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추와 부추 재배 토양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Evalu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Leek and Leek Cultivated Soil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4 no.6, 2019년, pp.534 - 541  

양수인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서승미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노은정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류재기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류경열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정규석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추의 안전한 재배를 위해 전국에 부추를 재배하는 지역 중 겨울재배지 A지역 3농가(I, II, III)와 여름재배지 B지역 3농가(I, II, III)를 선정하여 부추와 부추가 재배되고 있는 토양의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부추와 부추 재배 토양에서 위생지표세균(일반세균수, 대장균군, 대장균)과 병원성 미생물(B. cereus,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A지역 3농가의 부추에서 일반세균수는 5.87-8.76 log CFU/g으로 검출되었으며 r대장균군은 1.20-6.98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B지역 3농가에서는 일반세균수가 6.30-7.90 log CFU/g으로 나타났으며 대장균군은 4.97-7.36 log CFU/g이었다. 또한 A지역 3농가의 부추 재배 토양에서 일반세균수는 5.94-7.48 log CFU/g으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은 2.45-5.62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B지역 3농가에서는 일반세균수가 6.30-7.80 log CFU/g으로 나타났으며 대장균군은 6.17-7.40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A지역과 B지역의 부추, 부추 재배 토양에서 대장균이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두 지역의 부추와 부추 재배 토양의 병원성 미생물 분석 결과, B. cereus는 A지역의 부추 시료 30개 중 8개(26.6%)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부추 재배 토양 24개 시료 중 24개(100%)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또한 B지역 3농가는 모두 멀칭한 농가로 부추에서는 B. cereus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부추 재배 토양에서 9개 시료 중 6개(66.6%)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반면에 두 지역의 부추와 부추 재배 토양에서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은 검출되지 않았다. 농산물에서 B. cereus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은 재배단계에서 토양 등으로 인해 쉽게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한 오염을 줄이기 위해 농작물 재배 시 작물과 토양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토양 멀칭재배와 온도 및 습도 등 재배환경을 관리하는 것이 미생물 오염도를 줄이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산물로 인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재배환경 모니터링 연구와 위생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s study assessed microbial contamination of leeks and leek-cultivated soil. Leeks and leek-cultivated soil were collected in A and B regions and accounted for 39 and 33 samples, respectively. All of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sanitary indicator bacteria (total aerobic bacteri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겨울재배와 여름재배 부추 주산지별로 각각 3개 농가에서 부추와 부추재배 토양을 수집하여 위생지표세균과E. coli, B. cereus, L. monocytogenes 등의 병원성 미생물을 분석을 수행하여, 재배지역별 식중독세균에 의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평가하고 미생물 위해성평가의 기초자료로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 cereus는 어떤 미생물인가? B. cereus는 그람 양성 세균이며 포자-를 형성하는 토양서식균의 일종으로 토양과 공기 중에서 흔히 발견되는 병원성 미생물이다. 채소류를 비롯한 신선 농산물의 생산 과정에서의 주요 오염원은 토양으로 알려져 있다9).
부추가 잠재적 위해 식품인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같이 농산물에 의한 식중독사고가 발생되고 있으며 채소류에서 병원성 미생물이 검출되고 있다. 특히, 채소류 중 부추는 재배과정 중 2-3주간격으로 연속 수확하는 다비성 작물로 재배 전과 재배기간 중 다량의 미부숙 퇴비 시용 시 유해미생물에 오염되기 쉬우며, 가열하지 않고 생으로 섭취하여 식중독사고가발생될 우려가 있어 잠재적 위해 식품으로 선정하였다8).
재배단계에서 토양으로 인한 오염을 막기 위한 위생적인 관리방안은 무엇인가? cereus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은 재배단계에서 토양 등으로 인해 쉽게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한 오염을 줄이기 위해 농작물 재배 시 작물과 토양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토양 멀칭재배와 온도 및 습도 등 재배환경을 관리하는 것이 미생물 오염도를 줄이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산물로 인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재배환경 모니터링 연구와 위생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weon, S.H., Kim, Y.N., Jang, M.J., Kim, Y.J., Kim, K.R., Choi, S.H., Chun, C.M., Khang, Y.H., Oh, K.W., Data resource profil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J. Epidemiol., 43, 69-77 (2014). 

  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9, November 11) Press release no. 1080 Enforcement of Summer Food poisoning prevention plan. Retrieved from http://www.mfds.go.kr 

  3. Painter, J.A., Hoekstra, R.M., Ayers, T., Tauxe, R.V., Braden, C.R., Angulo, F.J., Griffin, P.M., Attribution of foodborne illnesses, hospitalizations, and deaths to food commodities by using outbreak data, United States, 1998-2008. Emerg. Infect. Dis., 19, 407-415 (2013). 

  4. Frank, C., Werber, D., Cramer, J.P., Askar, M., Faber, M., an der Heiden, M., Wadl, M., Epidemic profile of Shiga-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O104: H4 outbreak in Germany. N. Engl. J. Med., 365, 1771-1780 (2011). 

  5. Kim, S.H., Kim, J.S., Choi, J.P., Park, J.H., Prevalence and frequency of food-borne pathogens on unprocessed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94-598 (2006). 

  6. Kim, M.H., Shin, W.S., Microbiological quality of raw and cooked foods in middle and high school food service establishm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43-1356 (2008). 

  7. Kim, S.R., Lee, J.Y., Lee, S.H., Kim, W.I., Park, K.H., Yun, H.J., Ryu, K.Y.,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safety of lettuce and cultivation area. J. Food Hyg. Saf., 26, 289-295 (2011). 

  8. Park, H.J., Min, K.J., Park, N.Y., Cho, J.I., Lee, S.H., Hwang, I.G., Yoon, K.S., Estimation on the consumption patterns of potentially hazardous foods with high consumer risk percep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59-69 (2013). 

  9.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Opinion of the scientific panel on biological hazards on Bacillus cereus and other Bacillus spp. In foodstuffs, J. efsa., 175, 1-48 (2005). 

  10. Burnett, S.L., Beuchat, L.R., Human pathogens associated with raw produce and unpasteurized juices, and difficulties in decontamination. J. Industrial Microbiol. Biotechnol., 27, 104-110 (2001). 

  11. Soriano, J.M., Rico, H., Molto, J.C., Manes, J., Incidence of microbial flora in lettuce, meat and Spanish potato omelette from restaurants. Food Microbiol., 18, 159-163 (2001). 

  1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9, November 10). Food Code (No. 2019-89). Retrieved from http://www.mfds.go.kr 

  13. Jeong, B.R., Seo, S.M., Jeon, H.J., Roh, E.J., Kim, S.R., Lee, T., Ryu, J.G., Ryu, K.Y., Jung, K.S., Evaluation on microbial contamination in red pepper and red pepper cultivated soil in korea. J. Food Hyg. Saf., 33, 347-353 (2018). 

  14. Seol, H.R., Park, H.S., Park, K.H., Park, A.K., Ryu, K.,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foods and kitchen environments in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52-260 (2009). 

  15. Bae, Y.M., Hong, Y.J., Kang, D.H., Heu, S.G., Lee, S.Y., Microbial and pathogenic contamination of ready-to-eat fresh vegetable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161-168 (2011). 

  16. Park, S.G., Choi, Y.D., Lee, C.W., Jeong, M. J., Kim, J.S., Chung, D.H., Shim, W.B., Investig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 from Korean Leeks and Cultivation Area to Establish the GAP Model. J. Food Hyg. Saf., 30, 28-34 (2015). 

  17. Choi, Y.D., Lee, C.W., Kim, J.S., Chung, D.H., Shim, W.B., Investigation of hazards from onions and their cultivation areas to establish a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model.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785-790 (2013). 

  18. Jung, S.H., Hur, M.J., Ju, J.H., Kim, K., Oh, S.S., Go, J.M., Im, J.S.,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raw vegetables. J. Food Hyg. Saf., 21, 250-257 (2006). 

  19. International Commission on Microbiological Specifications for Foods (ICMSF)., 2005. Vegetable and vegetable products: in Microorganisms in Foods,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New York, Chapter 5. 

  20. Beuchat, L.R., Listeria monocytogenes: incidence on vegetables. Food Control., 7, 223-228 (1996). 

  21. Sung, S.M., Min, J.H., Kim, H.J., Yoon, K.S., Lee, J.K., Systematic Analysis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Leaf and Stem Products in Korea. J. Food Hyg Saf., 32, 306-313 (2017). 

  22. Kim, S.R., Kim, J.B., Lee, H.S., Lee, E.S., Kim, W.I., Ryu, S.H., Ryu, J.G., Effects of Small Scale Post-Harvest Facility and Hygiene Education on the Level of Microbial Safety in Korean Leeks Production. J. Food Hyg. Saf., 30, 249-257 (2015). 

  23. Jung, K.S., Heu, S.G., Roh, E.J., Lee, D.H., Yun, J.C., Kim, K.H., Prevalence of pathogenic bacteria in livestock manure compost and organic fertilizer. Korean J. Soil Sci. Fert., 44, 824-829 (2011). 

  24. Islam, M., Doyle, M.P., Phatak, S.C., Millner, P., Jiang, X.,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 H7 in soil and on carrots and onions grown in fields treated with contaminated manure composts or irrigation water. Food microbiol., 22, 63-70 (2005). 

  25. Solomon, E.B., Yaron, S., Matthews, K.R., Transmission of Escherichia coli O157: H7 from contaminated manure and irrigation water to lettuce plant tissue and its subsequent internalization. Appl. Environ. microbiol., 68, 397-400 (2002). 

  26. Maule, A., Survival of verocytotoxigenic Escherichia coli O157 in soil, water and on surfaces. J. Appl. Microbiol., 88, 71S-78S (2000). 

  27. Koo, M.S., Bacillus cereus: An ambusher of food safety. Bull. Food Technol., 22, 587-600 (2009). 

  28. Shim, W.B., Kim, J.S., Chung, D.H.,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ginseng farms at the cultivation stage to develop a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model. J. Food Hyg. Saf., 28, 312-318 (2013). 

  29. Nam, M.J., Heo, R.W., Lee, W.G., Kim, K.Y., Chung, D.Y., Kim, J.S., Chung, D.H.,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hot pepper farms for the application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system. J. Agri. Life Sci., 45, 163-173 (2011). 

  30. Kim, B.Y., Weon, H.Y., Park, I.C., Lee, S.Y., Kim, W.G., Song, J.K., Microbial diversity and community analysis in lettuce or cucumber cultivated greenhouse soil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44, 1169-1175 (2011). 

  31. Shim, W.B., Lee, C.W., Jeong, M.J., Kim, J.S., Ryu, J.G., Chung, D.H., An investigation of the hazards associated with cucumber and hot pepper cultivation areas to establish a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model. Korean J. Food Sc. Technol., 46, 108-114 (2014). 

  32.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Risk for public health related to the presence of Bacillus cereus and Bacillus spp. Including Bacillus thuringiensis in foodstuffs. J. efsa 14, 4524 (2016). 

  33. Park, M.J., Hong, H.G., Son, J.S., Kwon, Y.O., Lim, Y.S., Lee, H.H., Kim, G.H., A Study on the Contamination of Bacillus cereus in Baby Food on the Online Market. J. Food Hyg. Saf., 29, 207-210 (2014). 

  34. Kwon, W.H., Lee, W.G., Song, J.E., Kim, K.Y., Shim W.B., Yoon, Y.H., Kim, Y.S., Chung, D.H.,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n perilla leaf farms at the harvesting stage for the application of the good agricultural practices(GAP). J. Food Hyg. Saf., 27, 295-300 (2012) 

  35. Oh, S.Y., Nam, K.W., Yoon, D.H., Analysis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Contamination and Heavy Metals on Kimchi Cabbage by Cultivation Methods in Korea. J. Food Hyg. Saf., 32, 500-506 (2017). 

  36. Oliveira, M., Usall, J., Vinas, I., Solsona, C., Abadias, M., Transfer of Listeria innocua from contaminated compost and irrigation water to lettuce leaves. Food microbiol., 28, 590-596 (2011). 

  37. Liu, C., Hofstra, N., Franz, 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microbial safety of pre-harvest leafy green vegetables as indicated by Escherichia coli O157 and Salmonella spp. Int. J. Food Microbiol., 163, 119-128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