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주요 다목적댐의 유입량 변화 전망
Future Projection in Inflow of Major Multi-Purpose Dam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1 no.spc, 2019년, pp.107 - 116  

이문환 (홍콩과학기술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임은순 (홍콩과학기술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배덕효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목적댐은 생·공용수를 공급하고, 하천유지유량을 방류하는 등 하천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최근 발생하고 있는 기상이변은 댐 공급량의 시공간적 변화를 야기하여 댐 용수공급의 취약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6개 다목적댐들의 미래 유입량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평가를 위해, 고해상도 앙상블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였으며, 준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을 통해 댐 유입량을 산정하였다. 평가 결과, 모든 댐과 모든 시나리오에서 홍수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갈수량의 경우 태백산맥에서 발원되는 소양강댐, 충주댐, 안동댐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합천댐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청댐과 섬진강댐은 변화가 거의 없었다. 하지만 합천댐을 제외한 나머지 댐들 모두 갈수량의 범위가 더욱 넓어지고, 갈수량의 최소값은 감소하는 등 기후변화는 댐의 공급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기후변화를 고려한 극한 물부족 발생 시 대응할 수 있는 물관리 정책수립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lti-purpose dams in Korea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water management such as supplying water for living, industrial water, and discharging instream flow requirement to maintain the functions of river. However, the vulnerability of dam water supply has been increased due to extreme weather even...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풍수량, 평수량, 저수량, 갈수량은 1년간 각각 95일, 185일, 275일, 355일 이상은 이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유량을 의미하며, 그 중 갈수량(이하 Q355)은 대게 기저유출을 의미하며, 전체 분석기간의 평균값을 평균 갈수량이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다목적 댐들의 유황곡선의 변화를 평가하고, 그 중에서 특히 갈수량(Q355)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전망하고자 한다.
  •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남한 전역 혹은 대권역 유역에 대한 유량의 변화를 평가하거나, 가뭄 전망을 수행한 적은 있으나, 남한전역이나 대권역 중심으로 평가하게 되면, 댐의 상류유역과 하류유역을 동일한 비중으로 평가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실제 다목적댐의 유입량에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평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댐 유입량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댐의 저수용량을 결정할 때 유황곡선(flow-duration curve)을 이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계적 후처리기법이란 무엇인가? 따라서 기후변화 연구 시 통계적 후처리기법 등을 이용하여 계통오차를 줄여주는 과정은 필수적인 단계이다. 통계적 후처리기법이란 편의가 있는 기후모의결과를 관측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현재 관측되고 있는 기후상태의 자료로 변환하는 방법이며, 크게 2가지 방법으로 구분된다.첫 번째는 관측자료와 모의자료를 비교하여 편의를 산정한 후편의를 미래기간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편의보정기법(biascorrection method)이고, 두 번째 방법은 기후변화 모의자료의과거기간 대비 미래기간의 변화율(강수량 등) 혹은 변화량(기온)을 산정하여 관측자료에 적용하는 변화율법(change factormethod)이다.
기후모형을 통해 생산되는 모의결과에 계통오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후모형을 통해 생산되는 모의결과는 기후모형의 구조와 모수화 과정 등의 한계로 인하여 계통오차(systematic error)가 발생한다(Bae et al., 2008).
기후변화 연구 시 통계적 후처리기법 등으로 계통오차를 줄여주는 과정이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 2008).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영향평가 시 평가 도구로 수문모형을 적용하게 되는데, 수문모형의 경우 과거 관측자료를 이용해서 매개변수를 검·보정하기 때문에모의된 기상자료에 편의가 클 경우 영향평가 시 결과가 왜곡될가능성이 높다(Lee et al., 2019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e, DH, Jung, IW, and Chang, H (2008). Potential changes in Korean water resources estimated by high-resolution climate simulation, Climate Research, 35, pp. 213-226. 

  2. Bae, DH, Jung, IW, Lee, BJ, and Lee, MH (2011). Future Korean Water Resources Projection Considering Uncertainty of GCMs and Hydrological Models,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5), pp. 389-406. [Korean Literature] 

  3. Hamon, WR (1961). Estimating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Journal of the Hydraulic Division, 87(HY3), pp. 107-120. 

  4. Im, ES, Kwon, WT, Ahn, JB, and Giorgi, F (2007). Multi-decadal scenario simulation over Korea using a one-way doublenested regional climate model system. Part I: Recent climate simulation (1971-2000). Climate Dynamics, 28, pp. 759-780. 

  5. Im, ES, Ahn, JB, and Jo, SR (2015). Regional climate projection over South Korea simulated by the HadGEM2-AO and WRF model chain under RCP emission scenarios. Climate Research, 63, pp. 246-266. 

  6. Jung, IW, and Bae, DH (2005). A study on PRMS applicability for Korean River basin,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8(9), pp. 713-725. [Korean Literature] 

  7. Jung, IW, Bae, DH, and Lee, BJ (2013). Possible change in Korean streamflow seasonality multi-model climate projections, Hydrological Processes, 27, pp. 1033-1045. 

  8. Kim, BS, Kim, HS, Seoh, BH, Kim, NW (2004). Impact of Climate Change on Yongdam Dam Basin,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7(2), pp. 185-193. [Korean Literature] 

  9. Kim, D, Hong, SJ, Han, D, Choi, C, Kim, HS (2016). Analysis of future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considering climate change in Han-River Basin,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8(4), pp. 432-447. [Korean Literature] 

  10. Kim, NW, Kim, HJ, Park, SH (2005). Long-term runoff characteristics on HRU variations of PRMS,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8(2), pp. 167-177. [Korean Literature] 

  11. Kim, UT, Lee, DR, Yoo, C (2004).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streamflow for the Daechung dam watershed,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7(4), pp. 305-341. [Korean Literature] 

  12. Lafon, T, Dadson, S, Buys, G, and Prudhomme, C (2013). Bias correction of daily precipitation simulated by a regional climate model: A comparison of method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33, pp. 1367-1381. 

  13. Leavesley, GH, Lichty, RW, Troutman, BM, and Saindon, LG (1983). Precipitation-Runoff Modeling System, User's manual, by Water-Resources Investigations, pp. 83-428. 

  14. Lee, DW, Jung J, Hon, SJ, Joo, HJ, and Kim, HS (2017). Evaluation of Future Water Deficit for Anseong River Basin Under Climate change,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9(3), pp. 345-352. [Korean Literature] 

  15. Lee, MH, Im, ES, and Bae, DH (2019a). A comparative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drought over Korea based on multiple climate projections and multiple drought indices, Climate Dynamics, 53, pp. 389-404. 

  16. Lee, MH, Lu, M, Im, ES, and Bae, DH (2019b). Added value of dynamical downscaling for hydrological projections in the Chungju bas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39(1), pp. 516-531. 

  17. Oh, SG, and Suh, MS (2018). Changes in seasonal and diurnal precipitation types during summer over South Korea in the late twenty-first century (2081-2100) projected by the RegCM4.0 based on four RCP scenarios, Climate Dynamics, 51, pp. 3041-3060. 

  18. Suh, MS, Oh, SG, Lee, YS, Ahn, JB, Cha, DH, Lee, DK, ... Kang, HS (2016). Projections of high resolution climate changes for South Korea using multiple-regional climate models based on four RCP scenarios. Part 1: Surface air temperature,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52, pp. 151-169. 

  19. Taylor, KE, Stouffer, RJ, and Meehl, GA (2012). An overview of CMIP5 and the experiment design,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93, pp. 485-498. 

  20. Teutschbein, C, & Seibert, J (2012). Bias correction of regional climate model simulations for hydrological climate-change impact studies: Review and evaluation of different methods, Journal of Hydrology, 456, pp. 12-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