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거가 필요한 치아와 관련된 요인분석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teeth needing extrac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2, 2019년, pp.429 - 436  

강은정 (대원대학교 치위생과) ,  유상희 (원광보건대학교 치기공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3-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고, 65세 이상 한국노인에서 발거가 필요한 치아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4.037명). 그 결과, 치아발거필요의 위험도가 남성에서 1.84배, 연령에서는 75세 이상 1.52배, 소득 하에서 2.36배, 소득 중은 2.04배, 흡연자에서 1.44배 높았고,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생각할수록 1.44배, 1년간 구강검진을 안함 1.49배, 1년간 치과진료 치료 안함이 2.30배로 높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의 건강행태와 구강건강행태를 통해 발거필요치아와 관련된 위험요인의 근거를 강화할 수 있다고 생각되며, 향후 노인의 정기적인 구강검진과 구강보건교육 및 치과치료비의 경감을 통해 치과치료의 문턱을 낮출 수 있도록 국가적인 차원에서 다각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used raw data from the 2013-201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and conducted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eeth extraction from Korean elderly aged 65 and older (4.037). As a result, the risk of tooth extraction was 1.84 times higher i...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들에서 발거가 필요한 치아와 관련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한국노인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이들의 치아발거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치아수명을 연장시킬 목적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구강보건을 하기 힘든 요인은 무엇인가? 이처럼 노인들은 치아상실로 인해 구강건강의 악화를 방지하고 치아기능을 회복하고 개선하기 위해서 틀니와 임플란트와 같은 보철치료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현재 만 65세 이상에서 틀니와 임플란트가 의료보험이 시행되고 있으나, 치과치료의 경우에는 보철이나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진료는 아직까지 비급여인 관계로 사회경제적 경쟁력이 약한 노인의 구강보건은 사회적 형평성 문제가 심각하다고 하였다[7].
노인의 치아상실의 주된 원인은?  뿐만 아니라 치아를 상실하게 되면 식사 양이 줄게 되고 음식의 질이 제한되어 건강을 유지하고 체력을 증진시키기 힘들며, 발음의 부정확성으로 의사소통의 부재가 발생되고, 심미적으로도 영향을 미쳐 사회적 소외감과 고립감을 가져올 수 있다[4]. 노인의 치아상실의 주된 원인은 치 근에 발생하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 있다.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노인의 영구치우식 유병률은 65세 이상이 28.
노인의 치아 상실이 노인에게 끼치는 영향은? 노인은 수명이 증가하면서 구강질환이 진행되어 치아 상실을 하게 된다. 저작 기능과 소화기능의 저하로 인해 전신적인 건강과 발음, 외모에 큰 영향을 주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대인관계와 사회생활까지 제한을 받게 된다[3]. 뿐만 아니라 치아를 상실하게 되면 식사 양이 줄게 되고 음식의 질이 제한되어 건강을 유지하고 체력을 증진시키기 힘들며, 발음의 부정확성으로 의사소통의 부재가 발생되고, 심미적으로도 영향을 미쳐 사회적 소외감과 고립감을 가져올 수 있다[4]. 노인의 치아상실의 주된 원인은 치 근에 발생하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J. H. Kim. (2013). The Effects of Anxiety about Aging on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eoul. 

  2.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2000). Strategy Development for Oral Health Promotion.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3. Y. S. Yoon & Y. H. Jung. (2005). A study on dental health and physical &psychological health status of the ag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5(1), 39-51. 

  4. E. M. Noh & J. U. Back. (2010).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nd social impact efficacy.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0(4), 233-239. 

  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ports(KNHANES IV -3). Cheongwon: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56-57, 483-488. 

  6. Korea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10). National Oral Health Survey,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7. Korea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3). National Oral Health Survey,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8. H. S. Park & K. J. Lee. (2007). A Study on the Health Behaviors, Physical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for Elderly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13(2), 115-122. 

  9. L. G. Branch & A. M. Jette. (1984). Personal health practices and mortality among the elderly. Am J Public Health, 74(10), 1126-1129. 

  10. M. J. Jun. (2016). The Convergence relation of tobacco smoking to tooth loss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5), 127-134. 

  11. T. H. Kim & H. J. Jin. (2014) Current chewing difficulty according to dental prosthesis needs in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15(7), 4353-4360. 

  12. O. J. Ju & I. J. Kim. (2015). Correlation of Korean elderly dental health capacity and preferred food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5(6), 712-720. 

  13. J. S. Hand, R. J. Hunt & J. D. Beck. (1988). Coronal and root caries in older iowans: 36-month incidence. Gerodontics, 4(3), 136-139. 

  14. W. J. Pelton, E. H. Pennell & A. Druzina,(1997). Tooth morbidiry experience of adults, J of ADA, 49(3), 439-445. 

  15. R. P. Strauss & R. J. Hunt. (1993). Understanding the value of teeth to older adults: influences on the quality of life, J Am Dent Assoc, 124(1), 105-110. 

  16. B. H. Lee. (2019). A Convergenc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ntal Health Determinants on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actice Behavi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2), 49-56. 

  17. W. Sabbah, G. Tsakos, T. Chandola, A. Sheiham & R. G. Watt. (2007). Social gradients in oral and general health. Journal of Dental Research, 86(10), 992-996. 

  18. Y. H. Kim. (2013). Factors that influence the oral health status between Korean adults living in Korea and the U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3(4), 597-604. 

  19. S. B. Kye & S. B. Han. (2001). Effects of Cigarette Smoking on Periodontal Sta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 31(4), 803-810. 

  20. S. J. Carson & J. Burns. (2016). Impact of smoking on tooth loss in adults. Evidence-Based Dentistry, 17(3), 73-74. DOI : 10.1038/sj.ebd.6401182 

  21. P. S. Anand. (2012). Relationship of smoking and smokeless tobacco use to tooth loss in a central Indian population. Oral Health and Preventive Dentistry, 10(3), 243-252.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Smoking cessation services provided.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3. Y. J. Choi. (2016). Converged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liefs, oral disease preventive intention and oral disease preventive activities in partial Middle aged adults. J Korea Convergence Society, 7(4), 209-215. 

  24. C. S. Park & S. Y. Park. (2015).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condition and oral health behavior on happiness in the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5(3), 443-450. 

  25. S. M. Bae & H. J. Kim. (2015). Oral health status of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brushing oral health problems in some adul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15(4), 185-195. DOI : 10.14257/AJMAHS.2015.08.08 

  26. M. J. Jun. (2016). The Convergence relation of tobacco smoking to tooth loss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5), 127-134. DOI : 10.15207/JKCS.2016.7.5.127 

  27. H. S. Yoon. (2015). Relationship of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care to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of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5(5), 594-602. 

  28. M. J. Cho, E. J. Park & H. E. Shin. (2016). Convergent effects of oral health behaviors on number of remaining teeth of the elderly welfare recipi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2), 537-544. DOI : 10.14400/JDC.2016.14.12.537 

  29. J. Y. Jang & Y. S. Nam. (2012).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the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 12(6), 1173-1182. 

  3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2010). The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2010,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1. J. H. Oh & Y. H. Lee. (2018). Factor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Dental Treatments Performed by Unqualified Dental Practitioners in Diabetes Mellitus: Results from The 2013 Community Health Survey.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2(2), 15-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