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체질량지수(BMI:Body Mass Index), 체형 불만족도와 식이행동에 관한 연구
Journal of Body Mass Index, Body Shape Dissatisfaction, Eating Behavior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2, 2019년, pp.98 - 103  

신미경 (나사렛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체질량지수, 식이 행동, 체형 불만족도 정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및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대학생 38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로, 수면시간, 체질량지수, 식이 행동, 및 체형 불만족도 정도는 평균, 표준편차로 제 변수들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BMI에 따른 식이 행동, 및 체형 불만족도 정도의 평균차이는 ANOVA((post-hoc test: Scheffe)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는 여학생이 293명으로 대상자의 76.5%이었고 체질량지수는 정상군(58.2%), 저체중(14.9%), 2단계 비만(11.2%)순으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변수 간 상관관계에서 체형 불만족도가 나이와, 하루 수면시간과 음의 상관관계(r=-.142, p=.028; r=-.163, p=.001)를, 식이행동과 체질량지수가 양의 상관관계(r=.587, p=.000; r=.174, p=.001)를 보였다. 체질량지수 수준에 따라 식이행동은 1단계 비만군이 저체중군(F=2.993, p=.019)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평균이 높았다. 체형 불만족도에서는 정상군과 1단계 비만군이 저체중군보다(F=2.993, p=.019), 2단계 비만군이 저체중군과 정상군보다 (F=2.993, p=.109) 평균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 체질량지수가 과체중 이상인 학생은 체형 만족도가 낮으므로 체중 관리에 대한 올바른 식이 운동 요법을 교육할 필요가 있으며 저체중군에 있어서도 저체중을 유지 하기 위한 절제된 식이행동이 아닌 정상 식이 행동을 보일 수 있도록 중재해야 할 것임을 알았다. 이를 근거로 간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nd level of Body Mass Index, Body Shape Dissatisfaction, Eating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ethods: A total of 383 students were asked. The survey was analyzed by SPSS Win 21.0 program. 293 were female students and most of the students w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 383명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체질량지수, 식이 행동, 체형 불만족도 정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및 정도를 파악하여 체질량지수 별 그릇된 식이행동이나 체형불만족의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 중 여학생이 76%로 대다수였고 평균 연령은 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수면시간, 체질량지수(BMI:Body Mass Index) 식이 행동, 및 체형 불만족도와의 상관관계와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수면시간, 체질량지수(BMI:Body Mass Index), 식이 행동 및 체형만 불족도와의 상관관계와 정도를 파악하고자 시도 되었다. 대상자의 변수간 상관관계에서 체형 불만족도가 나이와, 하루 수면시간과 음의 상관관계를, 식이행동과 체질량지수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체질량지수, 식이행동, 체형 불만족도 정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및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처럼 체형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식이행동, 섭식장애가 나타나는데 체형별 체형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체형 유형별 식이행동 경향을 파악함으로서 유형별 식이행동 중재 개발의 필요성이 인식되는 바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SQ의 결과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BSQ는 ‘비만한 느낌(feeling fat)’혹은 이상적 체중으로 인한 현재 체중의 왜곡에 기인한 부정적 정동(negative affect)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상황을 묘사하는 질문들로 구성되어 있다[4]. 점수가 높을수록 신체에 대한 관심이 크고 비만한 느낌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을 반영하며, 전반적인 체형에 대한 만족도가 낮음을 의미한다[5]. 총 32문항 6점 척도로 32점에서192점까지 점수가 높을수록 체형불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신뢰도 Cronbach’s α=.
BSQ를 구성하는 질문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BSQ(Body Satisfication Scale)는 1987년Cooper등이 체형에 관한 관심의 정확한 정도 즉, 체형에 관해서 추정하거나 그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적 경험에 의거한 불만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자기보고식 질문지이다. BSQ는 ‘비만한 느낌(feeling fat)’혹은 이상적 체중으로 인한 현재 체중의 왜곡에 기인한 부정적 정동(negative affect)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상황을 묘사하는 질문들로 구성되어 있다[4]. 점수가 높을수록 신체에 대한 관심이 크고 비만한 느낌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을 반영하며, 전반적인 체형에 대한 만족도가 낮음을 의미한다[5].
BSQ란? BSQ(Body Satisfication Scale)는 1987년Cooper등이 체형에 관한 관심의 정확한 정도 즉, 체형에 관해서 추정하거나 그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적 경험에 의거한 불만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자기보고식 질문지이다. BSQ는 ‘비만한 느낌(feeling fat)’혹은 이상적 체중으로 인한 현재 체중의 왜곡에 기인한 부정적 정동(negative affect)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상황을 묘사하는 질문들로 구성되어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E. H. Kim. (2000). A study of the factors of Body shape cognition. Master's Degre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 A. Ghaderi. (2001). Eating Disorders (Prevalence, Incidence, and Prospective Risk Factors for Eating Disorders among Young Adult Women in the General Population. Uppsala Dissertations, Uppsala University. 

  3. J. E. Lee. (2006).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elf-body Image and Differences of Weight Control Behavior, Eating Disorder by Self-body Image Distortion in Adolescents. Korean Education Inquiry, 24(12), 63-77. 

  4. P. J. Cooper, M. J. Taylor, Z. Cooper & C. G. Fairburn. (1987).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Body shape Questionnair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 6(4), 485-494. 

  5. S. S. Lee & K. J. Oh. (2003). Validation study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 in Korea.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4), 913-926. 

  6. T. Van Strien, J. E. Frijters, G. P. Bergers & P. B. Defares. (1986). The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DEBQ) for assessment of restrained, emotional and external eating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 5, 295-315. 

  7. H. Kim, I. Lee & J. A. Kim. (1996).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the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5, 141-50. 

  8. K. A. Park. (2009). Dietary Habits, Body Weight Satisfaction and Eating Disorders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yungnam Province.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9(6), 891-908. 

  9. K. Y. Lee. (2013). Measures of Eating Behaviors. Korean Journal Obesity, 22(2), 73-76. 

  10. M. O. Choi & J. Y. Kim. (2008). Survey of Eating Habits, Self Cathexi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in Relation to BMI in College Women-Focused on Shape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4(2), 605-6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