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 HMR) 샤브샤브 밀키트의 원료별 미생물 오염도 분석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in the Raw Materials of Home Meal Replacement Shabu-Shabu Meal Kit Distributed in Market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5 no.4, 2020년, pp.375 - 381  

전은비 (경상대학교 해양산업연구소) ,  김지윤 (경상대학교 해양산업연구소) ,  최만석 (경상대학교 해양산업연구소) ,  최승호 (한국쓰리엠 주식회사) ,  방현조 (한국쓰리엠 주식회사) ,  박신영 (경상대학교 해양산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중인 가정간편식 샤브샤브 밀키트를 원료별(쇠고기, 숙주, 쌈추, 새송이버섯, 배추, 단호박)로 구분하여 미생물 오염도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세균수(total aerobic bacteria), 대장균군(coliform)/대장균(E. coli), 효모진균류(fungi),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및 바실러스세레우스(B. cereus)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살모넬라(Salmonella spp.)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 monocytogenes)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샤브샤브 밀키트 원료의 일반세균수(총균수)는 3.98-6.50 log CFU/g로 검출되었다. 특히, 쇠고기의 경우 6 log CFU/g 이상의 균이 검출되었으며 숙주, 단호박, 배추의 경우 5 log CFU/g 이상의 균이 검출되었다. 진균류 (곰팡이/효모)의 오염도는 2.78-3.52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대장균군은 일반세균수와 마찬가지로 쇠고기에서 3.28 log CFU/g으로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기타 신선야채류의 경우 2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대장균은 6가지 원료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S. aureus는 쇠고기와 쌈추를 제외한 숙주, 배추, 새송이버섯, 단호박에서 1.33-1.71 log CFU/g의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B. cereus는 쌈추를 제외한 모든 원료에서 1.15-2.01 log CFU/g의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L. monocytogenes는 새송이버섯을 제외하곤 모든 원료에서 25-50%의 양성검출을 보였고 Salmonella는 모든 원료에서 음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종합적 분석시, 쇠고기 원료에서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 기준치를 초과하였고 황색포도상구균과 바실러스세레우스는 대부분의 원료에서 식품안전을 위협할 만한 위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검출되었고 저온성식중독균인 리스테리아모노사이토제네스 역시 일부 원료에서 양성을 보였기 때문에 본 제품의 원료별 생산단계에서의 살균·소독의 적절한 공정과 섭취시 충분한 열처리를 통해 잔존미생물을 사멸하는 것이 긴요하다. 또한 조리기구 및 조리 종사원 손에 의해 최종 식품을 공정하면서 미생물이 전파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최종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오염된 접촉면에 의한 교차오염을 최소화하며, 개인위생수준의 개선, 조리기기의 분리사용과 세척 및 소독을 통한 조리기기의 청결유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아울러 본 연구의 미생물오염수준 자료는 가정간편식밀키트의 미생물위해평가(Microbial Risk Assessment)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ssessed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aerobic bacteria, fungi, coliforms, Escherichia coli,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Salmonella spp. and Listeria monocytogens in six raw materials (beef, bean sprout, Chinese cabbage, king oyster mushro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중인 가정간편식 샤브샤브 밀키트를 원료별로 구분하여 일반세균수(total aerobic bacteria), 대장균군(coliform)/대장균(E. coli), 효모 및 진균류(fungi),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바실러스 세레우스(B. cereus), 살모넬라(Salmonella spp.) 및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 monocytogenes)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의 정성 및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 시중에 판매중인 샤브샤브 밀키트는 각각의 채소가 세척 후 포장되어 있지만 단순히 물 세척만으로는 채소 중의 미생물을 완벽히 제거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하에 가정간편식 중 샤브샤브 밀키트의 원료별 미생물 오염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샤브샤브의 장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샤브샤브(shabu-shabu, しゃぶしゃぶ)는 끓는 육수에 얇게 썬 고기, 채소, 버섯 등을 살짝 데쳐 소스에 찍어 먹는 일본식 요리로 알려져 있고 중국에는 샤브샤브와 비슷한 요리인 훠궈가 있지만 훠궈는 기본 재료를 오래 끓여 먹는다는 점에서 샤브샤브와 차이가 있다. 샤브샤브는 최소한의 열처리로 섭취하기 때문에 식감이 살아있으며 영양학적으로도 손실이 크게 없으며 개인의 취향에 맞게 선호하는 재료를 골라서 먹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샤브샤브는 구체적인 열처리 시간이 정해져 있지 않고 데쳐 먹기 때문에 열처리로 인한 미생물 제거효과는 미약하다.
식품공전에서 정의한 가정간편식이란 무엇인가? 식품공전(2019)에 따르면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 HMR)이란 “조리 혹은 반조리 형태의 단순조리과정을 거쳐 바로 섭취할 수 있도록 제조·가공·포장한 것으로 즉석 섭취식품, 즉석조리(완조리·반조리)식품, 신선편의식품”으로 정의하고 있다1). 그 중에서도 밀키트(Meal kit)는 HMR의 분류 중 RTP (Ready to Prepare; 신선편의식품)에 속하는 제품이다.
밀키트는 어떤 식품인가? 그 중에서도 밀키트(Meal kit)는 HMR의 분류 중 RTP (Ready to Prepare; 신선편의식품)에 속하는 제품이다. 즉, 모든 식자재를 씻거나 추가적인 칼질 없이 손질된 식자재와 양념으로 구성되어 있고 작성된 레시피에 따라 바로 조리 가능한 상태의 반조리식품이다. 완전조리제품과 달리, 신선한 재료와 양념이 세트로 구성되어 있어 소비자들이 식자재 손질의 번거로움 및 재료 낭비 없이 간단하고 쉽게 식사를 준비할 수 있게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9, Mar. 27). (MFDS): www.foodsafetykorea.go.kr. 

  2. Song, B.R., Kim, S.H., Kim, J.K., Han, J.A., Kwak, H.S., Chung, K.T., Heo, E.J., Establishment of microbial criteria by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ready-to-eat foods. J. Food Hyg. Saf., 32, 348-354 (2017). 

  3. Kusumaningrum, H.D., Putten, M.M, Rombouts, F.M., Beumer, R.R., Effects of antibacterial dishwashing liquid on foodborne pathogens and competitive microorganism in kitchen sponges. J Food Prot., 65,61-65 (2002). 

  4. Bahk, G.J., Chun, S.J., Park, K.H., Hong, C.H., Kim, J.W., Survey on the foodborne illnes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food safety practice among Korean consumers. J. Food Hyg. Saf., 18, 139-145 (2003). 

  5. Bae, Y.M., Hong, Y.J., Kang, D.H., Hue, S. Lee, S.Y., Microbial and pathogenic contamination of ready-to-eat fresh vegetable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161-168 (2011). 

  6. Yang, Y.M., Son, J.W., Choi, T.S., Park, M.A., Kim, J.Y., Lee, J.H., Shin, B.W., A survey of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 in butcher's shops in Seoul, Korea. Korean J Vet Serv., 36, 203-208 (2013). 

  7. Chung, M.S., 2005.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ensuring sanitary quality of ready-to eat foods and miscellaneous foods. Korean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Seoul, Korea, pp. 21-24. 

  8. Solberg, M., Buckalew, J.J., Chen, C.C., Schaffner, D.W., O'Neil, K., Mcdowell, J., Post, L.S., Boderck, M., Microbiological safety assurance system for foodservice facilities. Food Technol., 44, 68-73 (1990). 

  9. Cho, S.H., Jung, S.A., Song, E.J., Lee, S.Y., Kim, K.B.W.R, Park, J.G., Park, S.M., Ahn, D.H., Effect of improvement of storage properties and reducing of sodium nitrate by Glycyrrhiza uralensis and Curcula longa in pork saus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97-1004 (2006). 

  10. Hajime. S., 1995. Increase in host resistance by lactic acid bacteria. 9th International academic symposium-lactic acid bacteria and health. The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Seoul, Korea, pp. 31-48. 

  11. Shim, W.B., Park, S.G., Choi, Y.D., Jeong, M.J., Lee, C.W., Kim, J.S., Ryu, J.G., Chung, D.H., Monitoring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on the Markets in Gyeongnam Area. J Agri Life Environ Sci., 49, 97-106 (2015). 

  12. Kwon, W.H., Lee, W.G., Song, J.E., Kim, K.Y., Shim, W.B., Yoon, Y.H., Kim, Y.S., Chung, D.H.,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n perilla leaf farms at the harvesting stage for the application of th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J. Food Hyg. Saf., 27, 295-300 (2012). 

  13. Martinez, R., Ribas, A., Garcia, T., Lopez, D., Tamargo, L., Torre, C., Femandez, A., Airborne fungal spores, pollen grauns, and vegetable cells in routine Papanicolaou smears. Diagnostic cytopathology., 30, 381-385 (2004). 

  14. Forsythe, S.J., 2010. The microbiology of safe food, 2nd edition, Wiley-Blackwell, ISBN: 9781118685693, Hoboken, NJ, USA, pp.750-805. 

  15. Kim, W.I., Gwak, M.G., Jo, A.R., Ryu, S.D., Kim, S.R., Ryu, S.H., Kim, H.Y., Ryu, J.G., Investigation of microbiological safety of on-farm produce in Korea. J. Food Hyg. Saf., 32, 20-26 (2017). 

  16. Jeon, H.C., Kim, J.E., Son, J.W., Chae, H.S., Jin, K.S., Oh, J.H., Shin, B.W., Lee, J.H., Evaluation of the microbial contamination status and sanitation practice level in butcher's shops in Seoul. Korean J Vet Serv., 34, 409-416 (2011). 

  17. Kwak, S.J., Kim, S.J., Lkhagvasarnai, E., Yoon, K.Sun., Analysis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preprocessed namuls in school food service and processing plant. J. Food Hyg. Saf., 27, 117-126 (2012). 

  18. Oh, S.Y., Nam, K.W., Yoon, D.H., Analysis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contamination and heavy metals on Kimchi Cabbage by cultivation methods in Korea. J. Food Hyg. Saf., 32, 500-506 (2017). 

  19. Ryu, K., Safety management of food commodity in foodservice operations. J Food Sci Nutr., 11, 30-34 (2006). 

  20. Jung, M.S., Study on the risk management for risk reduction of Stapylococcus aureus in ready-to-eat foods. Annu. Rep. KFDA, Korea., 11, 525-527 (2007). 

  21. Koo, M.S., Bacillus cereus-An ambusher of food safety. Bull. Food Technol., 22, 587-600 (2009). 

  22. Lim, G.S., Koo, M. Kim, H.J., Kho, Y.H., Park, K.S., Oh, S.W., Determination of statistical sampling plans for Bacillus cereus in Salad and Kimbab. J. Food Hyg. Saf., 29, 16-20 (2014). 

  23. Lee, J. H., Microbial contamination of commonly consumed vegetables and sprouts in Korea. Master course. Thesis, Korea University. Korea. 2011. 

  24. Jo, M.J., Jeong, A.R., Kim, H.J., Lee, N.R., Oh, S.W., Kim, Y.J., Chun, H.S., Koo, M.S.,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cut product and organic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91-97 (2011). 

  25. Kim, S.R., Ryu, K.Y., Lee, M.H., Jung, C.S., Yoon, Y.H. Shim, W.B., Kim, J.H., Kim, B.S., Yoo, S.Y., Kim, D. H., Yun, J.C., Chung, D. H., Evaluation of the bactericidal activity of electrolyzed water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on perilla lea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67-471 (2012). 

  26. Francis, G.A., Thomas, C., O'Beirne, D.O.,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Int. J. Food Sci. Tech., 34, 1-22 (1999). 

  27. Lomonaco, S., Verghese, B., Gerner-Smidt, P., Tarr, C., Gladney, L., Joseph, L., Katz, L., Turnsek, M., Frace M., Chen, Y., Brown, E., Meinersmann, R., Berrang, M., Knabel, S., Novel epidemic clones of Listeria monocytogenes, United States. Emerg. Infect. Dis., 19, 147-150 (2013). 

  28. Samadpour, M., Barbour, M.W., Nguyen, T., Cao, T.M., Buck, F., Depavia, G.A., Mazengia, E., Yang, P., Alfi, D., Lopes, M., Stopforth, J.D., Incidence of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scherichia coli O157, Salmonella,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retail fresh ground beef, sprouts, and mushrooms. J Food Prot., 69, 441-443 (2006). 

  29. Berrada, H., Soriano, J.M., Pico, Y. and Manes, J., Quantific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salads by real time quantitative PCR. Int J Food Microbiol., 107, 202-206 (2006). 

  30. Kim, S.R., Chu, H., Yi, S.W., Jang, Y.J., Shim, W.B., Hung, N.B., Kim, W.I., Kim, H.J., Ryu, K., Investigation of hazardous microorganisms in baby leafy vegetables collected from a korean market and distribution company. J. Food Hyg. Saf., 34, 526-533 (2019). 

  31. Yu, Y.M., Youn, Y.M., Choi, I.U., Lee, Y.H., Microbiological monitoring of paprika, and bacterial contamination levels with respect to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Food Preserv., 18, 7-12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