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통 중인 어린잎채소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Hazardous Microorganisms in Baby Leafy Vegetables Collected from a Korean Market and Distribution Company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4 no.6, 2019년, pp.526 - 533  

김세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추현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이승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장윤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심원보 (경상대학교 농화학식품공학과) ,  웅웬바오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원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현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류경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시판 중인 신선편이 어린잎채소의 식중독세균 오염도를 조사하고 신선편이 어린잎채소에 사용되는 원료를 재배방법별(토양재배, 상토재배)로 채취하여 재배방법이 어린잎채소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판 중인 어린잎채소 상품 181점과 어린잎채소 상품 원료를 재배방법별로 구분하여 117점을 채취하여 위생지표세균(대장균군, E. coli)와 병원성미생물(E. coli O157:H7, Salmonella spp., S. aureus)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시판 중 어린잎채소의 대장균군은 봄철과 여름철에 각각 3.60±2.53 log CFU/g, 5.59±1.18 log CFU/g로 여름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E. coli의 경우, 봄철에는 A마트에서 수집된 시료 1점에서 검출되었으나 여름철에는 수집된 시료의 42.2%(43/102)점에서 검출되었다. S. aureus의 경우는 봄철에 1점에서만 검출되었고, E. coli O157:H7과 Salmonella spp.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어린잎채소 원료의 대장균군의 오염도는 토양 재배한 경우 봄철에 1.15±1.95 log CFU/g, 여름철에는 4.09±2.52 log CFU/g 수준이었다. 한편 상토 재배한 경우는 계절에 관계없이 5.0 log CFU/g이상이었다. E. coli는 토양 재배한 어린잎채소의 경우 봄철에는 적청경채 1점에서 검출 되었으나 여름철에는 44.4%의 시료에서 E. coli가 검출되어 계절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토 재배한 어린잎채소의 경우 봄철과 여름철에 수집된 시료의 33%, 19%에서 각각 검출되어 시기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 aureus의 경우, 봄철 상토 재배한 어린잎채소 1점에서 검출되었으며 E. coli O157:H7과 Salmonella spp.는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어린잎채소 상품의 안전성은 원료의 안전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원료의 안전성을 확보를 위해서는 농업생산환경 위생관리 기술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azardous microorganisms in mixed baby leafy vegetables and various baby leafy vegetables used as raw materials for fresh-cut produce in spring and summer. To estimate microbial loads, a total of 298 samples including 181 samples of mixed baby leafy veg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국내 신선편의 식품과 신선 편의 농산물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시판 중인 신선편의 샐러드를 중심으로 수행되었으며 이들 농식품의 오염원을 추정할 수 있는 원료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판 중인 신선편이 어린잎채소 중 식중독세균의 오염도를 조사하고 어린잎채소 유통업체에서 그 원료가 되는 어린잎채소를 재배방법별로 채취하여 신선편이 농산물의 원료의 안전성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시판 중인 신선편이 어린잎채소의 식중 독세균 오염도를 조사하고 신선편이 어린잎채소에 사용되는 원료를 재배방법별(토양재배, 상토재배)로 채취하여 재배 방법이 어린잎채소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판 중인 어린잎채소 상품 181점과 어린잎채소 상품 원료를 재배방법별로 구분하여 117점을 채취하여 위생지표세균(대장균군, E.

가설 설정

  • 농산물 간 대장균군 오염수준의 차이는 토양 및 농업용수와의 접촉 빈도, 계절, 유통 온도 등이 영향을 미칠 것이다. 특히 어린잎채소는 재배 과정 중 지면과의 거리가 가까워 토양이나 상토와 접촉 빈도가 높고, 일일 1회 이상 수분을 공급하기 때문에 작물 표면에 수분함량이 높아 상대적으로 대장균군 등 미생물 번식에 유리하기 때문에 타 채소보다 오염수준이 높다고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잎채소란? 최근 건강한 먹거리를 찾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미네랄과 비타민이 풍부하고 음식의 색감까지 증진시킬 수 있는 어린잎채소의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1). 어린잎채소란 잎이 2-3매 전개되고 잎의 길이가 10 cm 이내로 생장한 상태를 말하는데 어린잎채소는생육기가 짧고 농약 사용이 적기 때문에 친환경 농산물로 각광받고 있다2).
단순 세척하는 신선편의식품 공정의 특성상, 어린잎채소 생산 시 발생하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하지만 어린잎채소로 신선편이 식품이나 신선편이 농산물로 생산할 때는 단순 세척 등 비가열 공정만을 거치기 때문에 어린잎채소 중의 미생물을 완벽히 제거하기는 어렵다.이러한 이유로 신선 채소로 인한 식중독 사고가 전세계적 으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4-6).
국내 식약처에서 지정한 신선편의 식품에 대한 식중독 세균의 관리기준은? 이에 국내 식약처에서는 신선편의 식품에 대한 식중독 세균의 관리기준을 신설하였다9). 신선편의 식품의 식중독 세균 기준은 E. coli O157:H7 음성, Salmonella spp. 음성, Staphylococcus aureus 100 CFU/g이하, Clostridium perfringens 100 CFU/g이하, Bacillus cereus 1000 CFU/g이하, E. coli n=5, c=1, m=10, M=100으로 정하고 있다9). 신선편이 식 품은 3개월마다 1회 이상 공전에서 규정하고 있는 식중독 세균 검사항목에 대한 자가 품질검사를 실시해야 하며 검사결과 해당 식품 등이 국민 건강에 위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식약처에 보고해야 하고, 회수폐기 또는 부적합 원인 분석 및 개선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wack Y., Kim D.S., Chun C., Growth and Quality of Baby Leaf Vegetables Hydroponically Grown in Plant Factory as Affected by Composition of Nutrient Solution. Protected Hort. Plant Fac., 24, 271-274 (2015). 

  2. Lee J.S., Kim J.G., Park S., Effects of Chlorine Wash on the Quality and Microbial Population of 'Tah Tasai'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Microgreen. Kor. J. Hort. Sci. Technol., 27, 625-630 (2009). 

  3.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016, 2016 Status of processed food market(Ready to eat food market).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Naju Jeollanam do, pp. 15-29. 

  4. Burnett, S.L., Beuchat, L.R., Human pathogens associated with raw produce and unpasteurized juices and difficulties in decontamination. J. Int. Microbiol. Biotechnol., 27, 104-110 (2001). 

  5. Beuchat L.R., Pathogenic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fresh produce. J. Food Prot., 59, 204-216 (1996). 

  6.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6, October 6). Update on Multi-State Outbreak of E. coli O157:H7 Infections From Fresh Spinach. Retrieved from: http://www.cdc.gov/ecoli/2006/september/updates/100606.htm 

  7. Uphoff H., Hedrich B., Strotmann I., Arvand M., Bettge-Weller G., Hauri A., A prolonged investigation of an STECO104 cluster in Hesse, Germany, 2011 and implications for outbreak management. J. Public Health, 22, 41-48 (2014). 

  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June 28). Multistate outbreak of E. coli O157:H7 infections linked to romain lettuce. Retrieved from: www.cdc.gov/ecoli/2018/0157h7-04-18 

  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8, March 20). Chapter 5. Food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22. Ready to eat foods, Korean Food code. Retrieved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 

  1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8, Food quality inspection manual, Cheongju-si Chungcheongbuk-do, pp. 5-6. 

  1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8, March 20). Chapter 8. General test method 4. Microbial analysis method. Korean Food code. Retrieved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 

  12. Oh T.Y., Baek S.Y., Choi J.H., Jeong M.C., Koo O.K., Kim S.M., Kim H.J., Analysis of Food borne Pathogens in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microgreen from Harvesting and Processing Steps. J. Appl. Biol. Chem., 59, 63-68 (2016). 

  13. Bae Y.M., Hong Y.J., Kang D.H., Heu S., Lee S.Y., Microbial and Pathogenic Contamination of Ready-to-eat Fresh Vegetable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161-168 (2011). 

  14. Lee E.S., Kwak M.G., Kim W.I., An H.M., Lee H.S., Ryu S.H., Kim H.Y., Ryu J.G., Kim S.R.,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 during Production of Baby Leafy Vegetables, Korean J. Fd. Hyg. Safety, 31, 264-271 (2016). 

  15. Kim S.R., Lee, J.Y., Lee, S.H., Kim, W.I., Park, K.H., Yun, H.J., Kim, B.S., Chung, D.H., Yun, J.C., Ryu, K.Y.,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safety of lettuce and cultivation area. Korean J. Fd. Hyg. Safety, 26, 289-295 (2011). 

  16. Kim S.R., Lee S.H., Kim W.I., Kim B.S., Kim J.H., Chung D.H., Yun J.C., Ryu K.Y., Effect of Medium, Soil, and Irrigation Water Contaminated with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cereus on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Lettuce. Kor. J. Hort. Sci. Technol., 30, 442-448 (2012). 

  17.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tandards for the growing, harvesting, packing, and holding of produce for human consumption. Fed Regist., 80, 74353-74642 (2015). 

  18. An, Y.J., Lee, W.M., Yoon, C.G., Evaluation of Korean water quality standards and suggestion of additional water parameters. Korean J. Limnol., 39, 285-295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