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양필수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 분석: J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atisfaction on the Essential Curriculum: Focusing on J University Cas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2, 2019년, pp.421 - 427  

이정열 (중부대학교 교직과) ,  김삼섭 (중부대학교 대학원)

초록

이 연구에서는 J대학의 교양필수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J대학 2~4학년 502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기초로 성·학년·계열·캠퍼스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알아보았다. 첫째,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창의적 사고, 대학생활지도 및 취창업진로, 대학생활지도 및 진로설계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필수 교과목에 대한 학년별 만족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계열별 만족도는 자연공학, 보건복지, 예체능, 인문사회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캠퍼스별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대학 교양교육과정, 특히 교양필수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satisfaction level of J university's compulsory liberal arts subject with quantitative research. The results quantitativ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en are more interested in creative thinking, college life guidance and career path design than girls. Second, the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J대학의 교양필수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를 성ㆍ학년ㆍ계열ㆍ캠퍼스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변인별 차이는 교양필수과목을 개설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연구에서는 J대학의 교양필수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를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병행하여 알아보았다. 양적 연구에서는 J대학 2~4학년 502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기초로 성ㆍ학년ㆍ계열ㆍ캠퍼스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알아보았고, 질적연구에서는 계열을 고려하여 선정한 6명의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교양필수 교과목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 등을 탐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양교육은 무엇인가? 교양교육은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교양인으로서의 소양을 갖추도록 하는 교육, 즉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을 뜻한다. 흔히 직업 기술이나 전문적 기능을 가르치는 교육과 대비된다는 점에서 고대 그리스 사회에 근원을 둔 전통적인 자유학문적 인문교육(liberal education)과 비슷한 의미를 가진다.
연구에 따르면 교양필수 교과목에 대한 계열별 만족도는 어떤 순서로 나타나는가? 셋째, 교양필수 교과목에 대한 계열별 만족도는 자연공학, 보건복지, 예체능, 인문사회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해 교육부는 어떤 일을 하고 있는가? 이와 같은 시대상황의 변화에 따라 그리고 대학에서 양성하는 인재상에 대한 기대와 요구가 달라짐에 따라 오늘날 각 대학들은 교양교육과정 개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바람직한가의 문제는 별도로 교육부는 대학역량진단평가 등에 교양교육 지표를 포함시켜 그 결과에 따라 차등적 재정지원을 통해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부의 교양교육 강화 정책과 관계없이 대학교육의 질이 교양교육의 질에 달려있다는 판단에 따라 각 대학은 나름대로의 인재상과 실천적 과제로서 핵심역량을 설정하는 등 교양교육과정 개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J. S. Kim. (2017). The prospect of future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Forum, (pp. 25-36).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 

  2. B. K. Lee, U. K. Kim & J. S. Lee (2010).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n general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8(1), 1-23. 

  3. Y. K. Kim & J. H. Ham. (2017). An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Implementation of Liberal Education at University: Focusing on H Universi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0), 616-623. 

  4. Y. H. Choi. (2017). The relationship among colleges students' learning style, lectur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1(4), 307-332. 

  5. J. H. Park & K. U. Ryu (2014). The Analyses of the Concepts, Contents, Satisfaction and Future Needs for College General Education.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8(2), 43-82. 

  6. S. S. Paek. (2017). Search for d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1(2), 13-51. 

  7. M. S. Choi. (2017).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liberal education at the junior colleg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1(6), 663-702. 

  8. E. G. Yoon & Y. J. Lee. (2018).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across 9 universities of the world to improve the system.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2(2), 259-286. 

  9. H. K. Kim, Yun, H. Jeong & S. H. Jin (2019). A study on design and development of adult learner-friendly curriculum for general education.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3(3), 147-177. 

  10. P. G. Baek. (2012). Perception on the satisfaction, educational experiences, learning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Mainly with 'A'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1), 431-466. 

  11. M. G. Ha. (2010). A Study of Learner Satisfaction on College English Programs. Journal of the Korea English Education Society, 9(2), 269-299. DOI: 10.18649/jkees.2010.9.2.269 

  12. J. M. Nam (2017).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general English: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students' and instructors' perceptions. Journal of Language Sciences, 24(1), 47-65. 

  13. C. W. Park, J. Y. Lee & J. Y. Lee. (2018). Students' Perception of Art,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urses Taught in English in a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y of South Korea: Examining a Survey of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2(1), 141-165. 

  14. M. J. Shin. (2019). A Study on the motivation of English learning and college English class' satisfaction of North Korea refugee student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15. H. M. Heo & S. J. Kim. (2003). A study on female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and recognization at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17(2), 163-176. 

  16. J. M. Kim.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un factor and physical education learning attitude, classes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5(1), 319-330. 

  17. M. S. Park. (2015). A study on the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in university music education on learning flow,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The Korean Society of Music Education Technology, 23, 1-16. 

  18. M. Y. Song & S. H. Kim. (2016). A study of the level of class satisfaction on the application of convergence design curriculum to classes in university: Focused on "Design & Creative Thinking" at Dongseo University in Busan.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54, 183-19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