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궐련 흡연 청소년과 전자담배를 중복 사용하는 흡연 청소년의 금연시도 영향요인 비교
Comparison of the Factors for Attempts to Quit Smoking by Adolescent using Tobacco Cigarettes only and those Adolescents using Tobacco Cigarettes Together with Electronic Cigarette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3 no.3, 2019년, pp.340 - 353  

박민희 (원광대학교 간호학과) ,  송혜영 (전북과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smoking-related social-ecological factors affecting attempts to quit smoking by adolescents using tobacco cigarettes only and also those adolescents using tobacco cigarettes along with electronic cigarettes. Methods: This study, as seconda...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금연시도 관련요인은 건강행위를 개인을 둘러싼 사회적·물리적 환경과 지역사회의 맥락과 같이 파악하는 사회생태학적인 관점을 적용하여(McLeroy, Bibeau, Steckler, & Glanz, 1988)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가 국가단위의 설문조사지만 연구방법에 따른 최소표본수를 충족하는지 계산해 보았다. G-Power 3.
  • 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 질병관리본부 주최로 자료 수집된 제14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2018)의 원시자료를 이용한 2차 분석연구로, 궐련형 담배만 흡연하는 청소년과 전자담배를 중복 사용하는 궐련형 담배를 흡연하는 청소년의 금연시도 영향요인을 비교하여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제14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2018)의 원시자료를 이용한 2차 분석연구로, 흡연 청소년을 대상으로 금연시도 영향을 요인을 궐련 흡연자와 전자담배를 중복 사용하는 흡연자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 흡연자 중 68.
  • 궐련 흡연자의 금연시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처음 흡연 시기, 격렬한 신체 활동, 친구 흡연, 전자담배를 중복 사용하는 흡연자의 금연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처음 흡연 시기, 금연교육 경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청소년의 흡연 유형에 따른 금연상담 및 교육이 차별화될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각각 중점을 두어야 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흡연청소년 대상 금연동기 강화의 중재는 흡연을 시작한 직후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궐련흡연자에는 건강증진 행위 교육과 지지그룹을 활용한 접근을 제언하며, 전자담배 중복 사용자에게는 전자담배의 유해성과 안전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을 제언하는 바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궐련만 흡연하는 청소년과 궐련과 전자담배를 중복 사용하는 흡연자의 금연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흡연 관련 사회생태학적 요인에 맞추어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스트레스인지는 ‘평상시 스트레스를 얼마나 느끼고 있습니까?’로 질문하여 대단히 많이 느낌, 많이 느낌, 조금 느낌을 ‘스트레스 있음’으로, 별로 느끼지 않음과 전혀 느끼지 않음을 ‘스트레스 없음’으로 구분하였다. 우울은 최근 1년 동안 2주 내내 일상생활을 중단할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느낀 적이 있는지 여부로 파악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담배를 중복으로 사용하는 청소년 흡연자의 금연시도를 돕는 방법은 기존 궐련흡연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방법과는 다르게 접근되어야 할 것이라고 사료되어 궐련형 흡연자와 전자담배를 중복 사용하는 흡연자의 금연시도율을 비교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차별화된 금연중재 전략을 세우고자 한다.
  • 청소년 흡연자를 궐련만 흡연하는 자와 궐련과 전자담배를 함께 사용하는 흡연자로 구분하여 금연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생태학적 요인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전자담배 사용 증가와 더불어 궐련형 담배와 중복으로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청소년들에게 청소년들의 금연시도에 따른 차별화된 금연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전자담배를 중복 사용하는 흡연자에게서는 금연교육이 금연시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를 통해 중복 사용자에 대한 금연교육 강화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일선 학교에서는 보건교육을 통해 전자담배가 금연의 보조제나 궐련담배의 대용품이 아니라는 점을 바르게 인식시키고, 전자담배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생태학적 요인을 개인요인, 개인간요인, 조직요인과 지역사회 및 정책 요인은 환경요인으로 구분하여 변수를 설정하였다. 청소년 흡연자를 궐련만 흡연하는 자와 궐련과 전자담배를 함께 사용하는 흡연자로 구분하여 금연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생태학적 요인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전자담배 사용 증가와 더불어 궐련형 담배와 중복으로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청소년들에게 청소년들의 금연시도에 따른 차별화된 금연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 흡연은 어떤 병들을 유발하는가? 7%로 다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2018). 청소년기 흡연은 성인기의 만성폐쇄성폐질환 위험성을 증가시키고, 관상동맥질환 발병 연령을 낮아지게 하며, 호흡기 질환 유병률 증가, 폐 기능 감소를 초래하게 되며, 폐암 및 심뇌혈관질환 등을 일으켜 조기 사망 가능성을 6배 이상 높일 수 있다(DiFranza et al., 2000, Lee et al.
청소년기의 흡연이 줄어들지 않는이유는? 금연구역 확대, 담뱃값 인상, 담뱃갑의 흡연 경고그림 도입 등의 금연정책의 강화와 증가된 건강증진기금으로 청소년 흡연예방 및 금연사업이 확대됨에 따라 청소년 흡연지표가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지만, 신종담배, 전자담배의 유혹에 여전히 노출되어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National Non-Smoking Support Center, 2017).
우리나라 청소년의 현재 흡연율은? 우리나라 청소년의 현재 흡연율은 2007년 13.3%에서 2011년 12.1%으로 2015년에는 7.8%, 2016년에는 6.3%로 최저점을 찍었지만 2017년 6.4%, 2018년 6.7%로 다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2018). 청소년기 흡연은 성인기의 만성폐쇄성폐질환 위험성을 증가시키고, 관상동맥질환 발병 연령을 낮아지게 하며, 호흡기 질환 유병률 증가, 폐 기능 감소를 초래하게 되며, 폐암 및 심뇌혈관질환 등을 일으켜 조기 사망 가능성을 6배 이상 높일 수 있다(DiFranz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mrock, S. M., Zakhar, J., Zhou, S., & Weitzman, M. (2015). Perception of e-cigarette harm and its correlation with use among U.S. adolescents. Nicotine & Tobacco Research, 17(3), 330-6. https://doi.org/10.1093/ntr/ntu156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November 8). Outbreak of Lung injury associated with the use of e-cigarette or vaping, products. Retrieved November 9th, 2019, from https://www.cdc.gov/tobacco/basic_information/e-cigarettes/severe-lung-disease.html 

  3. Cho, S. H, Eom, A. Y., & Jeon, G. S. (2012).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drinking and smoking in Korean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6(4), 13-25. https://doi.org/10.12811/kshsm.2012.6.4.013 

  4. Cengelli, S., O'Loughlin, J., Lauzon, B., & Cornuz, J. (2012). A systematic review of longitudinal population-based studies on the predictors of smoking cessation in adolescent and young adult smokers. Tobacco control, 21(3), 355-362. https://doi.org/10.1136/tc.2011.044149 

  5. DiFranza, J. R., Rigotti, N. A., McNeill, A. D., Ockene, J. K., Savageau, J. A., & Dorothy, S. C. (2000). Initial symptoms of nicotine dependence in adolescents. Tobacco Control, 9(3), 313-9. https://doi.org/10.1136/tc.9.3.313 

  6.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https://doi.org/10.3758/bf03193146 

  7. Golden, S. D., & Earp, J. A. L. (2012). Social ecological approaches to individuals and their contexts twenty years of health education & behavior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s. Health Education & Behavior, 39(3), 364-372. https://doi.org/10.1177/1090198111418634 

  8. Grana, R., Benowitz, N., & Glantz, S. A. (2014). E-cigarettes: a scientific review. Circulation, 129(19), 1972-1986. https://doi.org/10.1161/CIRCULATIONAHA.114.007667 

  9. Grana, R. A., Popova, L., & Ling, P. M. (2014). A longitudinal analysis of electronic cigarette use and smoking cessation. Journal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74, 812-813. https://doi.org/10.1001/jamainternmed.2014.187 

  10. Jeon, C., Jung, K. J., Kim, H., Lee, S., Barrington -Trimis, J. L., McConnell, R., Samet, J. M., & Jee, S. H. (2016). E-cigarettes, conventional cigarettes, and dual use in Korean adolescents and university students: Prevalence and risk factors. Drug and Alcohol Dependence, 168, 99-103 https://doi.org/10.1016/j.drugalcdep.2016.08.636 

  11. Kim, E, Y., Wang, J. W., Lee, J. H., & Rhim., K. H. (2013).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e-cigarette users and conventional cigarette smokers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Korea Public Health Research, 39(2), 117-128. 

  12. Kinnunen, J. M., Ollila, H., El-Amin, S. E., Pere, L. A., Lindfors, P. L., & Rimpela, A. H. (2014). Awareness and determinants of electronic cigarette use among Finnish adolescents in 2013: A population-based study. Tobacco control, 1-7. https://doi.org/10.1136/tobaccocontrol-2013-051512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of Korea. 

  1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of Korea. 

  15. Lee, E. H., Park, S. K., Ko, K. P., Cho, I. S., Shin, H. R., Kang, D. H., et al. (2010). Cigarette smoking and mortality in the Korean multi-center cancer cohort (KMCC) study.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3(2), 151-158. https://doi.org/10.3961/jpmph.2010.43.2.151 

  16. Lee, S. K., Grana, R. A., & Glantz, S. A. (2014). Electronic cigarette use among Korean adolescents: A cross-sectional study of market penetration, dual use, and relationship to quit attempts and former smoking.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54(6), 684-690.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13.11.003 

  17. Lee, Y. K., & Rye, S. Y. (2018).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differences of Korean adolescents with smoking experience: 11th(2015)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2). 155-163. https://doi.org/10.5762/KAIS.2018.19.2.155 

  18. McLeroy, K. R., Bibeau, D., Steckler, A., & Glanz, K. (1988).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health promotion programs. Health Education & Behavior, 15(4), 351-377. https://doi.org/10.1177/109019818801500401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National Non-Smoking Support Center. (2017). School smoking prevention program guideline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National Non-smoking Support Center. 

  20. Min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September). Recommended to refrain from using liquid e-cigarettes. Retrieved September 23, 2019,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50945 

  21. Park, M. H., & Yim, S. Y. (2018). A study of experiences of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in out-of-school youth,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2(3), 388-399. 

  22. Pentz, M. A., Shin, H., Riggs, N., Unger, J. B., Collison, K. L., & Chou, C. P. (2015). Parent, peer, and executive function relationships to early adolescent e-cigarette use: A substance use pathway? Addictive Behavior, 42(1), 73-8. https://doi.org/10.1016/j.addbeh.2014.10.040 

  23. Yang, S. J. (2008). An analysis of trends in smoking-related research.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2(2), 255-265. 

  24. Wang, J. W., Lee, C. M., & Kim, E. Y. (2014). The characteristics of dual users of both conventional cigarettes and e-cigarettes among Korean adolescents. Korean Society for Research on Nicotine and Tobacco, 5(1), 10-18. https://doi.org/10.25055/jksrnt.2014.5.1.10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April). A conceptual framework for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discussion Paper 2. Retrieved September 10, 2019, from https://www.who.int/social_determinants/resources/csdh_framework_action_05_07.pdf?ua1 

  2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August). Back grounder on WHO report on regulation of e-cigarettes and similar products. Retrieved September 15, 2019, from https://www.who.int/nmh/events/2014/backgrounder-e-cigarettes/e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