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인식과 현장활용성 및 만족도 연구
The Research of Educational Recognition, Field Usability and Satisfaction for The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of Cosmetologist (Make-up)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2, 2019년, pp.302 - 312  

최영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  김민경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  리순화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초록

본 연구는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응시 경험자 및 취득자 220명을 대상으로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인식 하위요인(필요성, 효용성, 가치, 비용, 적절성)이 현장활용성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각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메이크업자격증 실기 과정 중 활용도 높은 종목은 뷰티메이크업으로 선택하였다. 자격증 교육인식에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고 비용, 연간 시험 횟수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나 개선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장활용성에서 뷰티메이크업 활용을 높게 인식하였고 자격증 취득에 대해서 높게 만족하였으며 급여에 대해서는 낮게 인식되었다. 국가기술자격증 교육인식 하위요인 중 필요성, 비용, 적절성이 현장활용성과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그 중 적절성이 현장활용성에, 비용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메이크업 자격증 분야의 세분화 및 전문화와 취득을 위한 비용 절감 및 활용성이 높은 이론 및 테크닉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d the effects of educational recognition sub-factors (necessity, utility, value, cost, adequacy) on the field usability and satisfac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for 220 applicants who have taken the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of cosmetologi...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관련 선행연구로는 대부분 자격증 시험의 과정 및 내용에 관하여 연구들이 분석 되고 있으며,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에 대한 인식과 자격증 취득 후 현장 활용성 및 만족도 측면의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인식과 현장 활용성 및 만족도를 확인하고자 교육인식의 하위요인을 필요성, 효용성, 가치, 비용, 적절성으로 세분화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을 진행하고 자격증 취득 교육인식의 하위요인이 현장 활용성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국가기술자격증 개선 및 자격증 취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미용사(메이크업) 국가자격증 시험 응시경험자 및 자격증 취득자 220명을 대상으로 메이크업국가자격증에 대한 교육인식의 하위요인 중 필요성, 효용성, 가치, 비용, 적절성이 현장 활용성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요인들에 대해 타당성 및 신뢰도 검정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하여, 메이크업자격증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격증 분야의 세분화 및 전문화와 취득을 위한 비용 절감, 현장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테크닉 및 이론의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지며 본 연구는 메이크업 국가자격증 제도 개선 및 효과적인 활용성과발전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실기과정 중 활용도가 높은 종목, 자격증 교육인식 하위요인, 현장 활용성, 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메이크업자격증 취득 교육인식의 하위요인, 현장 활용성, 만족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셋째, 메이크업자격증 취득 교육인식의 하위요인이 현장 활용성,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둘째, 메이크업자격증 취득 교육인식의 하위요인, 현장 활용성, 만족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셋째, 메이크업자격증 취득 교육인식의 하위요인이 현장 활용성,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이상의 연구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실기과정 중 활용도가 높은 종목, 자격증 교육인식 하위요인, 현장 활용성, 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메이크업자격증 취득 교육인식의 하위요인, 현장 활용성, 만족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의 목적은? 현재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의 자격검정방법으로는 필기시험이 1시간동안 객관식 60문항을 평가하며, 실기시험은 2시간 30분 동안 4개 과제를 수행 및 평가한다. 이러한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은 전문기술 및 기능을 바탕으로 특정한 상황, 목적에 맞는 이미지 및 캐릭터 창출을 위해 얼굴 및 신체를 표현하는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며[2] 능숙한 현장업무를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인력을 양성하고자 제도화되었다.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시험이 지향해야할 방향은? 하지만 자격증에 대한 응시제한이 없고 전문화된 교육을 받지 않아도 반복된 연습만으로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다보니 현장에서 실무능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초래하여 현재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시험의 각 분야별 전문성 및 차별성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보여 지고 있다[8]. 또한 자격증 관련 기관은 자격증 부여로만 끝나지 않고 현장 활용도를 높여 자격증 취득 후에도 전문가로서의 입지를 굳힐 수 있도록[4] 다양한 제도 개선과 보완을 통해 현장업무의 직무분석과 직업 활동영역을 현실에 맞는 검정기준을 개선해야 하며[9,10],현행 기능사와 기능장 등급 사이에 산업기사와 기사등급을 신설하여 교육이수기간과 자격등급을 일치시키는 자격증 세분화를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11]. 현재까지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관련 선행연구로는 대부분 자격증 시험의 과정 및 내용에 관하여 연구들이 분석 되고 있으며,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에 대한 인식과 자격증 취득 후 현장 활용성 및 만족도 측면의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 나타나는 자격증의 한계는? 하지만 자격증에 대한 응시제한이 없고 전문화된 교육을 받지 않아도 반복된 연습만으로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다보니 현장에서 실무능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초래하여 현재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시험의 각 분야별 전문성 및 차별성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보여 지고 있다[8]. 또한 자격증 관련 기관은 자격증 부여로만 끝나지 않고 현장 활용도를 높여 자격증 취득 후에도 전문가로서의 입지를 굳힐 수 있도록[4] 다양한 제도 개선과 보완을 통해 현장업무의 직무분석과 직업 활동영역을 현실에 맞는 검정기준을 개선해야 하며[9,10],현행 기능사와 기능장 등급 사이에 산업기사와 기사등급을 신설하여 교육이수기간과 자격등급을 일치시키는 자격증 세분화를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Y. S. Choi. (2017). The Influences of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Make-up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on Satisfaction.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2. Q-net. (2017). Hair dresser (Make-up) National Qualification Test Information. http://www.q-net.or.kr/man001.do?gSiteQ 

  3. Y. H. Choi & E. Y. Choi. (2017). A Study on Curriculum Development for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Establishment of Beauty-Related Departments in Universit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6), 207-220. DOI : 10.14257/ajmahs.2017.06.47 

  4. J. H. Song. (2011). A Study on the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system of the make-up artist. A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Obesity and Beauty. Seoul. 

  5. S. H. Chae. (2016). A Study on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Customer Orientation Depending on Acquisition of a National Beautician (Nail Artist) Certificate : Focused on Nail Artists in Gwangju. A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wangju. 

  6. S. M. Choi & E. H. Kim. (2010). The Current Beauty National Qualifications System and Test for The Estheticians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ics society, 8(1), 289-299. 

  7. E. J. Jung. (2017). A Study on the Field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National Skills Standards-based Hairdresser (General) National Skills Certification System. A master's thesis. Souther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General Studies. Gwangju. 

  8. S. H. Park. (2017). A study of improvement methods in eligibility criteria for the make-up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examination. A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Food. Seoul. 

  9. J. C. Lee. (2008).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A master's thesis. Kyungbuk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Daegu. 

  10. Y. R. Kim & J. S. Park. (2016). A Study on the Influence and Utilization Level of Practical Subjects of National Hairdresser Licensing Examination on the Practical Fiel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6), 449-455. DOI : 10.14400/JDC.2016.14.6.449 

  11. S. Y. Lee. (2007). A Study on Beauty Artist Qualification and License System Degree -Qualification Refinement and Make-Up Qualification Separation.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3(3), 933-943. 

  12. H. Yun & J. H. Ji. (2011). Awareness Survey on National License Examination for Colorist of th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rt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7(3), 482-498. 

  13. J. W. Noh. (2011).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National Nail Care Qualification System. A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Management. Gwangju. 

  14. H. K. Shin. (2017). A Study on the Effects of Vocational Competencies Related to Coffee-Related Private Certificates on Job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Intention - Survey For Coffee-Related Industry Work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9-21. DOI : 10.14400/JDC.201/.15.11.9 

  15. H. K. Shin. (2018). Study on Academic Satisfaction and Economic Effectiveness Influenced By Operation System for Coffee Related Certification Verification -Survey To Those Whom Worked in Coffee Related Industry-.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8), 41-55. DOI : 10.14400/JDC.2018.16.8.041 

  16. M. W. Kim. (2015). The Effect that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have on its Practical usage and Satisfaction Level.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21(4), 75-84. 

  17. M. S. Lee. (2010).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the cosmetic national technology certificate. A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eoul. 

  18. J. Y. Ahn & B, W. Lee. (2012). A Study on On-The-Job Training Factors Influences o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Deciding on a Career for Employ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Technology and Education, 12(1), 27-47. 

  19. S. H. Han. & J. H. Bae. (2008). The Acquisition State and Perceptions about the Clothing-related National Skill Qualification Certificat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2(4), 158-169. 

  20. M. S. Hong. (2011).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probationary period of the Korean certification system for esthetician. A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Food. Seoul. 

  21. H. S. Lee. (2011). A Study on Recognition of Korean Beauty Treatment Certificate and License : Focusing on praticians related to beauty. A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Beauty Arts, Sogang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