PXNyNv.STAT_WAS1_servlet_engine4?menuId10&NUM1014 

  26. Sung, S. C., Lee, M. G., & Kim, H. S. (2004). Effects of age, falling experience, and exercise habit on fitness level in the elderly men. Journal of the Korea Exercise Science Academy, 13(3), 367-380. 

  27. 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2008).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act sheets for professionals: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older adults. Retrieved April 10, 2019 from https://health.gov/paguidelines/2008/summary.aspx 

  28. Verplanken, B., & Orbell, S. (2003). Reflections on past behavior: A self-report index of habit strength.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3(6), 1313-1330. https://doi.org/10.1111/j.1559-1816.2003.tb01951.x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Geneva: WHO. Retrieved April 10, 2019 from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30. Yi, K. J. (2018). Effects of a therapy exercise program on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26(4), 83-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