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23 no.3, 2019년, pp.83 - 107
최성운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 황지혜 (경희대학교 대학원 기초한의학과) , 박은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기초한의학과) , 김남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Objective : We compare the nurturing theories of Between the Nurturing Theory of Dogyogwonseonseo(道敎勸善書) JeungjungGyeongsinrok(增訂敬信錄), Gyeongsinrokeonseok(敬信錄諺釋), Taisanggauempyeondosul(太上感應篇圖說) and Guahwajonsin(過化存神) vs Dongui-Susebowon-Sasang-Chobongwon(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and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of...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증정경신록(增訂敬信錄)』은 무엇인가? | 『증정경신록(增訂敬信錄)』은 도교권선서 중 대표적인 문헌들을 빠뜨리지 않고 풍부하게 수록한 종합권선서이다. 『경신록언셕(敬信錄諺釋)』은 『증정경신록(增訂敬信錄)』에서 핵심적인 내용을 추려내어 언해하고, 각각의 신분과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각자의 일상생활 속에 서 양생을 실천할 수 있다는 예화를 추가한 책이다. | |
고종이 이제마의 양생론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가? | 1. 이제마는 고종으로부터 『증정경신록(增訂敬信錄)』과 『과화존신(過化存神)』을 반사받았는데, 그가 도교권선서로부터 받은 영향은 주로 『증정경신록(增訂敬信錄)』과 『경신록언셕(敬信錄諺釋)』, 『태상감응편도설(太上感應篇圖說)』에서 드러난다. | |
이제마의 양생론이 중시한 점은? | 이제마의 양생론은 성정이 직접 몸(身)과 연결되어 있고, 감정의 편착이 발병을 야기하므로, 마음(心)에 대한 수양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주목받아 왔다. 허1)는 유가철학적 입장에서 접근하여 이제마 수양론의 목적에 대해 1차 목적을 심신의 건강, 그 궁극적 목적을 인성(仁聖)이 되는 것으로 나누었고, 知人(博通과 獨行)이 이제마의 수양방법론이라고 지적하였다. |
허훈. 동무 이제마 수양론의 현대적 의미. 철학. 2007;93:21-45.
심창애. 이제마의 사상체질에 따른 도덕수양론 -동의수세보원,사단론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 2003;35:153-181.
정병희. 東武 李濟馬의 養生思想에 관한 硏究.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47-67.
이경성. 갑오본 동의수세보원의 체계에 대한 고찰.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0;6(1):19
정용재. 이수경. 이의주. 고병희. 송일병. 東醫寶鑑과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에 나타난 養生觀에 대한 고찰. 사상체질학회지. 2002;14(2):33.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7. 29.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廣濟說.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집문당. 2008.
이태희. 조선 후기 善書의 수용과 유행의 요인 -增訂敬信錄과 경신록언셕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 2016.09;69:105
知?官廳日記七冊. 庚辰六月十九日. 원문은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http://yoksa.aks.ac.kr/main.jsp)에서 검색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301.
이제마 양생론의 두 가지 목적에 대해서는 허훈. 동무 이제마 수양론의 현대적 의미. 철학. 2007.11;93:23-27.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廣濟說.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집문당. 2008:636.
https://www.zdic.net/hans/命數 (2019.12.11. 검색)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廣濟說.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집문당. 2008:727.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159-160.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廣濟說.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집문당. 2008:726.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廣濟說.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집문당. 2008:641.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廣濟說.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집문당. 2008:725.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301.
이제마. 이창일 역주. 제중신편. 동무유고. 서울:1999:72-73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158-159.
정병희. 東武 李濟馬의 養生思想에 관한 硏究.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57-59.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廣濟說.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집문당. 2008:728.
조성산. 19세기 조선의福善禍淫 논의와 沈大允의 福利全書. 한국사학보. 2017.11;69:321-322.
전병석 역주. 명심보감. 서울:문예출판사. 2013:1-16. 20.
윤찬원.太上感應篇에 나타난 道敎 윤리관 연구. 도교문화연구. 2009.11;31:159-168.
김일권. 조선 후기 關聖敎의 敬信修行論. 도교문화연구. 2014.5;40:170
이태희. 조선 후기 善書의 수용과 유행의 요인 -增訂敬信錄과 경신록언셕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 2016.09;69:108-110
윤찬원. 후대 도교권선서(道敎勸善書)에 나타난 윤리관 - 관성제군각세진경(關聖帝君覺世眞經)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 2017.2;89:212-213.
박성종. 태상감음편도설의 언해본에 대하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학술대회 발표문. 2012.7:1.
윤찬원. 후대 도교권선서(道敎勸善書)에 나타난 윤리관 - 관성제군각세진경(關聖帝君覺世眞經)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 2017.2;89:207-211.
증정경신록卷之上. 渴淫說. 五十葉(前面)-五十三葉(前面).
증정경신록卷之上. 太上感應篇. 鑑察第二. 一葉(前面).
증정경신록卷之上. 太上感應篇. 善報第四. 一葉(後面).
증정경신록卷之上. 太上感應篇. 悔過第九. 三葉(後面).
박성종. 태상감음편도설의 언해본에 대하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학술대회 발표문. 2012.7:3-5.
김일권. 조선 후기 關聖敎의 敬信修行論. 도교문화연구. 2014.5;40:160-161. 169-172.
이에나가 유코. 조선후기 윤리신앙의 다변화와 도교 선서 유행. 역사민속학. 2009.07;30:298-302.
증정경신록卷之上. 太上感應篇. 諸惡下第六.
최혜영. 朝鮮後期 의 倫理思想 硏究.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160-162.
이태희. 조선 후기 善書의 수용과 유행의 요인 -增訂敬信錄과 경신록언셕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 2016.09;69:114-117.
경신록언셕. 사인불비전공덕례(士人不費錢功德例). (https://akorn.bab2min.pe.kr/)
경신록언셕. 농가불비전공덕례(農家不費錢功德例). 이상은 검색엔진 어듸메에서 인용. (https://akorn.bab2min.pe.kr/)
박성종. 태상감음편도설의 언해본에 대하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학술대회 발표문. 2012.7:7-8.
태상감응편도설(太上感應篇圖說)卷五. 부인악보(婦人惡報). 十九. 원문은 검색엔진 어듸메에서 인용.
이상호. 五福개념을 통해 본유교의 행복론. 동양철학연구. 2009.11;60:136-137
周易 文言傳.
書經 湯誥.
中庸. 17.
論語雍也.
이수진. 儒家 生死觀의 형성과 전개. 중국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9.2:248
윤용남. 儒家의 生死觀과 죽음에 대한 태도. 철학논총. 2010.1;59:438
이상선. 기명(氣命)으로 본 덕(德)과 복(福). 공자학. 2011.11;21:162-163.
임헌규. 유교적생사관(生死觀)과 죽음에 이르는 태도. 남명학;2014:19:429
이상선. 기명(氣命)으로 본 덕(德)과 복(福). 공자학. 2011.11;21:159.
임헌규. 유교적생사관(生死觀)과 죽음에 이르는 태도. 남명학;2014:19:436-440.
강지연. 조선시대 김시습과 정렴의 내단 사상 연구. 한민족문화연구. 2008;24:352-361
김윤수.徐命膺의 와 . 도교문화연구. 1991.12;(5):454-461. 474
은석민. 活人心의 의학사상 연구 - 新刊京本活人心法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7. 44-45. 7-48.
금장태. 귀신과 제사 - 유교의 종교적 세계. 서울:2009:83-84.
하윤섭. '복선화음' 개념의 역사적 변전 양상과 조선후기 의 유행. 우리말 글. 2015;64:218.
조성산. 19세기 조선의福善禍淫 논의와 沈大允의 福利全書. 한국사학보. 2017.11;69:316-319.
하윤섭. '복선화음' 개념의 역사적 변전 양상과 조선후기 의 유행. 우리말 글. 2015;64:218-219.
이태희. 조선 후기 善書의 수용과 유행의 요인 -增訂敬信錄과 경신록언셕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 2016.09;69:104-106
조헌철, 임병학. 조선 후기 권선서(勸善書)와 민화문자도의 윤리의식. 인문과학. 2018.5;69:260-261
이태희. 조선 후기 善書의 수용과 유행의 요인 -增訂敬信錄과 경신록언셕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 2016.09;69:106.
조성산. 19세기 조선의福善禍淫 논의와 沈大允의 福利全書. 한국사학보. 2017.11;69:315-324. 333-349.
장병한. 沈大允의 福利全書 一考 - '天人禍福論'을 중심으로 -. 한국양명학회 논문집. 2008.7;20:2. 9-11.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29. 186.
增訂敬信錄卷上. 一葉(後面). 四葉(後面). 十二葉(後面). 十四葉(前面).
增訂敬信錄卷下. 三葉(前面).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29. 190.
增訂敬信錄卷上. 十三葉(前面). 三十葉(前面); 增訂敬信錄卷下. 三葉(前面). 五葉(前面).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29. 181.
김낙필. 性命論과 精氣神論. 태동고전연구. 1987;3:199.
胡孚琛主編. 中華道?大辭典.第九類.?丹學. 北京: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5:1129.
김낙필. 性命論과 精氣神論. 태동고전연구. 1987;3:195
이원국. 김낙필 . 이석명 . 김용수 . 나우권 옮김. 내단 - 심신수련의 역사2. 서울: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6:67-68.
김경수. 진단과 장백단의 도교 내단이론 비교. 南冥學硏究. 2012;35:198
增訂敬信祿.文昌帝君陰?文. 十七葉(後面).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166.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153.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150.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302.
윤찬원. 전통 도교윤리는 결과론적인 것인가, 의무론적인 것인가. 도교문화연구. 2013.5;38:109.
增訂敬信錄卷下. 感應篇致福靈驗. 愈病. 四葉(前面)-四葉(後面).
이능화. 제27장 선음즐교(善陰?敎). 조선도교사. 서울:보성문화사. 1990:309. 485.
각세신편팔감상목(覺世新編八鑑常目)卷之一. 經註鑑第一之一. 太上感應篇註解. 四葉. (장서각 청구기호 :K3-165).
增訂敬信錄卷上. 文昌帝君救劫寶章. 孝感章第二.二十葉(前面).
增訂敬信錄卷上. 玄天上帝金科玉律. 三十二葉(前面).
증정경신록卷下 文昌帝君陰?文靈驗. 十四葉(前面)-十五葉(前面).
증정경신록卷上.文昌帝君救劫寶章. 道釋章第六.二十三葉(後面)-二十四葉(前面).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187-188.
정용재. 이수경. 이의주. 고병희. 송일병. 東醫寶鑑과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에 나타난 養生觀에 대한 고찰. 사상체질학회지. 2002;14(2):33-34.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171-173.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29.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廣濟說.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집문당. 2008:525. 636.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廣濟說.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집문당. 2008:727-728.
과화존신(過化存神)부대련구(附對聯句). 十四葉(前面).
이제마. 허탁 편. 유략 . 사물(儒略.事物).격치고(格致藁). 성남:청계출판사. 2000:56.
이제마. 허탁 편. 유략 . 사물(儒略.事物).격치고(格致藁). 성남:청계출판사. 2000:191-192.
이제마. 이창일 역주. 東武遺稿. 성남:청계출판사. 1999:209-210.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