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교사들의 UCC 제작 경험이 교과전문성 및 교사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일본어전공 학생들을 중심으로
On the Effect of Prospective Teachers' Experience of Title of Making UCC Materials on their Teaching Expertise and Creativity: an Empirical Study with Japanese Majors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2, 2019년, pp.235 - 242  

한미희 (남서울대학교 교양대학) ,  정욱성 (서울대학교 일본지역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UCC 제작 경험이 교과전문성과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 천안시에 위치한 A대학교의 교직과정 이수중인 일본어전공 예비교사들이며 자료분석은 SPSSWIN Versio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상관분석 그리고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예비교사의 UCC 제작 경험은 교과전문성과 교수창의성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교사의 교수법이 매우 중요함을 인식하고 새로운 혁신적 교수법을 도입해야 하는 필요성과 함께 그에 대한 활동이 구체화되고 확대되기를 시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paper aims to examine how prospective teachers' experience of creating UCC materials affects their teaching expertise and creativity. The group of subjects consists of a group of 19 students majoring in Japanese under the teacher certificate curriculum at N University located in Cheona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창의성 교육’이라는 말속에서는 창의성 교육을 하는 교사와 교육을 받는 학습자가 전제되어 있고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속에서 창의적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데,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창의성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은 창의성 교육에서 교사를 배제시킬 뿐 아니라 교사들의 전문성 성장 역시 고려하지 못하는 것으로 우려되는 일이다. 따라서 교사의 창의성 교육을 재검토 할 필요성이 있으며 창의성 발달이 체계적인 구조 속에서만 발달하는것이 아니라 사소한 일상 속에서도 이루어지는 것이므로창의성교육이 이루어지는 교육환경이 개선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가 전제되어 있고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속에서 창의적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데,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창의성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은 창의성 교육에서 교사를 배제시킬 뿐 아니라 교사들의 전문성 성장 역시 고려하지 못하는 것으로 우려되는 일이다.
  • 본 연구는 무엇보다도 교사들이 직접 제작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UCC가 교수-학습 현장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주목하게 되었으며 UCC는 이제 기존의 문자에만 의존했던 것과는 달리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자신의 교과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흥미로운 교수-학습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이 수업을 위한 UCC 제작과정의 경험이 실제로 교과전문성과 교사의 창의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예비교사가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교과전문성과 교사의 창의성을 발휘하여 효과적인 수업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 전공 예비교사들이 특히 언어교육이라고 하는 지금까지 다양하게 활용했던 동영상을 자신들이 제작자가 되어서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기존의 교수-학습 등에만 의존하지 않고 새로운 교수-학습 전략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이 초기에 겪는 어려움을 포착하여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및 프로그램 등의 지원이 확대되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 그리고 이를 통해 예비교사가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교과전문성과 교사의 창의성을 발휘하여 효과적인 수업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자 한다. 또한 학교현장에서 교사의 교수법이 매우 중요함을 인식하고 새로운 혁신적 교수법을 도입해야 하는 필요성과 함께 이에 대한 활동이 확대되어 바람직한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무엇보다도 교사들이 직접 제작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UCC가 교수-학습 현장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주목하게 되었으며 UCC는 이제 기존의 문자에만 의존했던 것과는 달리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자신의 교과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흥미로운 교수-학습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이 수업을 위한 UCC 제작과정의 경험이 실제로 교과전문성과 교사의 창의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실험집단만으로 설계된 경우로서 실험처치를 전후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처치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일본어 전공의 예비교사들이 교직이수과정에서 UCC 제작경험을 통해 교과전문성과 교사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예비교사들이 교육현장에 진출하기 전, 교수-학습의 효과적인 방법으로 UCC 제작경험은 교과전문성과 교사창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어 전공 예비교사들이 UCC 제작 경험이 교과전문성과 교사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UCC란? UCC는 ‘User Created Contents’의 약자로서 사용자가 스스로 사진, 영상, 음악 등을 이용한 멀티미디어매체를 작업 및 제작한 모든 종류의 콘텐츠를 의미한다[1]. 그리고 오늘날 UCC는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선거홍보, 온라인 쇼핑몰 그리고 CF같은 광고에서도 유사한 형태로서 적용하는 경우가 확대되어가고 있다.
교사의 UCC 동영상 출현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실제로 동영상 UCC는 개인 유튜버가 자신의 고유한 컨텐츠를 만들어 창작품을 산출하는 과정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오프라인에서 만나는 매우 친숙한 교사가 온라인으로 등장하여 그 교과를 가리친다는 것은 그 자체가 흥미로운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공감, 즐거움, 집중 등의 많은 장면들이 연출되어 교육적 효과가 높아진다고 예측되어진다.
UCC제작을 통한 교수학습활동 진행이 드문 이유는? 하지만 위에서도 전술하였듯이 UCC는 새로운 매스미디어의 장르이면서 중등학생들에게도 선호도나 활용도가 매우 높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가르치는 교수자들의 방법들은 쉽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전통적인 교실수업 환경에서 UCC제작을 통한 교수학습활동 진행은 매우 드문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5]. 이와 같은 이유로 UCC의 제작 경험에 관한 연구 또한 학습자들이 과제로서 진행된 효과 검증들이 대부분이며 교사나 예비교사로서 UCC 제작경험을 통한 교수자로서의 교과전문성이나 창의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고 할 수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 S. Woo, M. R. Yeom & D. Y. Jung. (2016). An Analysis on the UCC Media for STEAM Integrated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10), 43-48. 

  2. E. T. Lim. (2006). A study on the influence of UCC -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and UCC. Journal of College Education, 9(4), 403-418. 

  3. J. W. Son & S. O. Cho. (2006). The Survey o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about Science-related TV program for stimulating interest and UCC Materials. Journal of Research and Curriculum & Instruction, 16(2), 111-143. 

  4. S. H. Park, D. G. Kim & M. S. Kang. (2010). Develop Model of Project UCC Instrcution.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22(3), 402-419. 

  5. J. W. Kang & E. J. Kim. (2009). An Exploratory Study on "Audio-Visual UCC Uses of College Students: A TPB-TAM Integrated Model.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3(1), 187-208. 

  6. H. J. Lee & D. B Jeong. (2008). The Effect of UCC Task Activities on College StudentsEnglish Learning. Modern English Education. 9(1), 283-306. 

  7. J. Y. Chang. (2015). Convergence of Education and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SNS Affecting Relationship Development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6), 213-219. 

  8. J. H. Kim & J. J. Yoon. (2009). The Effect of educational using UCCs on the Capability of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2(3), 125-143. 

  9. Y. J. Hur. (2006). A Study of Pre-teachers' Perception Change of Educational Usefulness and Limitation of Moving Image's UCC PDF icon. Journal of Education and Culture. Journal of Education and Culture, 16(2), 111-143. 

  10. S. H. Kang. (2007). A Study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Educational Utility of UCC.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3(4), 307-321. 

  11. L. Darling-Hammond. (2000). How teachers education matters. Journal of Teachers Education. 51(3), 166-173. 

  12. J. Randi & M. Zeichner. (2004). New vision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mylie, M. A. & Miretzky, D.(Eds.). Developing the teacher workforce: 103rd year book of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13. K. H. Lee & M. J. Choi. (2013). A Study of Teachers'' Learning and Teacher Creativity Education.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3(1), 5-30. 

  14. O. Y. You. (2012). A Research o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6(3), 389-401. 

  15. In K. A. Heller, F. J. Monks, R. J.Sternberg, & R. F. Subotnik(Eds.). (2000). Csikszentmihalyi,. New conceptions and researchapproach to creativity: Implications of systems perspective for creativity in education,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NY : Pergamon. 

  16. H. S. Park. (2007). A Exploring Study on the Associate Variables with Teachers' Creativit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6(2), 149-164. 

  17. E. P. Torrance. (1963). The creative potential of children in the space age. In E.P. Torrance(Ed). Education and the creative potential.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8. B. Halliwell & S. Chirico. (1993). Lipid Peroxidation Its Mechanism, Measurement, and Significance.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57, 715-725. 

  19. P. Woods. (1993). Critical events in teaching and learning. NY : Falmer. 

  20. Y. S .Paik & W. T. Kim. (2008). Validation of the Self Rating Scal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2(3), 111-128. 

  21. M. H. Jo, H. Y. Lee & H. W. Lee. (2014). Teaching Competencies of Students in College of Education: Focused on S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0(3), 239-263. 

  22. J. S. Yu. (2018). An Exploratory Study ou the Development of Teacher Creativity Scale.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