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로자의 운동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운동행위가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대규모 사업장 근로자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Worker's Exercise Self-Efficacy, Self Determination, Exercise Behavior On Wellness :Focusing Large-scale Workplace Work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2, 2019년, pp.207 - 216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건강과학연구원) ,  양승경 (경남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근로자의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시에 위치한 1000명 이상 근로자가 근무하는 대규모 사업장 2곳에서 근로자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계수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근로자의 웰니스는 운동 자기효능감(r=.23, p<.05), 자율적 동기(r=.38, p<.001), 운동행위(r=.61, p<.001)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근로자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운동 자기효능감(${\beta}=.34$, p<.001), 운동행위(${\beta}=.30$, p<.001), 주관적 건강상태(${\beta}=-.23$, p<.001), 주관적 경제상태(${\beta}=-.13$, p=.016)로, 이들의 설명력은 57.3%(F=39.29, p<.001)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근로자의 웰니스 증진을 위해서 운동 자기효능감, 운동행위,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를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wellness of workers. This study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from 172 workers from two large workplaces more than 1,000 workers are located in G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근로자 웰니스는 개인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 뿐만 아니라 가족, 지역사회, 국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근로자 웰니스 상태를 파악하고, 근로자의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필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근로자 웰니스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근로자의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운동 자기효능감, 운동행위,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57.
  • 본 연구는 사업장 근로자의 운동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운동행위, 웰니스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이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근로자의 웰니스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사업장 근로자의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업장 근로자의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근로자의 웰니스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로자 웰니스의 효과는 무엇인가? 웰니스 수준이 높은 근로자들은 기업의 생산성 향상 및 국가의 웰빙에 기여할 수 있기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5]. 이러한 근로자 웰니스는 프리젠티즘과 결근율 감소, 의료비용 절감을 통해 사회적 부담 감소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하였다[6].
웰니스란 무엇인가? 최근 건강의 개념은 단순히 병이 없는 소극적 관점에서 벗어나 신체적, 감정적, 사회적, 지적, 정신적 안녕을 추구하는 보다 적극적인 개념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러한 건강의 개념을 함축적으로 나타내는 웰니 스(wellness)라는 용어가 등장하였다. 웰니스는 웰빙(well-being)과 행복(happiness), 건강(fitness)의 조합으로[3], 단지 질병이 없거나 질병위험을 회피하는 것을 넘어선 신체, 정신, 환경의 조화로운 통합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적극적인 상태(positive status)를 의미한다[4]. 웰니스 수준이 높은 근로자들은 기업의 생산성 향상 및 국가의 웰빙에 기여할 수 있기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5].
주관적 건강관련 인식과 건강증진행위의 정방향의 관계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선행연구에 따르면 주관적 건강관련 인식이 좋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다[40]. 이러한 결과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은 경우 건강증진행위를 통해 웰니스에도 영향을 미치게 됨을 의미하며, 스스로 느끼는 건강에 대한 만족이 삶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39]. 자신의 건강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개인의 안녕상 태를 잘 예측한다고 하였으므로, 건강관련 인식 향상을 위한 다양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건강증진행위를시행하고 웰니스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tatistics Korea. retrieved (Octor 12, 2018).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DA7001S&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 

  2. D. S. Ko, B. Y. Park & G. H. Seok. (2013). Relation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metabolic syndrome in daytime workers.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 8(12), 1941-1947. DOI : 10.13067/JKIECS.2013.8.11.1941 

  3.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2012). Office of strategic R&D planning. Korea: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4. H. L. Dunn. (1977). High level wellness, Thorofare, NJ: Charles B, Slack. 

  5. World Economic Forum. (2013). The workplace wellness alliance-making the right investment: employee health and the power of metrics[internet]. Geneva, CH: Author. 

  6. K. Baicker, D. Cutler & Z. Song. (2010). Workplace wellness programs can generate savings. Health Affairs, 29(2), 304-311. DOI: 10.1377/hlthaff.2009.0626 

  7. Ministry of Health & Wellfare. (2013). The physical activity guide for koreans.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37177&page1 

  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Global recommendation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www.who.int/dietphysicalactivity/factsheet_recommendations/en/ 

  9. Ministry of Health & Wellfare. (2016). Korea Health Statistic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10. R. Schwarzer & B. Renner. (2000). Social-cognitive predictors of health behavior: Action self-efficacy and coping self-efficacy. Health Psychology, 19(5), 487-495. DOI: 10.1037/0278-6133.19.5.487 

  11. S. Abbaspour, R. Farmanbar, F. Njafi, A. M. Ghiasvand & L. Dehghankar. (2017). Decisional balance and self-efficacy of physical activity among the elderly in Rasht in 2013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Electronic physician, 9(5), 4447-4453. DOI:10.19082/4447 

  12. B. G. Berger, D. Pargman & R. S. Weinberg. (2002). Foundations of Exercise Psychology. Morgantown, WV: Fitness Information Technology. 

  13. J. S. Kim. (2007). The Predicted of exercise decisional balance on stress,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21(2), 63-76. 

  14. A. F. Adeniyi, O. O. Ogwumike & T. R. Bamikefa. (2013). Postpartum exercise among nigerian women: Issues relating to exercise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ISRN Obstetrics and Gynecology, 1-7. DOI: 10.1155/2013/294518 

  15. R. Farmanbar, S. Niknami, D. R. Lubans & A. Hidarnia. (2011). Predicting exercise behaviour in Iranian college students: Utility of an integrated model of health behaviour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Health Education Journal, 72(1), 56-69. DOI: 10.1177/0017896911430549. 

  16. D. R. Taber, H. Meischke & M. L. Maciejewski. (2010). Testing social cognitive mechanism of exercise in college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34(2), 156-165. DOI: 10.5993/AJHB.34.2.3 

  17. A. Bandur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18. B. Resnick & L. S. Jenkins. (2000). Test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elf-efficacy for exercise scale. Nursing Research, 49(3), 154-159. 

  19. S. Lee, K. I. Jung, I. S. Kwon & M. J. Ham.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wellness according to exercise participation of muslim women : focused on Saudi Arabia.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30(2), 155-168. DOI : 10.22472/kpeaw.2016.30.2.155 

  20. P. J. Teixeira, E. V. Carraca, D. Markland, M. N. Silva & R. M. Ryan. (2012). Exercise, physical activity,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DOI : https://doi.org/10.1186/1479-5868-9-78 

  21. E. L. Deci & R. M. Ryan.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4), 227-268. DOI: 10.1207/S15327965PLI1104_01 

  22. J. Edmunds, N. Ntoumanis & J. L. Duda. (2007). Adherence and well-being in overweight and obese patients referred to an exercise on prescription scheme: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8(5), 722-740. DOI: 10.1016/j.psychsport.2006.07.006 

  23. M. S. Fortier, S. N. Sweet, T. L. O'Sullivan & G. C. Williams. (2007). A self-determination process model of physical activity adoption in the context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8, 741-757. DOI: 10.1016/j.psychsport.2006.10.006 

  24. S. D. Lee, J. G. Lim & S. H. Yoo. (2018).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exercise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healthy related fitness and wellness index.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7(2), 1139-1153. 

  25. C. Y. Choi & H. C. Cho. (2012). The effect of degree of senior exercise participation on Wellness. Journal of Wellness, 7(3), 13-21. 

  26. Y. O. Ha & Y. M. Park. (2017).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sleep quality and subjective happiness on the wellness lifestyle among adul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359-367. DOI: 10.15207/jkcs.2017.8.12.359 

  27. K. S. Kang & M. O. Gu. (2006). A study on the stages of change of exercise and its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pplication of Transtheoretical model.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8(3), 345-356. 

  28. R. M. Ryan & J. P. Connell. (1989). Perceived locus of causality and internalization: Examining reasons for acting in two domai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5), 749-761. http://dx.doi.org/10.1037/0022-3514.57.5.749 

  29. K. R. Sechrist, S. N. Walker & N. J. Pender. (1987).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exercise benefits/barriers scal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0, 357-365. 

  30. W. J Hwang. (2010). Cardiovascular disease in Korean blue-collar workers: Actual risk, risk perception, and risk reduction behavior. Doctoral dissertation. San Francisco (CA):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Francisco. 

  31. M. J. Choi, C. S. Son, J. Kim & Y. Ha. (2016). Development of a Wellness Index for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1), 69-78. https://doi.org/10.4040/jkan.2016.46.1.69 

  32. S. H. Kang & S. Y. Hwang. (2018). Relationships among health behavior, wellness condition, and stage of change in health behavior by cardiocerebrovascular risk in male office workers.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5(1), 50-59. DOI : 10.5953/JMJH.2018.25.1.50 

  33. M. Shain & D. M. Kramer. (2004). Health promotion in the workplace: Framing the concept; reviewing the evidenc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mental Medicine, 61(7), 643-648. DOI: 10.1136/oem.2004.013193 

  34. A. Bandur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NY: Worth Publishers. 

  35. A. Bandur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New York: Prentice-Hall. 

  36. S. K. Kim. (2000). Development of lifestyle assessment inventory for wellness of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39(4), 963-982. 

  37. M. J. Choi, D. H. Lee & H. S. Ahn. (2014).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wellness, subjective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of salaried pers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1), 597-606. DOI: 10.14400/JDC.2014.12.11.597 

  38. H. W. Choi & J. K. Lee. (2014). Suggestions for the sustainability of korean workers' health status. Korean Wellness Management Academic Society, 2(1), 93-122. 

  39. T. C. Pellmar, E. N. Brandt & M. A. Baird. (2002). Health and behavior: the interplay of biological, behavioral, and social influences: summary of an Institute of Medicine report.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6(4), 206-219. DOI: 10.4278/0890-1171-16.4.206 

  40. J. M. Lee, W. J. Kim, H. S. Sohn, J. H. Chun, M. J. Lee & H. S. Park. (2012). Influences on health behaviors execution and self rated health as socioeconomic class by the age bracket. The Korea Contents Society, 12(6), 317-327. DOI: 10.5392/JKCA.2012.12.06.317 

  41. J. Lundberg & M. Kristenson. (2008). Is subjective status influenced by psychosocial factors? Social indicators research, 89(3), 375-390. DOI: 10.1007/s11205-008-923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