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운동강도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체력, BDNF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ercise Intensities in Physicla Activity, on Fitness, BDNF and Blood Lipid in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2, 2019년, pp.369 - 376  

이미현 (성결대학교 체육교육과) ,  장홍영 (전주대학교 의과학융합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적장애 중학생을 대상으로 8주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운동강도가 체력, BDNF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저강도(n=8, 40~54%HRR), 중강도(n=8, 55~69%HRR), 고강도(n=9, 70~85%HRR) 운동집단으로 무선 할당 하였다. 개인별 운동강도 설정과 유지는 무선심박수 측정기(RS-400, POLAR, Finland)를 이용하였다. 체력, BDNF 및 혈중지질은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 전과 참여 8주 후에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체력은 근력과 순발력에서 고강도 운동집단이 저강도 운동집단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BDNF도 고강도 운동집단이 저강도 운동집단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혈중지질은 총 콜레스테롤만 운동강도 집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며 중강도 이상의 운동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적장애 중학생들에게 동일한 운동량이 주어졌을 때 운동강도별에 따라 체력과 BDNF는 고강도 운동집단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콜레스테롤은 중강도 이상의 운동에서부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 effects of exercise intensities in physical activity of 8 weeks, on fitness, blood lipid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ere allocated by low-intensity(n=8, 40~54%HRR), middle-intensity(n=8, 55~69%HRR), and...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중학생을 대상으로 8주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운동강도가 체력, BDNF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지적장애 중학생을 대상으로 8주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운동강도에 따라 다르게 실시하여 운동강도가 체력, BDNF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그동안의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학문적, 실제적 관점에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Phiips & Holland [23]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적장애인은 현재의 신체활동권장량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적장애가 있는 개인의 신체활동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방적인 전략과 개입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중학생의 체력, 뇌신경 영양인자 및 건강개선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설계 시 운동강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 확인하였다. 장애를 가진 사람뿐만 아니라 장애를 가진 사람을 보호하고 지도하는 사람들이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인지 할 수 있도록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효과성을 제시하는 연구는 지속적으로 필요하다[24,2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규칙적인 중고강도 신체활동의 효과? 2018 미국인을 위한 신체활동 가이드라인 업데이트에서는 규칙적인 중고강도 신체활동이 장기적으로 뇌건강 개선에 도움을 주며 질병 위험 감소나 체력향상에도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6]. 또한 신체활동은 인간의 인식력과 기억력 증가에 도움을 주며[7], 기억과 학습을 통한 신경가소성에 관여하는 BDNF(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
BDNF의 역할? 또한 신체활동은 인간의 인식력과 기억력 증가에 도움을 주며[7], 기억과 학습을 통한 신경가소성에 관여하는 BDNF(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 BDNF는 뇌신경 시냅스 가소성에 핵심적인 매개체이다. 이것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인지기능의 저하, 기억력 감퇴, 우울증 및 제 2형 당뇨병 발생 등 여러 만성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시사되어왔다[9].
BDNF 감소하는 경우 발생하는 질환? BDNF는 뇌신경 시냅스 가소성에 핵심적인 매개체이다. 이것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인지기능의 저하, 기억력 감퇴, 우울증 및 제 2형 당뇨병 발생 등 여러 만성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시사되어왔다[9]. 일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운동이 혈중 BDNF를 증가시켜서 청소년들의 우울증을 낮추고 인지기능을 유의하게 향상시켜 학습 성과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 Beange, A. McElduff, & W. Baker. (1995). Medical disorders of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a population study.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99(6), 595-604. 

  2. S. Hollins, M. T. Attard, N. von Fraunhofer, S. McGuigan, & P. Sedgwick. (1998). Mortality in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y: risks, causes, and death certification findings in London.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40(1), 50-56. 

  3. S. A. Cooper, C. Melville, & J. Morrison. (2004).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MJ, 329(7463), 414-415. DOI: 10.1136/bmj.329.7463.414 

  4. J. Michael. (2008). Healthcare for all: report of the independent inquiry into access to healthcare for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London : Independent Inquiry into Access to Healthcare for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5. B. Fernhall, & K. H. Pitetti. (2001). Limitations to physical work capacity in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Clinical Exercise Physiologist, 3, 176-185. 

  6. 2018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 (2018). 2018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 scientific report.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7. R. D. Hill, M. Storandt, & M. Malley. (1993). The impact of long-term exercise training on psychological function in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 48(1), 12-17. DOI: 10.1093/geronj/48.1.p12 

  8. C. W. Cotman, & N. C. Berchtold. (2002). Exercise: a behavioral intervention to enhance brain health and plasticity. Trends in Neurosciences, 25(6), 295-301. DOI: 10.1016/s0166-2236(02)02143-4 

  9. J. K. Lee, B. Y. Kang, D. S. Kim, & D. Jung. (2013). Voluntary exercise increases IGF-1, brain-denved neurotropmc factor concentration, and fitness level in child.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2(1), 889-900. 

  10. J. Kim. (2013). The Study on Expression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BDNF) and Cortisol in Adolescents by Aerobics Exercise.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2(2), 1199-1207. 

  11.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10).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8th ed.). PA : Baltimore. 

  12. M. Lee. (2018). Wearable device and physical activity. Sports Science. 143, 76-82. 

  13. J. Cohen.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 ed.). NY : Routledge. 

  14. D. P. Leong, K. K. Teo, S. Rangarajan, P. Lopez-Jaramillo, A. Avezum, A. Orlandini, ... & O. Rahman. (2015). Prognostic value of grip strength: findings from the Prospective Urban Rural Epidemiology(PURE) study. The Lancet, 386(9990), 266-273. DOI: 10.1016/S0140-6736(14)62000-6 

  15. M. Yanardag, H. Arikan, I. Yilmaz, & F. Konukman. (2013). Physical fitness levels of young adults with and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fundamental and applied kinesiology, 45(2), 233-240. 

  16. Golubovic, S., Maksimovic, J., Golubovic, B., & Glumbic, N. (2012). Effects of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3(2), 608-614. 

  17. J. C. Byun. (2016). The Converge Effects of Long-term Weight-bearing Exercise on Lumbar, Femur Neck BMD and Body Compositions in Perso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Normal 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2), 101-107. DOI : 10.15207/JKCS.2016.7.2.101 

  18. Y. K. Jeon, J. H. Kim, & J. I. Choi. (2013). The Change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BDNF), Insulin-like Growth Factor-1(IGF-1) and Working-Memory in Adolescents by Aerobic Exercise Intensity for 12 week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2(5), 753-763. 

  19. J. K. Lee, B. Y. Kang, D. S. Kim, & D. Jung. (2013). Voluntary exercise increases IGF-1, brain-denved neurotropmc factor concentration, and fitness level in child.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2(1), 889-900. 

  20. J, I. Choi, J. H. Kim, Y. K. Jeon, & W. J. Cho. (2012). A Study on Expression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Working Memory in Middle-School Students by Morning Aerobic Exercise.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1(4), 885-894. 

  21. F. Gomez-Pinilla, Z. Ying, R. R. Roy, R. Molteni, & V. R. Edgerton. (2002). Voluntary exercise induces a BDNF-mediated mechanism that promotes neuroplasticity. Journal of neurophysiology, 88(5), 2187-2195. DOI: 10.1152/jn.00152.2002 

  22. J. I. Lee. (2004). Effects of Walking Exercise Intensities on Fatigue, Serum Lipid and Immune Function among Middle-Aged Women. Doctor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3. A. C. Phillips, & A. J. Holland. (2011). Assessment of objectively measured physical activity levels in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and without Down's syndrome. PloS one, 6(12), e28618. DOI: 10.1371/journal.pone.0028618 

  24. D. W. Kim. (2016). Fusion research i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leisure sports physically disabled persons on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OBC).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5), 247-254. DOI : 10.15207/JKCS.2016.7.5.247 

  25. D. W. Kim. (2016). Fusion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PPC) in accordance with physical disabilities participate in swimming classes for 10 week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3), 159-165. DOI : 10.15207/JKCS.2016.7.3.15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