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카이브의 디지털 전시 활용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 on Using Digital Exhibition of Archives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3 no.1, 2013년, pp.7 - 33  

최석현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박물관학과) ,  박현숙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김명훈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  전태일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박물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화 사회의 도래로 아카이브 기관은 대국민 서비스의 일환으로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여 보존과 전시에 활용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아카이브 전시에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카이브와 디지털 전시의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고, 아카이브에 디지털 전시방법을 사용할 때 그 활용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기록물관리기관의 디지털 전시사례를 조사하였다. 아카이브자료를 웹페이지를 통하여 전시했을 때 가장 큰 장점은 기록물이 가지는 본연의 정보 제공의 기능과 더불어 하이퍼링크 기술을 통한 정보의 무한 확장성을 들 수 있다. 디지털전시의 방법으로 가상현실은 평면적인 아카이브에 입체감과 현실감을 넣어 이용자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스토리텔링은 온라인상에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의 장을 만들어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이 과정까지도 스토리에 반영되어 새로운 콘텐츠로 탄생된다. 이러한 일련의 기능들이 아카이브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여 이용자들의 정보의 공유, 참여를 가져오고, 더불어 디지털 전시를 통한 새로운 콘텐츠 자원은 문화 자원과 관광자원으로 지역사회와 기관을 홍보하므로 아카이브 전시에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것은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continues to promote the digitalization of archives (valuable records) and has therefore, affected archiving centers. This digitalization is shown to these archiving centers by taking advantages of various digital exhibitions. This study aim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시란? 전시에 있어서도 이러한 디지털 정보화사회 패러다임의 영향은 무시할 수 없는데, 전시의 구성과 연출에 디지털 매체를 사용하는 기초적인변화에서부터 전시 주제와 구성 자체를 디지털로 삼는 이른바 ‘디지털 전시’도 출현하게 된 것이다. 전시란 “어떤 목적 하에 전시기획자의 생각이나 사상을 전시물을 매개로 제시 또는 표현함으로써 관람자에게 이해와 감상, 탐구, 체험의 공간을 구축하는 행위”(장은경 2010, 259)이다. 여기에 디지털의 개념을 도입시키면 전시기획자의 생각이나 사상을 디지털 전시물, 또는 전시물을 디지털화 한 것을 매개로 제시 또는 표현하는 것이 곧 디지털 전시가 될 것이다.
디지털 전시와 실제 전시의 차이는? 여기에 디지털의 개념을 도입시키면 전시기획자의 생각이나 사상을 디지털 전시물, 또는 전시물을 디지털화 한 것을 매개로 제시 또는 표현하는 것이 곧 디지털 전시가 될 것이다. 또한 디지털 전시와 실제 전시의 차이는 전시공간, 전시시간, 전시구성, 전시기법, 전시주체의 태도, 전시의 수정, 전시대상의 보관, 커뮤니케이션 형태, 접근성을 들 수 있는데, 위의 개념과 연결지어본다면 결국 디지털 전시란 전시를 행함에 있어 그 본질의 훼손 없이 전달하는 매개체를 디지털이란 새로운 형태로 제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온라인 전시의 유형인 웹페이지 활용과 가상현실에 대해 설명하시오 가장 기본적인 온라인 전시의 유형은 웹페이지 활용과 가상현실이 있다. 먼저 웹상에서자료의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구현되는 웹페이지 전시는 인터넷을 통하여 하이퍼텍스트(hypertext)로 구현된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웹페이지 전시 시스템은 하이퍼텍스트로 직접 구성된 전시정보에 간접정보 링크가모여 있는 시스템에 접근하는 매체라고 정의할수 있다(김보영 2009, 5). 웹페이지의 유용성은전시기관의 입장에서는 정보의 확장을 무한히 할 수 있는 점이 있으며,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해 하이퍼링크를 통한 정보수집의 편리성이 있다. 이러한 편리성은 이용자를 지속적으로 기관의 웹사이트로 방문하게 하거나 이용자 증대의 요소가 되고,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상에서 이용자와의 교류가 오프라인 전시 및 각종 프로그램의 참여로 이어질 수 있는 마케팅의 방법으로 쓰일 수 있다. 둘째,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시를 실재처럼 느낄수 있게 만든 것이다. 안은영과 김재원(2010)은 가상현실 전시를 파노라마 VR, Object VR, 3DVR로 분류하였다. 파노라마 VR은 파노라마로 찍은 전시사진을 웹페이지에서 확대․축소 및움직이면서 볼 수 있는 기술로, 비교적 제작이간단하고 사진을 통해 공간의 평면적인 정보를 쉽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반대로 공간정보를 주로전달하면서 그 대상을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Object VR은 대상의 모습을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여 360도로 회전하면서감상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품 등의 웹 콘텐츠제작에 주로 활용된다. 하지만 이는 별도의 정보창이 필요하며 공간정보에 대한 제공이 부족하다. 3D VR은 제작과정에서 비용이 많이 들긴 하지만 공간과 객체정보를 모두 전달할 수 있으며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이 용이하다. 결국 가상현실 전시에 있어서 실재감과 정보전달이 모두 용이한 것은 3D VR이다.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충분히 표현하고 더불어 이용자의재미와 몰입을 제고시킨다는 점을 고려하면 3DVR이 효과적이지만, 현실적인 비용부분을 생각할 때 위의 3가지 방법을 적절히 사용하는 방법도 고려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인애, 설진성. 2000. 가상박물관을 활용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수업사례연구. 敎育方法硏究, 22(1): 27-54. Kang, In-Ae, & Seol, Jin-Sung. 2000. "A Case Study on 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A Virtual Museum-Based Interdisciplinary Class in An Elementary School. The Korean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2(1): 27-54. 

  2. 김보영. 2009. 국내 뮤지엄 웹사이트 현황 분석을 통한 뮤지엄의 소통 기능 활성화 방안 연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Kim, Bo-Young. 2009. A Study on Embodiment Status of Communication Function of Museumon Web and Measures Aimed Activation of Museum Website. Master Degree Dissertationin Department of Art Planning Graduate School of Find Art, Hongik University. 

  3. 김연주. 2009. 아카이브와 박물관의 전시 비교와 개선방안: 건국 60년 기념 전시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2): 103-131. Kim, Hee-Kyung. 2006. "A Study on the Plan and Development of the Cyber Exhibition."Humanities Contents, 7: 51-72. 

  4. 김유승. 2010. 아카이브 2.0 구축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2): 31-52. Kim, You-Seung. 2010. "A Theoretical Study on Establishing Archive 2.0." Journal of Korean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0(2): 31-52. 

  5. 김윤희, 이재정, 한상미. 2010. 아동을 위한 RFID 방식의 전시안내 의류 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0(2): 107-121. Kim, Youn-Hee, Lee, Jae-Jung, & Han, Sang-Mee. 2010. "Study on Smart Clothing Designof Digital Docent Based on RFID for Children."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10(2): 107-121. 

  6. 김주관. 2006. 문화자료와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 20세기 민중생활사연구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9(2): 447-483. Kim, Joo-Kwan. 2006. "Cultural Resources and the Construction of Digital Archives: A CaseStudy of Group for the People without History."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9(2): 447-483. 

  7. 김희경. 2006. 가상 전시의 설계와 구현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 7: 51-72. Kim, Hee-Kyung. 2006. "A Study on the Plan and Development of the Cyber Exhibition."Humanities Contents, 7: 51-72. 

  8. 나원경. 2011. 박물관 업무의 특성을 반영한 기록정보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Nah, Won-Kyung. 2011. A Study on Planning Records Management based on Characteristicsof Museum Work. Master's thesis, Myoungji University. 

  9. 노시훈. 2007. 호남학 정립과 문화관광에의 활용을 위한 호남학 시청각 아카이브 구축 시론. 인문콘텐츠, 10: 305-321. Noh, Si-Hun. 2007.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Honam Studies Audiovisual Archives."Humanities Contents, 10: 305-321. 

  10. 박경석. 2008. 5?18 민주화운동 기록의 정보서비스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Park, Kyoung-Suk. 2008. Study on the Reference Service of 5?18 Pro-Democracy MovementRecord. Master's thesis, Mok Po National University. 

  11. 박남진. 2006. 미술관, 박물관 가상전시디자인에 대한 관람객의 반응연구. 디자인학연구, 41(1): 181-190. Park, Nam-Jin. 2006.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irtual Museum Exhibitionsand Visitors Respon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41(1): 181-190. 

  12. 박대정. 2007. 가상 박물관의 공간 형식과 그 의의에 관한 연구: 모던 박물관과 포스트모던 박물관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학과 박사학위논문. Park, Dae-Jeong. 2007. An Enquiry into the Spatial Forms and Its Significance of Virtual Museum: Focused on Modern Museum and Postmodern Museum. Doctoral Dissertation, EwhaWoman's University. 

  13. 박영아. 2011. 박물관의 정보기술 용이성, 상호작용, 즐거움이 방문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 국립 중앙박물관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5(9): 183-202. Park, Young-A. 2011.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Ease of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teractivity, Enjoyment, Satisfaction and Revisit ofMuseum Visitors: A Focus on National Museum of Korea." Journal of Tourism Science,35(9): 183-202. 

  14. 안은영, 김재원. 2010. 실사기반의 3차원 가상현실 제작을 위한 선택적 맵핑 방식의 빌보드 구현.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3(4): 601-608. Ahn, Eun-Young, & Kim, Jae-Won. 2010. "Implementation of Selective Mapping Billboardfor Production of Image-based 3D Virtual Reality." Journal of Korean Multimedia Society,13(4): 601-608. 

  15. 양인호. 2010. 기록정보콘텐츠의 품질향상 방안 연구: 한국?영국?일본의 사례비교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23: 87-139. Yang, In-Ho. 2010. "A Study of Quality Improvement Methods of Archival Contents Service:With as the Central Figure of Cases among Korea and England and Japan." The KoreanJournal of Archival Studies, 23: 87-139. 

  16. 이민수. 2004. 박물관 환경 변화와 사이버박물관의 발전 가능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Lee, Min-Su. 2004. A Study Environmental Changes of Museum and the Potentiality of CyberMuseum. Master's thesis. Sung Shin Woman University. 

  17. 이혁재, 김유승. 2009. 정부기관 웹 기록물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3): 33-46. Lee, Hyuk-Jae, & Kim, You-Seung. 2009. "A Study on the Web Based Records ManagementPolicy for Government Agenc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Information Science, 20(3): 33-46. 

  18. 이혜원. 2007. 기록관 전시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Lee, Hye-Won. 2007. A Study of Method to Activat Eexhibition Programme in Archive. Master's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19. 장연이, 김희권. 2011. 소셜미디어에서의 사진저작물 스크랩에 관한 법률문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0): 242-256. Jang, Yeon-Yi, & Kim, Hee-Kweon. 2011. "Legal Problem on the Clipping of the PhotographicWorks in the Social Media."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0):242-256. 

  20. 장은경. 2010. 디지털 전시환경의 인터랙티브 전시기법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28: 255-262. Jang, Eun-Kyung. 2010. "A Study on Interactive Exhibition Techniques for Digital ExhibitionEnvironment."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28: 255-262. 

  21. 조소연. 2009. 디지털시대의 영상 아카이브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Cho, So-Youn. 2009. The Study of the Strategy for Developing Moving Image Archives inthe Digital Age.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22. 지희승. 2009.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박물관 전시방법 연구.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Ji, Hee-Seung. 2009. The Study of Museum Exhibition Utilizing Digital Media. Master's thesis,Hongik University. 

  23. 진수정. 2011. 스토리텔링 기법을 통한 대학기록관의 전시 개발방안.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 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Jin, Soo-Jung. 2011. A Study on Exhibition Development of University Archives by StorytellingTechniques. Master's thesis, Hankoo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24. 황동열. 2007. U-도서관/박물관의 기능변화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181-199. Hwang, Dong-Ryul. 2007. "A Study on the Functional Change and Application Scheme ofU-library/museum."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41(4): 181-199. 

  25. Srinivasan, S. S., Anderson, R., & Ponnavolu, K. 2002. "Customer Loyalty in E-commerce: An Exploration of It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Retailing, 78(1): 41-50. 

  26.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 

  27.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 

  28. 국립극장 공연예술 디지털 아카이브 홈페이지. . 

  29.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홈페이지. . 

  30.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 . 

  31. 국사편찬위원회 건국기념역사관 홈페이지. . 

  32. 미국 국립기록청 홈페이지. . 

  33. 영국국립기록청 홈페이지. . 

  34. 처칠 아카이브센터.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