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Distance toward Older Adults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0 no.4, 2019년, pp.539 - 549  

하지연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  박주영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social distance toward older adult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comprised 137 students in a nursing colleg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in March 2019. The measurement instr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수준과 이와 관련된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간호교육 방향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영향요인을 검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특히 노인에 대한 편견 및 사회적 거리감은 의료 현장에도 존재하여 이는 의료인들의 차별적 행동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17]. 본 연구는 고령시대에 노인간호의 주요 인력으로 성장할 간호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수준과 이와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이 노인에 대해 어떠한 편견이나 차별 없이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간호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노인간호의 주요 인력으로 성장할 간호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노인에 대한 긍정적 수용을 증진하고, 사회적 거리감을 좁히기 위한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그 결과 간호 대학생은 노인에 대한 지식이 많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노인 낙인이 적을수록 노인과의 사회적 거리감을 가깝게 느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수준과 이와 관련된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간호교육 방향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화 현상으로 대두되는 문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5%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1]. 이러한 인구의 고령화 현상과 함께 우리 사회에서는 의료비 지출 및 부양부담 상승, 노인빈곤, 노인 학대, 독거노인 및 고독사 증가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2,3]. 특히 노인들은 건강상의 악화뿐만 아니라 사회적 역할이나 지위 상실, 사회적 네트워크의 축소 등 사회와의 단절을 경험하며 소외감, 우울, 자존감 저하 등 다양한 정서 ․ 심리적 문제를 호소한다[4].
사회적 거리감은 무엇인가?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 및 편견, 세대 격차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유발할 수 있다. 사회적 거리감은 심리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개념으로 다양한 영역의 사회적 상호작용이나 관계를 개인적으로 허용하는 정도로, 우리와 그들을 구분하는 경계이자 개인적인 느낌이다[7]. Westie [8]는 인종차별에 대한 요인 분석을 통해 사회적 거리감을 대인적 거리감과 신체적 거리감의 개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기도 하였다.
정보화 사회에서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인가? 2% 가 노인은 시대에 뒤떨어진 쓸모없고 의존적인 보살핌의 대상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3]. 핵가족화로 인하여 청년층과 노인들 사이에 긍정적인 접촉경험은 줄어들었고, 스마트 기기와 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한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는 세대 간 관계 형성의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5,6]. 또한 젊은 세대들은 뉴스, 광고 등 각종 매체를 통해 고령 사회 진입에 따른 사회적 문제에 대해 인식하게 되었으며[3], 저출산, 청년실업난 등과 함께 늘어나는 부양부담은 청년층과 노인층 간 갈등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9 Dependency ratio and aging index.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9 [cited 2019 July 2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PA002&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E1 

  2. Kwon SM, Kwon MS, Kwag OG.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2):1129-1136. https://doi.org/10.5762/KAIS.2015.16.2.1129 

  3. Kim SO, Oh HS, Wang MS. A study on the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towards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6;22(2):163-170.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2.163 

  4. Cho SH, Kim KM. The effects of the elderly's ageism and exclusion experience on suicidal ideation.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016;71(3):359-387. 

  5. Hargittai E. Digital natives? Variation in internet skills and uses among members of the "net generation". Sociological Inquiry. 2010;80(1):92-113. https://doi.org/10.1111/j.1475-682X.2009.00317.x 

  6. Kang W, Kim MS, Ko JU. Effects of the smartphone information use and performance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3;33(1):199-214. 

  7. Lauder H, Brown P, Halsey AH. Social and political arithmetic: Some principles of a new policy science.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2004;55(1):3-22. https://doi.org/10.1111/j.1468-4446.2004.00002.x 

  8. Westie FR. Negro-white status differentials and social distanc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952;17(5):550-558. https://doi.org/10.2307/2088221 

  9. Luszcz MA, Fitzgerald KM. Understanding cohort differences in cross-generational, self, and peer perceptions. Journal of Gerontology. 1986;41(2):234-240. https://doi.org/10.1093/geronj/41.2.234 

  10. Liviatan I, Trope Y, Liberman N. Interpersonal similarity as a social distance dimension: Implications for perception of others' ac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008;44(5):1256-1269. https://doi.org/10.1016/j.jesp.2008.04.007 

  11. Ko SH. A study on the social sense of distance of the mother of the non-disabled child towards people with disabilities [master's thesis]. [Seoul]: Kwangwoon University; 2014. 73 p. 

  12. Lee SY, Lee K. Social distance attitudes of nursing students towards adults with mental disor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6;25(4):356-366. https://doi.org/10.12934/jkpmhn.2016.25.4.356 

  13. Lee MJ, Choi YJ, Choi SB. Multi-cultural society and social distance for foreigners in Korean society. Survey Research. 2010;11(1):63-85. 

  14. Kang HY, Han SY. A study on social distance of nursing students toward minority groups in a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3;27(1):166-178. https://doi.org/10.5932/JKPHN.2013.27.1.166 

  15. Park M, Moon H, Oh D. Effects of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dementia on social distance from senile dementia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7;31(3):554-566. https://doi.org/10.5932/JKPHN.2017.31.3.554 

  16. Rhee YS.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knowledge, attitude and social distance for people living with HIV/AID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 (10):338-344. https://doi.org/10.5762/KAIS.2016.17.10.338 

  17. Wyman MF, Shiovitz-Ezra S, Bengel J. Ageism in the health care system: Providers, patients, and systems. In: Ayalon L, Tesch-Romer C, editors.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Ageism,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Aging 19. Cham, CH: Springer; 2018. p. 193-212. 

  18. An S, Kang H, Chung 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erceived elderly stigma scal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igma and demographic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8;38(1):203-223. 

  19. Lim YS, Kim JS, Kim KS.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02;22(1):31-46. 

  20. Kwon MS, Noh GY, Jang JH. University students' images, knowledge, and stereotypes plus perceptions about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3;27(3):633-646. https://doi.org/10.5932/JKPHN.2013.27.3.633 

  21. Kudo M.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tigma, familiarity and knowledge and social distance toward people with depression [master's thesis].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2. 49 p. 

  22. Song KW, Kim BJ, Hong YO, Lee HK. A study on social distance toward members of stigmatized social group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Social Issues. 1997;3(1):123-141. 

  23. Na GC, Chung GS. Subjective social distance among different occupational strata. Korean Journal of Sociology. 1988;22:109-133. 

  24. Palmore E. Ageism: Negative and positive. 2nd ed.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99. 280 p. 

  25. Sanders GF, Montgomery JE, Pittman Jr JF, Balkwell C. Youth'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1984;3(1):59-70. https://doi.org/10.1177/073346488400300107 

  26. Kim JH. Comparison of image toward elders and demented elders in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0;2(2):133-143. 

  27. Kim W. A study on the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11;31(3):505-526. 

  28. Li H. A comparative study on the university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Based on Korea and China [master's thesis]. Kongju: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9. 74 p. 

  29. Kim GH, Yoon HS. The effects of the communi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esteem, and depress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8;18(8):547-562.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8.547 

  30. Swift HJ, Abrams D, Lamont RA, Drury L. The risks of ageism model: How ageism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age can be a barrier to active aging. Social Issues and Policy Review. 2017;11(1):195-231. https://doi.org/10.1111/sipr.120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