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철도 출·도착데이터를 이용한 승객이동 패턴 분석
Analysis of Passenger Movement Patterns Using Subway OD Dat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2, 2019년, pp.315 - 325  

백의영 (광운대학교 시공간분석연구실) ,  조재희 (광운대학교 정보융합학부) ,  김동건 (동덕여자대학교 정보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누구나 쉽게 지하철 OD 이동패턴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마트를 설계하고 구축하는 것이다. 서울 열린데이터광장에서 받은 2017년도 데이터를 원천 데이터로 이용하였다. 다차원모델을 설계하였고, 가우시안 혼합 군집분석과 Tableau를 이용한 다차원 분석을 실시하였다. 흥미로운 사실은 교외지역과 서울 간 이동은 전체 이동량의 23%에 해당하며, 수원역의 이용객은 서울보다 교외로의 이동이 매우 크며, 반면 판교역은 이동량의 대부분이 서울로의 이동이다. 가우시안 혼합 군집결과 8개의 OD구간 군집을 발견하였고, 구간 거리와 승객 수에 의해 각 군집의 특징을 네이밍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construct a data mart that anyone can easily analyze subway OD movement patterns. Subway OD data of the year 2017 was downloaded from the Seoul Open Data Plaza and used as the source data. A multidimensional model was designed, and Gaussian mixed cluster an...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본 연구는 수도권 도시철도의 출·도착지의 통행패턴뿐만 아니라, 전체를 통찰할 수 있는 데이터마트를 구축하고 구축된 데이터마트를 이용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 도시철도의 출·도착지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계 및 축선에 따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장에서는 본 연구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자 교통카드데이터를 분석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를 통해 수도권 도시철도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과 제시된 해결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 최종적으로 본연구의 다차원모델 구축 방안을 논의한다.
  • 수도권 통행인구의 출·도착지와 경유지를 파악한 후, 지역에 따른 이동특성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 앞에서 살펴본 연구들은 다른 대중교통보다 도시철도가 친환경적 교통수단임을 강조하여 생활 전반에서 이용률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도시철도에 탑승한 후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거리 개념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 이동패턴에 의한 공간의 변화와 특성을 살펴보고, 권종별(무임·일반·청소년) 중심 역할 수행지역을 도출하여 서울시 상위기본계획상 공간 위계체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대중교통의 노선계획 및 변경 등은 운영기업의 수입과 관련성이 크기 때문에 이용객과 지역적 특성이 고려된 정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7년 3개월(1, 4, 7월)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도권 철도 운영기관에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수도권 역 간 이동 인원 분석용 데이터마트를 구축하였다. 수도권이나 지방의 중소도시에서 이동하는 도시철도를 출·도착지별로만 살펴본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수도권을 서울시계 내/외로 구분하였고, 12개 축선을 따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석용 다차원모델의 선행과정은? 분석용 다차원모델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먼저 데이터를 취합하고, 데이터에 나타난 결측값을 전처리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주요 변수가 생성되었고, 다차원모델이 설계될 수 있었다.
대중교통이란? 이 때문에 도시가 건설된 지 3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경제적 독립성을 갖추어 도시 바깥으로 출입하지 않아도 생활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할 계획도시의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대중교통은 누구나 제약 없이 이용 가능한 이동수단이다. 도심 외곽으로 분류되는 1기 신도시뿐만 아니라, 수도권 전역에서 도심지로 이동하는 양이 상당히 높다.
수도권 5개 신도시 건설사업의 1기 신도시는? 정부는 서울의 도심 기능 분산과 주택공급을 확대하고자 1989년1)에 처음으로 '수도권 5개 신도시 건설사업'을 추진하였다. 1기 신도시에는 분당, 일산, 평촌, 산본, 중동이 포함되는데, 도시의 기능 및 환경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태에서 진행되었다. 이 때문에 도시가 건설된 지 3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경제적 독립성을 갖추어 도시 바깥으로 출입하지 않아도 생활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할 계획도시의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Y. K. Bae. (2015).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gional equality of public transit services based on indicators from a public transit-user perspective, KRIHS POLICY BRIEF, 545, 1-8. 

  2. H. J. Jung, Y. K. Shin, J. H. Park & H. Y. Yoon. (2018). Case Study on Regeneration of Toyama City by T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21(10), 1043-1056. DOI : 10.7782/JKSR.2018.21.10.1043 

  3. S. J. Lim, J. T. Park & T. H. Kim. (2013).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Transport Us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Transit Station Influence Areas in Seoul Urban Railway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6(2), 129-137. 

  4. C. H. Choi. (2013).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Connectivity between Railway Station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Based on a Survey Focused on the Joongang 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6(1), 52-58. 

  5. J. M. Jang, S. K. Lee & J. K. Eom. (2019). A Study on the Analysis of Public Transportation Satisfaction in Cites with Urban railw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7(2), 325-334. DOI : 10.24284/JKOSUR.2019.6.7.2.325 

  6. J. S. Lee & K. T. Kim. (2011). PRT Application Study Using Corridor Analysis; Focused on Nan-Gok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4(2), 188-193. 

  7. J. H. Cho & I. J. Seo. (2005). Implementation of the OLAP-based Subway Passenger Transit Pattern Analysis System. Information Systems Review, 7(1), 65-80. 

  8. M. Y. Lee & J. H. Kim. (2016). Analysis of Transit Passenger Movements within Seoul-Gyeonggi-Incheon Area using Transportation Card.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5(5), 12-19. DOI : 10.12815/kits.2016.15.5.012 

  9. H. J. Lee, J. H. Ha & S. Lee. (2017). An Analysis on the Equity of Public Transit Service using Smart Card Data in Seoul, Korea. Journal of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33(3), 101-113. 

  10. S. U. Han. (2015). Residential dstribution of public transport commuter by major subway influence area : focus of Seoul metropolitan region.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1. D. E. Lee & J. T. Oh. (2017) Factor Analysis for Transit Transfer using Public Traffic Card Data.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6(1), 50-63. DOI : 10.12815/kits.2017.16.1.50 

  12. M. W. Lee, J. H. Han & H. S. Lee. (2018). Analysis of the Transit Ridership Pattern using Transportation Card Data : focusing on Ganghwa.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7(2), 58-72. DOI : 10.12815/kits.2018.17.2.58 

  13. M. Y. Lee, J. E. Sohn & C. S. Cho. (2016). Constructing Transfer Data in Seoul Metropolitan Urban Railway Using Transportation Card.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5(4), 33-43. DOI : 10.12815/kits.2016.15.4.033 

  14. A. R. Han. (2016). Estimating Transit Origin-Destination Trip Table Using Smart Card Dat.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Seoul. 

  15. I. H. Shin & J. H. Lee. (2012). Analysis on the Central region and Characteristics by Analysis of Subway Passenger's Travel Pattern in Seoul. Journal of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11(2), 43-55. 

  16. K. H. Kim, K. H. Oh, Y. K. Lee & J. Y. Jung. (2013). Discovery of Travel Patterns in Seoul Metropolitan Subway Using Big Data of Smart Card Transaction Systems.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18(3), 211-222. DOI : 10.7838/jsebs.2013.18.3.211 

  17. Metropolitan Government. (2019). Seoul Open Data Plaza, [Online]. https://data.seoul.go.kr 

  18. W. K. Kim. (2009.09.24). Segye Ilbo. Nationwide. Seoul [Online]. http://www.segye.com/newsView/20090923004023 

  19. C. Fraley & A. E. Raftery. (2002). Model-based clustering, discriminant analysis, and density estim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7(458), 611-631. 

  20. L. Scrucca, M. Fop, T. B. Murphy & A. E. Raftery. (2016). mclust 5: clustering, classification and density estimation using Gaussian finite mixture models. The R Journal, 8(1), 2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