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학과 학생의 구강보건교육과 구강보건지식이 구강보건인식에 융합적으로 미치는 영향
Convergence effect on oral Health Awareness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oral Health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 2019년, pp.71 - 78  

윤성욱 (김천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육(학)과 학생들의 유아구강보건교육과 구강보건인식 및 구강보건지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7년 6월 1일에서 30일까지 대구,경북 5개 유아교육학과 학생 314명을 설문조사하였다. 구강보건인식 5점 척도 평균 3.62로 여학생, 3학년, 운동자, 구강건강상태인식과 유아구강보건교육경험이 높은 경우 높았다. 구강보건지식 15문항 정답률 평균 9.63으로 여학생, 3학년, 비흡연자, 유아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우, 유아구강보건교육의 필요함에 응답한 경우 높았다. 구강보건인식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Y(구강보건인식)=2.350+0.242(운동)+0.387(구강보건교육)+0.134(유아구강보건교육경험)+0.067(구강보건지식)로 분석되었다. 유아구강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유아교육학과의 구강보건인식과 구강보건지식을 높이기 위한 유아구강보건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Convergence study aimed to analyze the oral health education,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Questionnaire survey on the of five universities early childhood education' 314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Average score of oral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대구.경북 유아교육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재학 중 유아구강보건교육과 구강보건인식 및 구강보건지식을 분석하여 향후 보육시설의 보육교사 되어 유아의 건강한 구강을 유지 및 증진하기 위한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구강건강 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 결과들은 유아의 구강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를 양육하는 유아교육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유아구강보건교육, 구강보건인식 및 구강보건지식을 조사하였으며 유아들의 구강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육학과의 학생들에게 유아구강보건교육의 중요성과 구강보건인식을 높여주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전문적인 교육방법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구강보건교육자로 적합한 직업은 무엇으로 나왔나요? 구강보건교육자로서 적당한 직업은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라고 응답한 경우 유아담당교사보다 높았다. 구강보건지식은 여성이 9.
유아 시기에 구강건강관리와 그에 관련된 교육이 중요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유아는 신체발달이 완성한 만 3세부터 5세까지를 말하며 이 시기에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건강상의 문제로는 전염병 예방, 구강건강, 적절한 운동, 안전, 균형 잡힌 영양관리라고 할 수 있다[2]. 특히 구강건강은 건강한 전신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부분이며[3], 이 시기의 구강은 유치가 맹출된 시기로서 영구치에 비해 치아우식 이환이 높고 이는 영구치 발육에 영향을 준다[4]. 또한 구강은 음식섭취, 발음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하며 건강하지 못한 구강은 12배 이상의 활동제약을 받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5]. 그러나 유아기는 운동신경 발달의 미숙으로 스스로 구강건강을 관리할 수 없으므로 건강한 구강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성장발달과 이해 수준에 맞추어 어릴 때부터 올바른 구강보건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교육을 통해 구강보건행위에 대한 지식수준과 태도가 변화되어진다[6]. 이러한 구강보건교육은 부모 및 양육자에 의해 구강관리능력이형성되며 부모나 양육자의 구강건강인식과 태도가 유아의 구강건강관리습관 형성에 깊은 관련이 있다[7].
구강건강이 중요한 이유는? 특히 구강건강은 건강한 전신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부분이며[3], 이 시기의 구강은 유치가 맹출된 시기로서 영구치에 비해 치아우식 이환이 높고 이는 영구치 발육에 영향을 준다[4]. 또한 구강은 음식섭취, 발음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하며 건강하지 못한 구강은 12배 이상의 활동제약을 받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5]. 그러나 유아기는 운동신경 발달의 미숙으로 스스로 구강건강을 관리할 수 없으므로 건강한 구강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성장발달과 이해 수준에 맞추어 어릴 때부터 올바른 구강보건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교육을 통해 구강보건행위에 대한 지식수준과 태도가 변화되어진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J. M. Jeon. (2004). A study on consciousness of oral health education focusing on health educators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Master's dissertation. Dongduck Womens University, Seoul. 

  2. M. T. Urbano. (1991).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al Health care needs. San Diego: Singular Pub Group. 

  3. S. H. Kim, M. H. Lim, J. Y. Jung, Y. S. Hwang & S. M. Lee. (2010). Analysis of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Practice of Teachers in Som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J Den Hyg Sci, 10(5), 379-385. 

  4. B. H. Jin, B. J. Lee & D. I. Park. (2007). Prevalence of incipient lesions in surveyed preschool children, Kuro-gu, Seoul: A pilot study. J Korean Acad Oral Health, 28(4), 548-558. 

  5. US General Accounting Offices. (2000). Oral health: dental disease is a chronic problem among low-income populations. Washington DC: Report to Congressional Requesters. 

  6. B. H. Kang, S. N. Park, K. Y. Sohng & J. S. Moon. (2008). Effect of a Tooth-brushing Education Program on Oral Health of Preschool Children. J Korean Acad of Nur, 38(6), 914-922. DOI : 10. 4040/jkan. 2008.38.6.914 

  7. Y. H. Choi, I. Suh, H. K. Kwon & S. H. Ji.(1999). Children's dental health status in relation to their mother's oral health knowledge and practices. J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3(1), 45-62. 

  8. J. K. Kang & S. M. Lee. (2009). Relationship between oral-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attempts to improve oral health. J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4(3), 354-361. 

  9. S. M. Bae, K. S. Song & D. Y. Ryu. (2009). A survey on childcare teachers' practice about preschool children oral health promotion. J Korean Soc Dent Hyg, 9(4), 864-872. 

  10. K. A. Jang & M. K. Seong. (2009) Subjective Oral Health Behaviors and Recognition of Childcare Teacher With and Without Oral Health Education. J Den Hyg Sci, 9(3), 319-326. 

  11. B. M. Hwang & S. A. Kim. (1995). Survery on the state of oral health care of kindergarten children. Korean Acad Pedi Dent, 22(1), 135-150. 

  12. Y. S. Ah & M. J. Kim. (2001). A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oral health in preschool children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based oral health program in Sungnam city. J Korean Soc Dent Hyg, 1(2), 201-211. 

  13. K. A. Kwon. (2008).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oral health care behaviors of nursery school teachers for young children. Master's dissertation. Gangneung University, Gangneung. 

  14. C. S. Park, J. Y. Park & S. O. Lee. (2013). The actual condi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teacher. J Korean Soc Dent Hyg, 13(6), 1031-1039. DOI : 10. 13065/jksdh. 2013.13.06.1031 

  15. J. S. SHim & H. A. Moon. (2011). Infants according to type of teacher education oral health education behavioral research using PRECEDE model. J Korean Soc Dent Hyg 11(5), 603-613. 

  16. I. S. park. (2016). Oral Health Awareness and Management of Day Care Teachers in Accordance with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4(9), 407-415. DOI : 10. 14400/JDC.2016.14.9.407 

  17. S. H. Jun, & M. H. Jung. (2006). Regional Daycare Center Teachers' Dental Health Perception and Dental Control status in Daegu Metropolitan City. Korea Society of School Health, 8(1), 17-28 

  18. Y. S. Ahn, E. S. Kim, D. S. Lim, S. H. Jun & M. J. Kim. (2001). on Preschool Teachers'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s in Sung-nam City. J Korean Soc Dent Hyg, 1(1), 13-21. 

  19. S. A. Lim. (2017). Convergence factors of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perception on oral health improvement behavior in som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8(11), 167-175. DOI : 10. 15207/KJCS. 2017.8.11.167 

  20. B. S. Kim. (2018). The impact of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and self-efficacy on fear of intimacy among university of students.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59-65 DOI : 10. 15207/KJCS. 2018.9.1.059 

  21. J. H. Kim, G. U. Kim. (2015). (The)Convergence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of kindergarteners,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6(6), 131-137. DOI : 10. 15207/KJCS. 2015.6.6.131 

  22. K. A. Jang & I. C. Hwang.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Its Education Recognizance of Childcare Teacher. Korea Contens Association, 9(12), 735-741. 

  23. A. R. Jung. (2014).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college student majo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Master's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Cheonan. 

  24. S. M. Bae, K. S. Song & D. Y. Ryu. (2009). A survey on childcare teachers' practice about preschool children oral health promotion. J Korean Soc Dent Hyg, 9(4), 864-873. 

  25. H. S. Kim, B. Shin, E. J. Goh, S. O. Kim, H. Jo, S. E. Park & J. K. Kang. (2014). Non-smokers tended to have higher knowledge on oral health than the non-smokers. J Korean Soc Dent Hyg, 14(1), 1-8. DOI : 10. 133065/jksdh. 2014. 14.01.1 

  26. J. N. Lim & Y. R. Jung. (2013). Development proposal of oral health educational media based on the oral health care and educational needs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13(2), 323-334. 

  27. J. W. Lee, U. J. Jung, H. J. Na. (2011). A study on the preschool children dental health awareness and behavior of the educators at the nurseries and kindergartens in Chungnam region. J Korean Soc Dent Hyg, 11(6), 973-983. 

  28. S. M. Lee, M. H. Lim, J. Y. Jung & S. H. Kim. (2010).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preschool teachers on children's oral health in Seoul. J Korean Soc Dent Hyg, 12(3), 449-4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