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대학원 학습자의 학업 스트레스, LMS 활용만족도, 사회적 지지가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LMS Utilization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n Academic Persistence among Online Graduate Student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2 no.3, 2019년, pp.144 - 151  

이다예 (중앙대학교 한국라이프스킬교육센터) ,  김영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utilization satisfaction of learners attending online graduate schools and underst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academic persiste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students of K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온라인 대학원 학습자의 학업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LMS 활용만족도를 파악하고,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대학원학습 성취를 높이는데 기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원 온라인 학습자의 학습지속률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온라인 대학원에 다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LMS 활용만족도, 사회적 지지 및 학업지속의도를 파악하여 온라인 대학원생의 학업지속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실시하는 것이며,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자 중 온라인 수업의존도가 높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시도한 연구로 스트레스의 한 유형으로써 학업 스트레스와 온라인 학습에서 중요한 LMS만족도 및 사회적 지지를 함께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성공적인 협동학습의 필수인 사회심리적 요소인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영향 변수로써 작용하지 않아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과제로 대두되었다.
  •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업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LMS활용만족도를 파악하고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 대학원 학습자의 학업 스트레스와 LMS활용만족도가 학업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 연구는 온라인 대학원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업 스트레스, LMS 활용만족도, 사회적 지지가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대학원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LMS 활용만족도를 파악하고,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대학원 학위과정의운영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학업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학생 개인의 적극적 대처도 요구되며[12,14], 이와 함께 학교의 학생 상담 제공 혹은 과정시작 전 온라인 학습 환경에 대해 익숙해 질 수 있는 기회를 미리 제공하는 등의 정책적 지원도 필요하다. 특히, 학부 학생에 비하여 온라인 학습 경험이 많은 온라인 대학원생의 학업 스트레스가 낮다는 점을 비추어 보아 온라인 학습 환경에 친숙해 질 수 있도록 사전 워크숍 또는 충분한 기간의 온라인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의 학교 차원의 정책 지원을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라인 학습과정의 특징은? 온라인 학습과정은 다양한 웹기능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에게 풍부한 학습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교수-학습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커다란 교육적 잠재력이 있다. 그러나 원격대학의 수업 연한 내 정규 졸업률이 20%수준이며, 10년 누적 입학생 학생대비 누적졸업률도 평균 36.
온라인 대학원 학습자의 학습지속율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온라인 대학원 학습자의 학습지속율을 높이기 위해서 학습자의 학업 스트레스를 낮추고 LMS 활용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학교 차원의 학생 지원 정책 마련이 요구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학업 기간의 시작 전 온라인 학습 환경에 익숙해 질 수 있도록 충분한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의 제공과 학습콘텐츠와 직접 관련 있는 핵심 기능을 위주로 LMS 인터페이스를 재구조화하는 설계안을 제안한다.
이러닝 플랫폼에서 중요한 것은? 한편, 이러닝 플랫폼은 대학을 포함한 고등교육 전반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이러닝 플랫폼에서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LMS)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13]. 미국과 독일의 온라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복잡한 LMS 기능 및 조작 방법에 대한 어려움은 학습자의 학업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발생시키고, 부진한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celar-Nicolau P, Caeiro S, Martinho AP, Azeiteiro UM. Attitudes, barriers and motivators as factors for sustainability of higher education e-learning programmes at Universidade Aberta, Portugal. In: Azeiteiro UM, Leal Filho W, Caeiro S, editors. Integrative approaches to sustainable development at university level in the series world sustainability. Frankfurt: Peter Lang; 2015. p. 567-582. 

  2. Martinho AP, Caeiro S, Caetano FJP, Azeiteiro U, Nicolau PB. Training and employability, competences from an e-learning undergraduate programme in environmental sciences. In: Azeiteiro UM, Leal Filho W, Caeiro S, editors. E-learning and sustainability in the series environmental education, communication and sustainability. Frankfurt: Peter Lang; 2014. p. 47-58. 

  3. Moore JL, Camille DD, Krista G. e-Learning, online learning, and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s: are they the same?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2011;14(2):129-135. https://doi.org/10.1016/j.iheduc.2010.10.001 

  4. Allen IE, Seaman J. Digital learning compass: distance education enrollment report 2017. Boston, MA: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e-Literate, WCET; 2017. p. 1-32. 

  5. Lee DK. Statistical report 2016. Seoul: KNOU IDE; 2016 September. Report No.: 2016-5. 

  6. Jung YH. Survey report for graduate school students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urvey report. Seoul: KNOU IDE; 2019 July. report No.: 19-02. 

  7. Joo YJ, Chung AK, Han AR.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tress, achievement motivation, learning environment, school flow, learning persistence in cyber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011;14(3):73-82. 

  8. Kim SA, Chung YS. The relationships of characteristics, problem- solving styles, and stress among cyber university students. Institute of Distance Education. 2011;7(3):1-23. https://doi.org/10.26857/JLLS.2011.12.7.3.1 

  9. Cha NH.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at university life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6;27(2):124-131.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2.124 

  10. Mary EP, Gregory SW. Using emotional and social factors to predict student succes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2003;44(1):18-28. https://doi.org/10.1353/csd.2003.0008 

  11. Kwon HJ. The effects of personal, institutional, social variables on determination of the cyber university students' dropout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0;10(3):404-412. 

  12. Lee DY, Seo YS, Kim YI.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and ASE (Attitude-Social Influence-Self Efficacy) model factors on academic persistence of onlin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8;18(10):453-463. https://doi.org/10.5392/JKCA.2018.18.10.453 

  13. Shon MY, Kim YI, Kim SH, Kim Y, Kim TS, You BS, et al. Study for improving related institutional operations to develope better competence in the graduate programs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eoul: KNOU IDE; 2019 January. Report No.:18-12. 

  14. Maymon R, Hall NC, Goetz T, Chiarella A, Rahimi S. Technology, attributions, and emotions in post-secondary education: an application of Weiner's attribution theory to academic computing problems. Plos One. 2018;13(3):1-36.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93443 

  15. Lim CL, Han HJ, Jung DE, Ozturk YE, Hong JH. Exploring an e-learning platform prototype for supporting learning desig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017;33(4):799-837. https://doi.org/10.17232/KSET.33.4.799 

  16. Coates H. A model of online and general campus based student engagement.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2007;32(3):121-141. https://doi.org/10.1080/02602930600801878 

  17. Prince M. Does active learning work?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2004;93(3):223-231. https://doi.org/10.1002/j.2168-9830.2004.tb00809.x 

  18. Kim ML, Kim MH, Suh HW, Choi MJ.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SNS-based instruction. Journal of Cyber Education. 2013;7(1):79-94. 

  19. Choi SH. The study on effectiveness of peer supportive program to enhance the peer relationship of the disable students in a special classes. Rehabilitation International Korea. 2000;4(2):135-177. 

  20. Kim YI, Lee BI.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of health educator training program.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08;21(1):1-9. 

  21. Chon KK, Kim KH, Yi JS.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0;5(2):316-335. 

  22. Kim SH. A Prediction mod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school children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7. p. 1-120. 

  23. Lee SH.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concerning techno-stress and happiness depending on the use of smart devices in a school educational environment [dissertation].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 2015. p. 1-161. 

  24. Namin S. Transactional presence as a critical predictor of success in distance learning. Distance Education. 2003;24(1):69-86. https://doi.org/10.1080/01587910303048 

  25. Joo YJ, Lee JW, Cho SY.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task-value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hievement in cyber university.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2012;8(1):73-92. https://doi.org/10.26857/jlls.2012.04.8.1.73 

  26. Joo YJ, Lim KY, Kim NH. The effects of secondary teachers' technostress on the intention to use technology in South Korea. Computers & Education. 2016;95:114-122. https://doi.org/10.1016/j.compedu.2015.12.004 

  27. You JW.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emotions on emotional academic burnout and persistence in e-learn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5;15(9):389-413. 

  28. Gali N, Dorit T, Nava P. Student LMS use and satisfaction in academic institutions: the organizational perspective.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2010;13(3):127-133. https://doi.org/10.1016/j.iheduc.2010.02.004 

  29. Kim YI, Kim TY. Factors affecting nurses' web-based learning achievement in schoolwork.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1):57-65. https://doi.org/10.5807/kjohn.2013.22.1.57 

  30. Jin SH, Lee DJ. Relationships among learners' sense of community,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in a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2008;6(1):65-87. https://doi.org/10.26857/JLLS.2010.05.6.1.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