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2, 2019년, pp.235 - 242
한미희 (남서울대학교 교양대학) , 정욱성 (서울대학교 일본지역전공)
The present paper aims to examine how prospective teachers' experience of creating UCC materials affects their teaching expertise and creativity. The group of subjects consists of a group of 19 students majoring in Japanese under the teacher certificate curriculum at N University located in Cheona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UCC란? | UCC는 ‘User Created Contents’의 약자로서 사용자가 스스로 사진, 영상, 음악 등을 이용한 멀티미디어매체를 작업 및 제작한 모든 종류의 콘텐츠를 의미한다[1]. 그리고 오늘날 UCC는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선거홍보, 온라인 쇼핑몰 그리고 CF같은 광고에서도 유사한 형태로서 적용하는 경우가 확대되어가고 있다. | |
교사의 UCC 동영상 출현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 실제로 동영상 UCC는 개인 유튜버가 자신의 고유한 컨텐츠를 만들어 창작품을 산출하는 과정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오프라인에서 만나는 매우 친숙한 교사가 온라인으로 등장하여 그 교과를 가리친다는 것은 그 자체가 흥미로운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공감, 즐거움, 집중 등의 많은 장면들이 연출되어 교육적 효과가 높아진다고 예측되어진다. | |
UCC제작을 통한 교수학습활동 진행이 드문 이유는? | 하지만 위에서도 전술하였듯이 UCC는 새로운 매스미디어의 장르이면서 중등학생들에게도 선호도나 활용도가 매우 높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가르치는 교수자들의 방법들은 쉽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전통적인 교실수업 환경에서 UCC제작을 통한 교수학습활동 진행은 매우 드문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5]. 이와 같은 이유로 UCC의 제작 경험에 관한 연구 또한 학습자들이 과제로서 진행된 효과 검증들이 대부분이며 교사나 예비교사로서 UCC 제작경험을 통한 교수자로서의 교과전문성이나 창의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고 할 수 있다[6]. |
H. S. Woo, M. R. Yeom & D. Y. Jung. (2016). An Analysis on the UCC Media for STEAM Integrated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10), 43-48.
E. T. Lim. (2006). A study on the influence of UCC -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and UCC. Journal of College Education, 9(4), 403-418.
J. W. Son & S. O. Cho. (2006). The Survey o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about Science-related TV program for stimulating interest and UCC Materials. Journal of Research and Curriculum & Instruction, 16(2), 111-143.
S. H. Park, D. G. Kim & M. S. Kang. (2010). Develop Model of Project UCC Instrcution.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22(3), 402-419.
J. W. Kang & E. J. Kim. (2009). An Exploratory Study on "Audio-Visual UCC Uses of College Students: A TPB-TAM Integrated Model.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3(1), 187-208.
H. J. Lee & D. B Jeong. (2008). The Effect of UCC Task Activities on College StudentsEnglish Learning. Modern English Education. 9(1), 283-306.
J. H. Kim & J. J. Yoon. (2009). The Effect of educational using UCCs on the Capability of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2(3), 125-143.
Y. J. Hur. (2006). A Study of Pre-teachers' Perception Change of Educational Usefulness and Limitation of Moving Image's UCC PDF icon. Journal of Education and Culture. Journal of Education and Culture, 16(2), 111-143.
S. H. Kang. (2007). A Study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Educational Utility of UCC.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3(4), 307-321.
L. Darling-Hammond. (2000). How teachers education matters. Journal of Teachers Education. 51(3), 166-173.
J. Randi & M. Zeichner. (2004). New vision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mylie, M. A. & Miretzky, D.(Eds.). Developing the teacher workforce: 103rd year book of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K. H. Lee & M. J. Choi. (2013). A Study of Teachers'' Learning and Teacher Creativity Education.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3(1), 5-30.
O. Y. You. (2012). A Research o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6(3), 389-401.
In K. A. Heller, F. J. Monks, R. J.Sternberg, & R. F. Subotnik(Eds.). (2000). Csikszentmihalyi,. New conceptions and researchapproach to creativity: Implications of systems perspective for creativity in education,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NY : Pergamon.
H. S. Park. (2007). A Exploring Study on the Associate Variables with Teachers' Creativit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6(2), 149-164.
E. P. Torrance. (1963). The creative potential of children in the space age. In E.P. Torrance(Ed). Education and the creative potential.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B. Halliwell & S. Chirico. (1993). Lipid Peroxidation Its Mechanism, Measurement, and Significance.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57, 715-725.
P. Woods. (1993). Critical events in teaching and learning. NY : Falmer.
Y. S .Paik & W. T. Kim. (2008). Validation of the Self Rating Scal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2(3), 111-128.
M. H. Jo, H. Y. Lee & H. W. Lee. (2014). Teaching Competencies of Students in College of Education: Focused on S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0(3), 239-263.
J. S. Yu. (2018). An Exploratory Study ou the Development of Teacher Creativity Scale.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Seoul.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