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학생 요구 분석: J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udents' Needs for the Improvement of Liberal Arts Curriculum : Focused on the Case of J Univers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2, 2019년, pp.545 - 554  

이정열 (중부대학교 교직과) ,  김삼섭 (중부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J대학의 2개 캠퍼스 11개 학부의 재학생 422명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의 핵심목표, 교양교육과정에서 달성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핵심역량, 개설을 희망하는 교양교과목의 주제 분야, 개설 희망 교과목, 교양교육 개편 시 시급한 과제 등을 성, 학년, 계열 및 캠퍼스별로 알아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교육의 핵심 목표로 남학생은 인성과 리더십을 갖춘 인재를, 여학생은 핵심역량의 달성을 지목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둘째, 교양교육과정에서 달성해야 할 핵심역량은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인성, 자기진로개발 및 취창업 역량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체능 분야의 교과목 개설을 희망하는 비율이 높았다. 넷째, 개설을 희망하는 교양과목은 여성학 혹은 페미니즘, 스포츠 관련 과목, 철학, 심리학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J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udents' needs for improving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t J University. In order to achieve such as this, 422 students from 11 departments of J University's two campuses looked at the core goals of 1 liberal arts education, 2 core competences that they thin...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양교육과정을 개편하는 데 고려해야 할 학생의 요구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교양교육과정에 관한 국내연구는 그 범위도 넓을 뿐아니라 다양한 하위주제를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이 연구는 J대학의 교양교육과정 개선에 앞서 학생들의 요구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학생들의 요구를 통계학적으로 세세하게 분석하는 미시적 접근이 아니라 대강의 방향을 가늠하는 데 기초자료를 획득하기 위한 거시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 이 연구는 J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① 교양교육의 핵심목표, ② 교양교육과정에서 달성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핵심역량, ③ 개설을 희망하는 교양교과목의 주제 분야, ④ 개설 희망 교과목, ⑤ 교양교육 개편시 시급한 과제 등을 알아봄으로써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현재 진행 중인 J대학의 교양교육과정 개정도 ‘학생성장대학’이라는 대학 중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생의 요구를 최우선적으로 반영하는 소위 ‘학생중심 교양교육과정’을 모색하고 있다. 이 연구는 그와 같은 학생중심 교양교육과정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 산업분야의 일자리가 사라지는 등 일자리변화가 요구하는 역량과 기술은 무엇인가? 글로벌화 된 업무 환경은 세계공용어뿐 아니라 다문화에 대한 이해 능력을 요구한다. 전통 산업분야의 일자리가 사라지는 등 일자리변화는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과 대인관계 기술 혹은 의사소통기술을 요구한다. 그리고 글로벌 경쟁과 협력이 요구되는 직업 환경은 마음가짐이나 태도 등 인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초지능 사회에서 뒷받침 되어야 하는 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초지능 사회란 알파고처럼 기계가 인간처럼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지능적인 서비스가 확대되는 사회이다. 이로 인해 인간과 기계와의 공존 및 융합, 그 속에서 인간으로서의 정체성 및 인간성의 회복이 요구될 것이며, 기계를 다룰 줄 알고, 기계가 인간에게 해줄 수 있는 서비스를 인간이 기획하고 설계하면서 주도해 나갈 수 있도록 교육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2].
교양교육은 무엇인가? 교양교육은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교양인으로서의 소양을 갖추도록 하는 교육, 즉 일반교육을 뜻한다. 흔히 직업 기술이나 전문적 기능을 가르치는 교육과 대비된다는 점에서 고대 그리스 사회에 근원을 둔 전통적인 자유학문적 인문교육(liberal education)과 비슷한 의미를 가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World Economic Forum (2016). Deep shift: Technology tipping points and societal impact. Geneva: World Economic Forum, Sep, 1-44. 

  2. J. S. Kim. (2017). The prospect of future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Forum, pp. 25-36.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 

  3. B. K. Lee, U. K. Kim & J. S. Lee. (2010).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n general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8(1), 1-23. 

  4. Y. K. Kim & J. H. Ham. (2017). An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Implementation of Liberal Education at University: Focusing on H Universi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0), 616-623. DOI:10.5392/JKCA.2017.17.10.616 

  5. Y. H. Choi. (2017). The relationship among colleges students' learning style, lectur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1(4), 307-332. 

  6. H. J. Youn & D. M. Bang. (2015). Analysis of undergraduate students' educational needs for key competencies in curriculum of major subject and liberal ar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7), 567-584. 

  7. S. J. Lee & S. J. Lee. (2012). A new direction of undergraduate general education: Through a case study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2), 11-42. 

  8. J. H. Park & K. U. Ryu. (2014). The Analyses of the Concepts, Contents, Satisfaction and Future Needs for College General Education.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8(2), 43-82. 

  9. Y. K. Yang & W. H. Chung. (2014). Research in the direction of the reform of the liberal arts based on the NCS professional basic ability.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8(4), 45-68. 

  10. K. J. Cho. (2015). The problems of South Korea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s by externally imposed reform and measures for its improve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2), 323-343. 

  11. S. S. Paek. (2017). Search for d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1(2), 13-51. 

  12. M. S. Choi. (2017).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liberal education at the junior colleg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1(6), 663-702. 

  13. E. G. Yoon & Y. J. Lee. (2018).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across 9 universities of the world to improve the system.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2(2), 259-286. 

  14. H. K. Kim, H. J. Yun & S. H. Jin. (2019). A study on design and development of adult learner-friendly curriculum for general education.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3(3), 147-177. 

  15. H. J. Jung, E. H. Chon & S. M. An.. (2019). Development of Liberal Arts Curriculum for the Meeting Needs of Undergraduate Student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7(2), 171-189. 

  16. P. G. Baek. (2012). Perception on the satisfaction, educational experiences, learning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Mainly with 'A'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1), 431-466. 

  17. B. K. Lee, U. K. Kim & J. S. Lee. (2010).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n general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8 (1), 1-23. 

  18. J. M. Nam. (2017).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general English: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students' and instructors' perceptions. Journal of Language Sciences, 24(1), 47-65. 

  19. C. W. Park, J. Y. Lee & J. Y. Lee. (2018). Students' Perception of Art,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urses Taught in English in a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y of South Korea: Examining a Survey of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2(1), 141-165. 

  20. M. J. Shin. (2019). A Study on the motivation of English learning and college English class' satisfaction of North Korea refugee student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21. M. S. Park. (2015). A study on the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in university music education on learning flow,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The Korean Society of Music Education Technology, 23, 1-16. 

  22. M. Y. Song & S. H. Kim. (2016). A study of the level of class satisfaction on the application of convergence design curriculum to classes in university: Focused on "Design & Creative Thinking" at Dongseo University in Busan.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54, 183-19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