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록콘텐츠 기반의 아카이브 전시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Archive Exhibitions using Archival Contents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9 no.1, 2019년, pp.69 - 93  

서은경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  박희진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카이브 전시는 아카이브의 가치를 높이고 이용자의 관심 및 긍정적인 이미지를 높이는데 기여하는 아카이브의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이지만, 아직까지도 활성화가 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기록콘텐츠를 이용하여 일방적인 정보전달식의 아카이브 전시에서 벗어난 이용자의 관심과 이해를 이끌어낼 수 있는 새로운 전시방안을 시도하고 모색하는 움직임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문화유산 기관의 전시 사례들을 종합 분석하여 기록콘텐츠를 활용한 아카이브 전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록콘텐츠를 통하여 기록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증진하는 방안에 초점을 두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아카이브 전시프로그램 개발 전략은 3-way 콘텐츠 기반 전시, 체험 기반 전시, 디지털 환경 기반의 아카이브 전시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이용자의 관심과 이해를 이끌어낼 수 있는 아카이브 전시프로그램 설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chive exhibitions are one of the important tasks of archives that promote the value of archives and contribute to increasing users' interest and positive image but have not yet been activated. Recently, there has been a shift from a one-way archive exhibition to a new way to draw attention and und...

주제어

표/그림 (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카이브는 무엇인가? 아카이브는 정부기관, 공공단체 혹은 개인의 업무나 행위의 과정에서 생산된 특정사실을 저장하고 있는 기록 중 그 가치에 대한 평가를 통해 유일무이한 원본자료로서의 역사적 정보적 가치를 인정받아 영구적으로 보존되는 기록을 말한다. 이러한 아카이브의 주제영역은 행정기록뿐만 아니라 문화유산, 공연예술, 대중매체, 생활사 등과 같이 광범위하게 걸쳐있고, 그 유형은 문서 뿐 아니라, 사진, 박물, 도면, 디지털 자료 등 다양하다.
최근의 전시동향을 통해 아카이브 자료에 가시화 되고 있는 전시방법은 무엇인가? 더욱이 최근의 전시동향은 이용자에게 일방 적으로 보여주는 전시유형을 벗어나 문화적인 경험, 감동과 즐거움을 제공하는 전시가 강조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아카이브 자료를 기존의 방식으로 전시하는 것을 탈피하여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전시하는 방법과 디지털 기록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전시 방법이 이제 가시화되고 있다. 이미 1995년 국제박물관위원회 (ICOM)에서는 박물관 교육 및 전시의 사회적 역할을 인터넷 공간에서도 박물관이 시행할 것을 권장하였고(우동희, 2010), 최근에는 박물관이나 역사관 또는 기록관에서도 그 기관들이 소장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전시뿐만 아니라 온라인 전시를 제공하고 있다.
아카이브 전시와 미술관 전시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아카이브 전시는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제공되는 전시와 개념과 방식에서 뚜렷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미술관의 전시는 미학적인 감상을 위하여 또 유물이나 문화생활을 전시하는 박물관 전시는 교육적/역사적 이해를 위해 이루어진다면, 아카이브 전시는 메시지 전달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다른 기관의 전시와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아카이브 전시는 실물을 통한 감성적 자극과 역사, 사실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들에게 기록물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김다운,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Ki Bum (2014). Study on the Permanent Exhibition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KOREA SCIENCE & ART FORM, 18, 81-91. 

  2. Kim, Da Woon (2017). The role of archivists an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focusing on archives exhibition service. Master's thesis.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Archival Studies, Graduate School Chonnam University. 

  3. Kim, Suk Young & Kim, Wang Jik (2016). The Usage of Outdoor AR in Architectural Heritage and a Proposal about Display Devices. 2016 KAAH Conference Proceedings, 293-302. 

  4. Kim, Sol (2013). Application of Online Contents of Presidential Archives in Elementary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3(1), 59-79. https://doi.org/10.14404/JKSARM.2013.13.1.059 

  5. Kim, Yeon-Joo (2009). Archives and Museum Exhibitions Compared: with the Emphasis on the Exhibitions Held in Memory of the 60th Anniversary of National Found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9(2), 103-131. 

  6. Kim, Yong Seung & Ko, Yu-Jung (2009). A Study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Visitors at a Exhibition Method Types in Children's museum. KIID Conference Proceedings, 11(2), 49-53. 

  7. Ryu, Han-Jo & Kim, Ik-Han (2009). A Study of the Developing Model of Record Contents: Focused on the Architecture Cultural Property Recor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9(1), 221-248. 

  8. Baek, Kyung-Mi (2011). The Effects of Experiences on the Visitors' Pleasure and satisfaction in Tourism Events. Event & Convention Research, 7(2), 1-18. 

  9. Seol, Moon-Won (2012). Directions of Archival Contents Development for Documenting Localit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 317-342. 

  10. Song, Na-ra, Jang, Hyo-Jeong, Choi, Hyo-Young, Kim, Chong-Hyuck, & Kim, Young (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xperiential Exhibition Program for Children about Presidential Archives Based on the Experience Economy (4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6(1), 9-40.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1.009 

  11. Sim, So Yeon & Moon, Jeong Min (2014).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Using Digital Media in a Children's Hands-on Program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0(1), 371-381. 

  12. Woo, Dong Hee (2010). The invigoration ways of researching the experience of studying associated with the virtual museum: Centered learning experience for elementary grades 4.5.6. Master's thesis, Major in History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 Sin University. 

  13. Woo, Jee-Won & Lee, Young-Jae (2016). A Study on the Records Exhibition Ways of Educational Archives: Focused on Gyeongsangnam-d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4), 185-208. https://doi.org/10.4275/KSLIS.2016.50.4.185 

  14. Yoo, Dong Hwan (2013).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 of Digital Heritage Study.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3, 95-121. 

  15. Yoo, Ho-Suon, Kim, Eun-Sil, Lee, Su-Jin, & Kim, Yong (2017). A Study on a Method to Implement Exhibition Contents Using 3D VR in Online Environment: Focused on the Presidential Archiv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8(1), 271-292. https://doi.org/10.14699/kbiblia.2017.28.1.271 

  16. Lee, Eun-Yeong (2011). A Study on developing procedures of an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9, 129-173. 

  17. Lee, Jae-Na, Yoo, Hyeon-Gyeong, & Kim, Geon (2015). A Study on Exhibition of Presidential Archives Using Storytell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5(3), 87-114.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3.087 

  18. Lee, Jeong Soo (2014). A Study on the Reality and the Activation ways of Archive Exhibition Service: Focusing o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M.A. thesis, Program in Archiv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9. Lee, Chang Hee, Rieh, Hae-young, & Kim, Intaek (2018). Development of Prototype Chatbot Based on Messenger App for Archival Reference Services: With Focus on the Archives & Records Center of Myongji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5(3), 215-244. https://doi.org/10.3743/KOSIM.2018.35.3.215 

  20. Jung, Da-Wn & Ahn, Hyung Jun (2016).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Docent Mobile Apps on Us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s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 329-341. http://dx.doi.org/10.5392/JKCA.2016.16.01.329 

  21. Chung, changho, Park, Chi-Sung, & Han, Seung-Jun (2014). Restoring Traditional Cultural Assets from Peculiar Characteristics of Cultural Assets: Will It Bring More Effectiveness? Moder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4(2), 223-253. 

  22. Jo, Min-ji (2014). Archival Exhibitions and Photographs in the Age of the Image.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9, 73-100. 

  23. Cho, Min Hui, Cho, Jung Won, Han, Hye Won, & Kim, Yong (2016). A Study on Method to Develop Mobile Contents for G-learning Using the Presidential Archives Based on Digital Storytell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1), 261-284. https://doi.org/10.4275/KSLIS.2016.50.1.261 

  24. Choi, Seok-Hyun (2013). Contemplation on necessity of digital exhibition based on online environment: Mainly on Archives exhibi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Arts, MyungJi University. 

  25. Choi, Seok-Hyun, Park, Hyun-Suk, Kim, Myoung-Hun, & Jeon, Tae-Il (2013). An Analysis of the Effect on Using Digital Exhibition of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3(1), 7-33. https://doi.org/10.14404/JKSARM.2013.13.1.007 

  26. Ha, Ji Young, Lee, Seung Hyun, & Kim, Deok Hyeon (2014). Strategies to Increase Competitiveness of Local Experience Space: A Study of the 4Es in the Experience Space of Sam-Rae Arts Village in Wanju-gun, Jeollabukdo. Review of Cultural Economics, 17(2), 161-184. 

  27. Hur, Wi-Rin & Kim, Dae-Woong (2015). A study on the Digital Storytelling Methodology for Culture Heritage Exhibition. KSDS Conference Proceeding, 408-4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