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아산화질소 환원 세균 컨소시움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 Nitrous Oxide-reducing Bacterial Consortium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7 no.4, 2019년, pp.630 - 638  

박형주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권지현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조경숙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산화질소는 이산화탄소보다 약 310배 높은 지구온난화 지수를 갖는 주요 온실가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산화질소 배출저감을 위해 고도처리슬러지를 접종원으로 이용하여 아산화질소 환원 컨소시움을 확보하였다. 이 컨소시움의 우점종은 Sulfurovum (17.95%), Geobacter (14.63%), Rectinema(11.45%)와 Chlorobium (8.24%)이었다. 아산화질소 환원 컨소시움의 활성에 미치는 C/N 비(mol·mol-1), 탄소원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C/N 비 6.3 및 아세트산을 탄소원으로 공급한 조건에서 최대 아산화질소 환원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본 컨소시움의 3,000 ppm 이하의 아산화질소 농도 범위에서 아산화질소 농도가 증가할수록 환원속도도 증가하였다. 속도론적 해석 결과, 아산화질소 환원 컨소시움의 최대 아산화질소 환원 속도는 163.9 ㎍-N·g VSS-1·h-1이었다. 본 Consortium은 아산화질소를 N2로 환원하는데 관여를 nosZ 뿐만 아니라, 질산염아질산염으로 환원하는 narG, 아질산염을 일산화질소로 환원하는 nirK 유전자 및 일산화질소를 아산화질소를 환원하는 norB 유전자를 모두 보유하고 있었다. 이는 본 컨소시움은 아산화질소 제거 공정 뿐 만 아니라, 탈질공정에도 활용 가능한 유용한 미생물 자원임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itrous oxide (N2O) is a greenhouse gas with a global warming potential 310 times higher than that of carbon dioxide. In this study, an N2O-reducing consortium was obtained by enrichment culture using advanced treatment sludge as the inoculum. The dominant bacteria in the consortium were Sulfurovum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도 처리 슬러지를 접종원으로 농화배양을 수행하여 아산화질소를 환원할 수 있는 세균 컨소시움을 확보하였다. Illumina Miseq 염기서열 분석법을 통해 본 컨소시움의 세균 군집 특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도 처리 슬러지를 접종원으로 활용하여 농화배양을 통해 아산화질소를 환원할 수 있는 세균 컨소시움을 확보하여, Illumina Miseq 염기서열 분석법을 통해 본 컨소시움의 세균 군집 구조와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아산화질소 환원속도와 관련 기능성 유전자 거동에 미치는 아산화질소 농도, 탄소원 종류 및 C/N 비의 영향 평가를 통해 아산화질소 환원을 위한 최적조건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산화질소는 무엇인가? 아산화질소는 이산화탄소보다 약 310배 높은 지구온난화 지수를 갖는 주요 온실가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산화질소 배출저감을 위해 고도처리슬러지를 접종원으로 이용하여 아산화질소 환원 컨소시움을 확보하였다.
최대 아산화질소 환원 활성을 나타내는 공급조건은 무엇인가? 24%)이었다. 아산화질소 환원 컨소시움의 활성에 미치는 C/N 비(mol·mol-1), 탄소원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C/N 비 6.3 및 아세트산을 탄소원으로 공급한 조건에서 최대 아산화질소 환원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본 컨소시움의 3,000 ppm 이하의 아산화질소 농도 범위에서 아산화질소 농도가 증가할수록 환원속도도 증가하였다.
아산화질소 배출저감을 위한 컨소시움의 우점종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아산화질소 배출저감을 위해 고도처리슬러지를 접종원으로 이용하여 아산화질소 환원 컨소시움을 확보하였다. 이 컨소시움의 우점종은 Sulfurovum (17.95%), Geobacter (14.63%), Rectinema(11.45%)와 Chlorobium (8.24%)이었다. 아산화질소 환원 컨소시움의 활성에 미치는 C/N 비(mol·mol-1), 탄소원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C/N 비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IPCC.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pp. 465-570. Cambridge Univ Press. 

  2. Ravishankara AR, Daniel JS, Portmann RW. 2009. Nitrous oxide ( $N_2O$ ): the dominant ozone-depleting substance emitted in the 21st century. Science 326: 123-125. 

  3. Caranto JD, Lancaster KM. 2017. Nitric oxide is an obligate bacterial nitrification intermediate produced by hydroxylamine oxidoreductase. Proc. Natl. Acad. Sci. USA 115: 8217-8222. 

  4. Terada A, Sugawara S, Hojo K, Takeuchi Y, Riya S, Harper WF, et al. 2017. Hybrid nitrous oxide production from a partial nitrifying bioreactor: hydroxylamine interactions with nitrite. Environ. Sci. Technol. 51: 2748-2756. 

  5. Massara TM, Malamis S, Guisasola A, Baeza JA, Noutsopoulos C, Katsou E. 2017. A review on nitrous oxide ( $N_2O$ ) emissions during biological nutrient removal from municipal wastewater and sludge reject water. Sci. Total Environ. 596-597: 106-123. 

  6. Law Y, Ye L, Pan Y, Yuan Z. 2012. Nitrous oxide emissions from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67: 1265-1277. 

  7. Lee K. 2010. Biological removal of nitrogen oxides from combustion flue gases. Appl. Chem. Eng. 21: 243-251. 

  8. Rodriguez-CaballeroaI A, Aymericha Ricardo Marquesab I, Pochc M, Pijuan M. 2015. Minimizing $N_2O$ emissions and carbon footprint on a full-scale activated sludge sequencing batch reactor. Water Res. 71: 1-10. 

  9. Kampschreur MJ, Temmink H, Kleerebezema R, Jetten MSM, Loosdrechta MCM. 2009. Nitrous oxide emission during wastewater treatment. Water Res. 43: 4093-4103. 

  10. Song K, Suenaga T, Harper WF, Hori T, Riya S, Hosomi M, et al. 2015. Effects of aeration and internal recycle flow on nitrous oxide emissions from a modified Ludzak-Ettinger process fed with glycerol. Environ. Sci. Pollut. Res. 22: 19562-19570. 

  11. Kinh CT, Suenaga T, Hori T, Riya S, Hosomi M, Smets BF, et al. 2017. Counter-diffusion biofilms have lower $N_2O$ emissions than co-diffusion biofilms during simultaneous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Insights from depth-profile analysis. Water Res. 124: 363-371. 

  12. Domingo-Felez C, Mutlu AG, Jensen MM, Smets BF. 2014. Aeration strategies to mitigate nitrous oxide emissions from singlestage nitritation/anammox reactors. Environ. Sci. Technol. 48: 8679-8687. 

  13. Yoon H, Song MJ, Yoon S. 2017. Design and feasibility analysis of a self-sustaining biofiltration system for removal of low concentration $N_2O$ emitted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s. Environ. Sci. Technol. 51: 10736-10745. 

  14. Wakako IO, Miyahara M, Kim SW, Yamada T, Matsuoka M, Watanabe A, et al. 2013. Bioaugmentation of a wastewater bioreactor system with the nitrous oxide-reducing denitrifier Pseudomonas stutzeri strain TR2. J. Biosci. Bioeng. 115: 37-42. 

  15. Yokoyama K, Yumura M, Honda T, Ajitomi E. 2016. Characterization of denitrification and net $N_2O$ -reduction properties of novel aerobically $N_2O$ -reducing bacteria. Soil. Sci. Plant Nutr. 62: 230-239. 

  16. Su Q, Ma C, Domingo-Felez C, Kiil AS, Thamdrup B, Jensen MM, et al. 2017. Low nitrous oxide production through nitrifierdenitrification in intermittent-feed high-rate nitritation reactors. Water Res. 123: 429-438. 

  17. Kim TG, Yi T, Lee EH, Ryu HW, Cho KS. 2012. Characterization of a methane-oxidizing biofilm using microarray, and confocal microscopy with image and geostatic analyses. Appl. Microbiol. Biotechnol. 95: 1051-1059. 

  18. Schreiber F, Wunderlin P, Udert KM, Wells GF. 2012. Nitric oxide and nitrous oxide turnover in natural and engineered microbial communities: Biological pathways, chemical reactions, and novel technologies. Front. Microbiol. 3: 372. 

  19. Bru D, Sarr A, Philippot L. 2007. Relative abundances of proteobacterial membrane-bound and periplasmic nitrate reductases in selected environments. Appl. Environ. Microbiol. 73: 5971-5974. 

  20. Song K, Suenaga T, Hamamoto A, Satou K, Riya S, Hosomi M. 2014. Abundance, transcription levels and phylogeny of bacteria capable of nitrous oxide reduction in a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J. Biosci. Bioeng. 118: 289-297. 

  21. Casciotti KL, Ward BB. 2005. Phylogenetic analysis of nitric oxide reductase gene homologues from aerobic ammoniaoxidizing bacteria. FEMS Microbiol. Ecol. 52: 197-205. 

  22. Giovannelli D, Chung M, Staley J, Starovoytov V, Bris NL, Vetriani C. 2016. Sulfurovum riftiae sp. nov., a mesophilic, thiosulfateoxidizing, nitrate-reducing chemolithoautotrophic epsilonproteobacterium isolated from the tube of the deep-sea hydrothermal vent polychaete Riftia pachyptila. Int. J. Syst. Evol. Microbiol. 66: 2697-2701. 

  23. Regan HKM. 2017. No facultative nitrate reduction by electroderespiring Geobacter metallireducens biofilms as a competitive reaction to electrode reduction in a bioelectrochemical system title. Am. Chem. Soc. 49: 3195-3202. 

  24. Wahlund MTM. 1993. Nitrogen fixation by the thermophilic green sulfur bacterium Chlorobium tepidum. J. Bacteriol. 175: 474-478. 

  25. Daniel CSLDL. 2003. Nitrite as an energy-conserving electron sink for the acetogenic bacterium Moorella thermoacetica. Curr. Microbiol. 46: 0329-0333. 

  26. Okereke GU. 1993. Growth yield of denitrifiers using nitrous oxide as a terminal electron acceptor. J. Microbiol. Biotechnol. 9: 59-62. 

  27. Luo YH, Chen R, Wen LL, Meng F, Zhang Y, Lai CY, et al. 2015. Complete perchlorate reduction using methane as the sole electron donor and carbon source. Environ. Sci. Technol. 49: 2341-2349. 

  28. Ginige MP, Bowyer JC, Foley L, Keller J, Yuan Z. 2009. A comparative study of methanol as a supplementary carbon source for enhancing denitrifi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anoxic zones. Biodegradation 20: 221-234. 

  29. Baytshtok V, Lu H, Park H, Kim S, Yu R, Chandran K. 2009. Impact of varying electron donors on the molecular microbial ecology and biokinetics of methylotrophic denitrifying bacteria. Biotechnol. Bioeng. 102: 1527-1536. 

  30. Mokhayeri Y, Riffat R, Murthy S, Bailey W, Takacs I, Bott C. 2009. Balancing yield, kinetics and cost for three external carbon sources used for suspended growth post-denitrification. Water Sci. Technol. 60: 2485-2491. 

  31. Hallin S, Pell M. 1998. Metabolic properties of denitrifying bacteria adapting to methanol and ethanol in activated sludge. Water Res. 32: 13-18. 

  32. Purtschert I, Siegrist WGH. 1996. Enhanced denitrification with methanol at WWTP Zurich-Werdholzli. Water Sci. Technol. 33: 117-126. 

  33. Aravinthan.V, Mino T, Takizawa S, Satoh H, Matsuo T. 2001. Sludge hydrolysate as a carbon source for denitrification. Water Sci. Technol. 43: 191-199. 

  34. Tam NFY, Leung GLW, Wong YS. 1994. The effects of external carbon loading on nitrogen removal in sequencing batch reactors. Water Sci. Technol. 30: 73-81. 

  35. Aesoy A, Odegaard H, Bach K, Pujol R, Hamon M. 1998. Denitrification in a packed bed biofilm reactor (biofor)-experiments with different carbon sources. Water Res. 32: 1463-1470. 

  36. Ribera-Guardia A, Kassotaki E, Gutierrez O, Pijuan M. 2014. Effect of carbon source and competition for electrons on nitrous oxide reduction in a mixed denitrifying microbial community. Process. Biochem. 49: 2228-2234. 

  37. Rosenberg E, DeLong EF, Lory S, Stackebrandt E, Thompson F. 2013. The peokaryotes, pp. 1-635. 4th Ed. Springer, New York, Berlin Heidelberg. 

  38. Gottschalk G. 1986. Bacterial metabolism, pp. 1-341. 2nd Ed. Springer, New York, Berlin Heidelberg. 

  39. Dorokhov YL, Shindyapina AV, Sheshukova EV, Komarova TV. 2015. Metabolic methanol: molecular pathways and physiological roles. Physiol. Rev. 95: 603-644. 

  40. Paul JW, Beauchamp EG, Trevors JT. 1989. Acetate, propionate, butyrate, glucose, and sucrose as carbon sources for denitrifying bacteria in soil. Can. J. Microbiol. 35: 754-7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