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지역 보육교사의 구강건강관련 실천도 및 구강보건교육 인식도·필요도 조사
Oral Health Practices of Some Local Child Care Teachers Oral Health Education Awareness and Need Survey 원문보기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v.7 no.2, 2019년, pp.1325 - 1336  

구인영 (경운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fant oral health care forms the basis of lifelong health, and the role of child care teachers in contributing to the quality level in the formation of correct habits at this time throughout the infant's health care and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경상북도 지역 일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인지된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 실천도 및 구깅보건교육 인식도, 필요도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교사의 구강건강에 관한 인식이 교육기관영유아의 구강건강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강조하고 향후 영유아 구강관리프로그램을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에 교사의 구강건강에 관한 인식이 교육기관 영유아의 구강건강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에서 경상북도 일부 지역의 사립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인지된 구강 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련 실천도와 구강보건교육 요구도 및 필요도를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유아교사의 구강건강지식과 구강건강실천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구강건강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자신이 가진 구강건강지식과 구강관리실천을 바탕으로 유아들의 구강건강지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의 제한점으로는 일부지역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전체보육교사의 인식과 관련하여 일반화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보육교사의 생활행태 및 구강 관리행태 등에 대한 항목의 조사를 통한 다양한 연구결과의 도출이 미흡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 구강보건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건강한 성장 발달을 위해서는 구강건강의 영역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바람직한 건강 생활습관이 유아 시기부터 형성된다는 점에서, 유아 구강보건의 중요성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6). 보육교사는 보육시설에 맡겨지는 유아들의 양육자로서, 어머니들이 유아들의 구강건강에 영향을 미쳤던 것과 같이 보육교사의 인식도가 유아의 구강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7-8)고 보고되었다.
보육교사의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구강보건행위는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 수준 및 태도와 밀접한 영향이 있으며 구강보건에 관한 지식과 태도는 구강보건교육을 통하여 변화되어 진다고 보고하였다18). 또한 보육교사의 자가 구강건강행위와 구강건강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구강건강 관리행위가 높게 나타났으며 각 관리 행위별로 연관성이 있는 요인은 다르게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자가 구강건강 행위와 구강보건 인지 향상을 위한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3)고 하였다.
전통적인 모자보건의 의미가 바뀌어야 하는 이유는? 이에 따라 교육기관 종사자들의 역할과 중요성 역시 강조되고 있다1). 최근 가족구조의 변화나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등 양육 관련 사회현상의 변화와 더불어 보육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활성화됨에 영유아는 물론 학령전기 아동의 보육요구 및 이용빈도는 급격히 증대되어 전통적인 모자보건의 의미가 바뀌어야 하는 실정이다. 보육교사는 아동의 교육 전반에 관한 관리 역할을 부모로부터 위임받은 인력으로 영유아보육의 질적 수준을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보육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여 영유아의 안전한 보호와 전인적인 발달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ung ES, Kim EJ, Kim JY, et al. A study on the necessity recognition of dental health center establishment in the sch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8;18(4):441-453. 

  2. Kim HJ.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belief and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2006;5(1):45-53. 

  3. Kwon KA.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Oral Health Care Behaviors of Nursery school teachers for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thesis,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2008. 

  4. Lee EK. Relationship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and Practice about Safety. Unpublished master'thesis, Yonsei University, 2005. 

  5. Kang JK, Lee SM, Relationship between oral-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attempts to improve oral heal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010;34(3):354-361. 

  6. Kim JB, Kim KS, Kim YH, et al. Public oral health 3th. Komoonsa, 2004:195-196. 

  7. Kim YH, Song KB, Lee SK,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in Mothers and Dental Health Belief of their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02;15(1):83-92. 

  8. Jang KA, Hwang IC.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Its Education Recognizance of Childcare Teacher.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09;9(12):735-741. 

  9. Ko MJ. Cognition on child oral condition and behaviors related to teeth health of child care teachers in Daegu. Unpublished master'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4. 

  10. Seong MG, Son EJ, Jang KA.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Health, Oral Health Impact Profile and Total Health of Childcare Teach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12):5920-5925. 

  11. Kim SJ, Yang SO, Lee JE. Kim SH, Kang K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hild HealthCare protocol for child day care center teacher. Journal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2011;17(2):74-83. 

  12. Kang HS. The effects that the mouth management on children by parents affects the mouth management, Unpublished master'thesis, Chung-Ang University, 1999. 

  13. Choi HN, Lee JW, Lee SM.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preschool child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s performed by their par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7;17(6):1225-1235. 

  14. Park JH. The correlation between soft drink consumption and subjective oral symptoms in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8;18(1):115-124. 

  15. Kang YM, Lee IS, Kim NY. Impact of chronic disease on oral health behavio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6;16(6):1093-1104. 

  16. Kim YS, Jun SK.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oral health guidance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4;14(2):231-240. 

  17. Lee SM, Lim MH, Jung JY, Hwang YS, Kim SH.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preschool teachers on children's oral health in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0;10(3):449-457. 

  18. Jung YH, Shin HM. The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Activities i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9;16(2):171-191. 

  19. Shim JS, Moon HY. Infants according to type of teacher education oral health education behavioral research using PRECEDE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1;11(5):.603-613. 

  20. Han JY. The Study about oral health practice of those who engaged in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based on the area of Seoul and Gyeonggy.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2010;20(1): 90-112. 

  21. Kim EH. The Influence of the Cognizance of Childcare teachers about Dental Care on Oral Health of Infants. Unpublished master'thesis, Gachon University, 2006. 

  22. Kim SA. Choi MS, Shim SH, A study on awareness about oral health of child's teacher of preshool.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2007;9(1):1-14. 

  23. Kim JB, Jeong SH, Ahn YS, et al.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n oral health program model for young children in the nursery and the kindergarten of health center.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01:24-78. 

  24. Jung KH.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preschool teachers on oral health education in Daejeon, Korea, Graduate School of Health Envionment. Wonkw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9. 

  25. Park CS, Park JY, Lee SO. The actual condi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teach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3;13(6):1031-1039. 

  26. Jung YM, Hwang TY, Jeon MJ.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of Teachers and Oral Care Services for Children in Nursery Schools in Daegu. Journal of Korean society Matern Child Health, 2013;17(2):196-204. 

  27. Lee, JH, Cho, HJ. Influence of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Care Practice on Oral Health Guidance for Preschooler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8;18(15):845-865. 

  28. Lee HN, Shim HS, A Study on Preschool Teachers' Dental Health Recognition and Behaviors about Preschoolchildren Dental Health Care.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2008;8(4):283-289. 

  29. Park. IS. Oral Health Awareness and Management of Day Care Teachers in Accordance with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14(9):407-415. 

  30. Cheon HW. Influencing factors on awareness toward oral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5;15(5):767-7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