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들의 과학사, 과학, 역사 과목에 대한 관계인식 탐색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진로선택 과목 '과학사'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Relationships among History of Science, Science, and History: Focus on 'History of Science'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9 no.5, 2019년, pp.613 - 624  

이준기 (전북대학교) ,  하민수 (강원대학교) ,  신세인 (충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진로선택 교과목인 '과학사' 과목과 과학과 역사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실제 과학사 수업을 경험하기 이전과 이후의 이 인식의 변화를 계열별로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생 265명이 그린 과학사와 과학, 역사와의 관계를 표현한 벤다이어그램 도형 자료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설명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여 최종적으로 범주화하였다. 벤다이어그램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과학과 역사의 만남으로서의 과학사', '독립영역으로서의 과학사', '역사의 일부로서의 과학사', '과학의 일부로서의 과학사', '모두를 아우르는 과학사'의 5가지의 다양한 관계범주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유형들마다 다양한 세부유형들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과학사 수업 경험 이전에는 많은 학생들이 과학사를 과학 과목과 역사 과목의 교집합으로 여기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과목 경험 후에는 인문계 학생들과 자연계 학생들의 관계인식변화는 서로 달라졌다. 인문계 학생들의 경우에는 과학사 과목이 역사과목의 일종이라고 여기는 인식이 더 증가했고, 자연계 학생들의 경우는 과학의 일종이라고 여기는 인식이 더 증가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사 교육이 기존에 자신이 속한 계열 내에서 익숙하게 배우는 기존의 교과들과는 다른 새로운 관점을 경험할 수 있는 과학사 교수-학습이 실현되어야 할 것임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science, history, and history of science which is one of the career elective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compares students' perception before and after experiencing hist...

주제어

표/그림 (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교육과정에서 과학사 교과목은 언제 등장하게 되었나? 특히 최근 도입된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일반계 모든 고등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과학과의 진로선택 과목 중 하나로 과학사가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교과목으로서의 과학사’에 대한 논의가 무엇보다 시급한 상황이다. 그동안 국내 교육과정에서 과학사 교과의 역사를 살펴보면, 과학사는 5차 교육과정 과학계열 필수교과로 처음 등장하였으며 6차 교육과정 시기에도 과학계열 전문교과목2)이었다(MOE, 1988). 과학계열 전문교과목으로서 과학사는 7차 교육과정에서도 유지되었다가(MOE, 1997),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심화교과로 변경되었는데, 이때는 ‘과학사 및 과학철학’이라는 이름의 과목으로 고시되었으며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전문교과이지만 경우에 따라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전문교과의 개설이 허용되었다(MEST, 2011).
과학사 과목을 ‘과학학(science studies)’에 가까운 과목으로 볼 수 있는 이유는? 이러한 언급은 과학사 과목을 실제로 경험한 뒤의 반응으로 실제로 과학사 과목은 ‘과학사’라는 이름의 과목이지만 교육과정 성취기준상 과학철학, 과학사(서양과학사, 동아시아 및 이슬람 과학사, 한국과학사), 과학사회학을 모두 아우르는 사실상의 ‘과학학(science studies)’에 가까운 과목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목 내용체계를 살펴보면 분명해 지는데, 과학사 과목의 경우 내용체계에서 영역으로 ‘과학이란 무엇인가’, ‘서양과학사’, ‘동양 및 한국과학사’, ‘과학과 현대 사회’를 제시하고 있다(MOE, 2015). 또한 Ⅰ단원에 등장하는 과학철학의 수준은 예비교사들이 과학교육론 수준에서 접하는 현대과학철학자들인 칼 포퍼(Karl R.
벤다이어그램이란? 수학시간에 집합과 명제 단원을 통해 접하게 되는 벤다이어그램은 어떤 대상들의 관계유형을 직관적으로 나타내는데 매우 효과적이다(Gunstone & White, 1986). 벤다이어그램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영국의 수학자이자 논리학자인 존 벤(John Venn)이 고안한 것이며, 서로 다른 집합들(sets)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폐곡선으로 표현한 도식을 의미한다. 학생들이 벤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한 과학사, 과학, 역사 사이의 관계인식 자료는 벤다이어그램을 구성하는 각 영역의 크기, 포함관계, 위치 등을 기준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여 최종적으로 유형을 도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Ahn, H. Y. (2012). The biologism within consilience: How physics makes an effect on the shape of biolog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3), 691-719. 

  2. Aiden, E. L., & Michel, J. B. (2013). Uncharted: Big data as a lens on human culture. Riverhead books, New York. 

  3. Aikenhead, G. S. (2003). Review of research on humanistic perspectives in science curricula. A paper presented at the European Science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ESERA). Noordwijkerhout: The Netherlands, August 19-23. 

  4. Alvargonzalez, D. (2013). Is the history of science essentially Whiggish? History of Science, 51(1), 85-99. 

  5. Butterfield, H. (1965). The Whig interpretation of history (No. 318). WW Norton & Company. 

  6. Chang H. (2017). Who cares about the history of science?. Notes and record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71(1), 91-107. 

  7. Choi, D. G. (2014). Remarks on some characteristics of complex adaptive systems: A proposal for new method of analysis. New Physics: Sae Mulli, 64, 188-193. 

  8. Conant, J. B. (1947), On Understanding Scienc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9. Gasparatou, R. (2017). Scientism and Scientific Thinking: A Note on Science Education. Science & Education, 26(7-9), 799-812. 

  10. Gunstone, R. F., & White, R. T. (1986). Assessing understanding by means of venn diagrams. Science Education, 70(2), 151-158. 

  11. Gooday, G., Lynch, J. M., Wilson, K. G., & Barsky, C. K. (2008). Does science education need the history of science? Isis, 99, 322-330. 

  12. Ha, M. (2016). Examining the validity of history of science based evolution concept assessment and exploring conceptual progressions by contex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6(3), 509-517. 

  13. Han, S. (2016). Educational reflections on the discourse of science education using the history of science. The Journal of Educational Principles, 19(1), 51-75. 

  14. Heilbron, J. (1987). Applied history of science. Isis, 78(4), 552-563. 

  15. Hong, S. Y., & Sohn, J. (201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quiry-based scientific education program using history of science for teaching about ‘External Galaxies’. School Science Journal, 13(1), 31-44. 

  16. Hottecke, D., & Silva, C. C. (2011). Why implementing history and philosophy in school science education is a challenge: An analysis of obstacles. Science & Education, 20(3-4), 293-316. 

  17. Jardine, N. (2003). Whigs and Stories: Herbert Butterfield and the Historiography of Science. History of Science, 41(2), 125-140. 

  18. Jung, W. (2013). The problem of discontinuous method of mathematical teaching: A case on concept of continuity. Journal of the Korean History of Science Society, 35(3), 521-542. 

  19. Kim, G. B. (2019). "Humanistic Turn" of big history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ge. Human Beings, Environment and Their Future, 22, 63-88. 

  20. Kim, H. K., & Jeong, E. (2018). How to apply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t the general high school.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1(1), 61-77. 

  21. Kim, H. K., & Na, J. (2018). A study on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field application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10), 565-588. 

  22. Kim, S. H. (2016). From intellectual history and the history of ideas to the history of the social sciences. Journal of the Korean History of Science Society, 38(1), 151-158. 

  23. Kim, S. Y., & Shin, G. S. (2017). Effects of history of biology program on pre-service biology teachers’ nature of science. School Science Journal, 11(2), 192-203. 

  24. Kim, T. H. (2013a). Captivated in heroic myths: Portrayals of the history of science in South Korean popular culture. Journal of the Korean History of Science Society, 35(3), 481-498. 

  25. Kim, T. H. (2013b). The dream of modernization and the birth of “Scientific Heroes”: Analyses of children’s biographies of Korean scientists. Yoksa Hakbo, 218, 73-104. 

  26. Kim, Y. W. (2010). Reconfiguring the universal for global history. A Bulletin of the Ewha Historical Institutions, 40, 59-85. 

  27. Klein, M. J. (1972). 'The use and abuse of historical teaching in physics, in King, A. L. Eds: History in the Teaching of Physic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orking Seminar on The Role of the History of Physics in Physics Education,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Hanover, N.H. Brush and King, pp. 12-18. 

  28. Landrum, A. R., Lull, R. B., Akin, H., Hasell, A., & Jamieson, K. H. (2017). Processing the papal encyclical through perceptual filters: Pope Francis, identity-protective cognition, and climate change concern. Cognition, 166, 1-12. 

  29. Lee & Chang, 2007). The comparison of state-level U.S. science curricula with science teachers' perception regarding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SSI).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10(1), 189-209. 

  30. Lee, B., & Shin, D. (2011). Professionals’ opinion of science education using history of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5), 815-826. 

  31. Lee, J. K., Shin, S., & Ha, M. (2016). Eight million books meet in science class: Learning about big data and history of biology using Google Ngram viewer. School Science Journal, 10(3), 354-364. 

  32. Lee, M. U. (2003). The possibility of science education using the history of Korean scienc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2(2), 211-222. 

  33. Lee, N. I. (2009). How could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 meet together?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87, 259-311. 

  34. Lee, S. K., & Kim, U. H. (1995). A study on introducing the science of history to correct misconcep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5(3), 275-283. 

  35.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36. Maienschein, J., & Smith, G. (2008). What difference does history of science make, anyway? Isis, 99(2), 318-321. 

  37. Matthews, M. R. (1990). Ernst Mach and contemporary science education reform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2(3), 317-325. 

  38. McCloskey, M., Caramazza, A., & Green, B. (1980). Curvilinear Motion in the Absence of External Forces: Naive Beliefs About the Motion of Objects. Science, 210, 1139-41. 

  39. Michel, J. B., Shen, Y. K., Aiden, A. P., Veres, A., Gray, M. K., The Google Books Team, Pickett, J. P., Hoiberg, D., Clancy, D., Norvig, P., Orwant, J., Pinker, S., Nowak, M. A., Aiden, E. L. (2011). Quantitative analysis of culture using millions of digitized books. Science 331: 176-182. 

  40. Ministry of Education(MOE) (1988). The school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1988-7. 

  41. Ministry of Education(MOE) (1992). The school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1992-19. 

  42. Ministry of Education(MOE) (1997). The school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1997-15. 

  43. Ministry of Education(MOE) (2015).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5-74 [issue 9]. 

  4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EST) (2011).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1-361. 

  45. Moon, M. J., & Kim, Y. G. (2009). An investigation of conceptions on combustion and a proposal of teaching programs using the history of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4), 467-475. 

  46. Moon, M. Y. (2009). Introducing the history of science in modern Korea into the elementary classroo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2), 197-212. 

  47. Oh, Y. D. (2012).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consilience as a new project to unify sciences. Philosophia, 122, 215-244. 

  48. Paik, S. H. (2013). Using history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History of Science Society, 35(3), 499-519. 

  49. Park, G. S., & Yoo, M. H. (2013). The effects of ‘Science history based chemist inquiry program’ on the understanding toward nature of science,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ce career orienta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7(6), 821-829. 

  50. Park, M. (2014). Essential Tensions in Applying History of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History of Science Society, 35(3), 465-480. 

  51. Park, S. K., Lee, K. Y., & Lee, M. U. (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ree dimension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history of science content in science textbook: Focus on the history of earth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1), 99-112. 

  52. Park, S., Chung, W., & Park, Y. (2016). Analysis on the utilization of history of science and STEAM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design-based STEAM instruction applying the history of science in science clas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0(2), 166-188. 

  53. Phenix, P. H.(1964). Realms of meaning: A philosophy of curriculum for general education. New York: McGraw-Hill. 

  54. Reiner, M., Slotta, J. D., Chi, M. T. H., & Resnick, L. B. (2000). Naive Physics Reasoning: A Commitment to Substance-Based Conceptions. Cognition & Instruction. 18, 1-34. 

  55. Robin, L., & Steffin, W. (2007). History for the Anthropocene. History Compass, 5(5), 1694-1719. 

  56. Rutherford, F. J. (2001). Fostering the history of science in american science education. Science & Education, 10(6), 569-580. 

  57. Song, S. S. (2009). Can Wilson's consilience fill up the gap of two cultures? 56(2), 1-18. 

  58. Song, S. S. (2013).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cientists’ creativity using the cases in history of Science: Focusing on Darwin, Edison, and Einstein. Teacher Education Research, 52(2), 227-236. 

  59. Wang, H. A., & Marsh, D. D. (2002). Science instruction with a humanistic twist: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in using the history of science in their classrooms. Science & Education, 11(2), 169-189. 

  60. Watts, D., & Strogatz, S. H. (1998). Collective dynamics of 'small-world' networks. Nature, 393, 440-442 

  61. White, R., & Wallace, J. (1999). Heroism and science education reform.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4), 417-430. 

  62. Wilson, A., & Ashplant, T. (1988). Whig history and present-centered history. The Historical Journal, 31(1), 1-16. 

  63. Yoo, M., Yeom S. I., & Hong, H. G. (2007). The effect of science history program developed by genetic approach on student’s conception toward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and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1(2), 213-2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