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후포분지의 Pockmark 해저지형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Pockmark Topography in Hupo Basin, East S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2 no.6, 2019년, pp.561 - 571  

김창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 ,  박찬홍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 ,  이명훈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 ,  최순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 ,  김원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해 후포분지는 동해안의 울진군과 영덕군에 걸쳐 있는 대륙주변부의 분지이고 후포분지 동쪽 경계부에는 주변 해저지형보다 높은 지형인 후포퇴(Hupo Bank)가 위치하고 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후포분지 북부해역, 왕돌초가 위치한 중부해역과 남부해역의 세 지역에 대하여 정밀 해저지형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후포분지는 서쪽 연안부터 동쪽으로 가면서 점점 깊어져 최대 수심은 약 250 m에 이르며 후포퇴 급경사면을 만나면서 분지경계가 나타난다. 후포분지의 북부, 중부, 남부 세지역 모두에서 좁은 수로가 나타나며 그 수로에서 가장 깊은 수심대를 보인다. 후포분지 정밀 해저지형 자료에서 약 150 ~ 250 m 수심의 범위 해저에 수많은 pockmark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 pockmark들은 전반적으로 지름이 약 20 ~ 50 m이고 그 깊이는 약 4 ~ 6 m로 다양한 크기의 원형 화구형태(crater-like)의 해저지형구조를 보인다. Pockmark 지역의 표층 퇴적물은 세립한 실트로 구성되어 있다. 후포분지 pockmark의 형태와 크기를 해외 다른 지역들의 pockmark와 비교해보면 정상(normal) pockmark로 분류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후포분지 북쪽지역은 pockmark가 약 7개/1 ㎢ 있으며, 중앙부는 pockmark가 약 8개/1 ㎢ 나타난다. 남쪽의 조사구역은 pockmark가 약 5개/1 ㎢ 분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Pockmark 존재 가능성이 있는 구역을 후포분지 전체 약 150 ~ 250 m 수심지역으로 확대하면 그 pockmark 수가 약 4800개 이상일 것으로 판단된다. 후포분지의 pockmark는 가스보다는 액체와 같은 유체에 의해 생성되었을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생각되지만 생성원인에 대한 정밀 조사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upo Basin, continental marginal basin, of the East Sea extends to Uljin-gun and Yeongdeok-gun. The Hupo Bank, a terrain that is higher than the surrounding seabed, is located at the eastern boundary of the Hupo Basin. KIOST(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conducted detailed bat...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획득한 후포분지 북부, 중부, 남부지역의 정밀 해저지형을 분석하여 그 지역에 나타난 pockmark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후포분지 북부와 중부 및 남부에서 모두 pockmark가 나타났으며 크기, 형태 및 분포 빈도로 보아 정상 pockmark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획득한 후포 분지 북부, 중부 및 남부지역의 정밀 해저지형 자료를 분석하고 그 해저지형에서 나타난 후포분지 내 pockmark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해 후포분지의 Pockmark 해저지형이 형성된 원인은? 후포분지 북부와 중부 및 남부에서 모두 pockmark가 나타났으며 크기, 형태 및 분포 빈도로 보아 정상 pockmark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pockmark들은 후포 분지에 전체적으로 분포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하의 유체 특히 가스보다는 액체에 의해 형성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동해 후포분지란? 동해 후포분지는 동해안의 울진군과 영덕군에 걸쳐 있는 대륙주변부의 분지이고 후포분지 동쪽 경계부에는 주변 해저지형보다 높은 지형인 후포퇴(Hupo Bank)가 위치하고 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후포분지 북부해역, 왕돌초가 위치한 중부해역과 남부해역의 세 지역에 대하여 정밀 해저지형 조사를 실시하였다.
pockmark의 구조는? 후포분지 정밀 해저지형 자료에서 약 150 ~ 250 m 수심의 범위 해저에 수많은 pockmark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 pockmark들은 전반적으로 지름이 약 20 ~ 50 m이고 그 깊이는 약 4 ~ 6 m로 다양한 크기의 원형 화구형태(crater-like)의 해저지형구조를 보인다. Pockmark 지역의 표층 퇴적물은 세립한 실트로 구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drews, B.D., Brothers, L.L. and Barnhardt, W.A. (2010) Automated feature extrac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of seafloor pockmarks, Belfast Bay, Maine, USA. Geomorph., v.124, p.55-64. 

  2. Choi, S.H., Ahn, Y.G. and Han, H.S. (2008) Seafloor Features around the Hupo Bank on the East Sea. Proc. Conf. Jigu-Mulli-wa-Mulli-Tamsa Korea., v.1, p.93-96. 

  3. Field, M.E. and Jennings, A.E. (1987) Seafloor gas triggered by a northern California earthquake. Mar. Petrol. Geol., v.77, p.39-51. 

  4. Garlan, T., Mathias, X., Brenon, E., Favretto-Cristini, N., Deschamps A., Beucler E., Guyomard, P. and Morio, O. (2018) Circular Sedimentary Figures of Anthropic Origin in a Sediment Stability Context. Jour. Coast. Res., v.85, p.411-415. 

  5. Gafeira, J., Long, D. and Diaz-Doce, D. (2012) Semi-automated characterisation of seabed pockmarks in the central North Sea. Near Surf. Geophys., v.10, p.301-312. 

  6. Gyeongsangbukdo (2015) Feasibility study for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of salty underground water in the Eastern coastal area. Gyeongsangbukdo, 329p. 

  7. Gontz, A.M., Belknap, D.F., Daniel, F. and Kelley J.T. (2001) Evidence for changes in the Belfast Bay pockmark field, Maine. Proc. Geol. Soc. Am., Northeastern Section 36th Annual Meeting. 

  8. Hasiotis, T., Papatheodorou, G., Kastanos, N. and Ferentinos, G. (1997) A pockmark field in the Patras Gulf (Greece) and its activation during the 14/7/93 seismic event. Mar. Petrol., Geol., v.130, p.333-344. 

  9. Hovland, M., Gardner, J.V. and Judd, A.G. (2002) The signicnace of Pockmarks to understanding fluid flow processes and geohazards. Geofluids, v.2, p.127-136. 

  10. Hovland, M. and Judd, A.G. (1988) Seabed Pockmarks and Seepages. Impact on Geology, Biology and the Marine Environment. Grahan & Trotman, London, 293p. 

  11. Jin, Y.K., Chung K.H., Kim, Y.D. and Lee, J.H. (2005) Side-scan sonar survey in the Pechora Sea, Russian Arctic. Jour. Korean Geophy. Soc., v.8, p.187-194. 

  12. Jun, C.P., Kim, C.H., Kim, Y.G. and Lee, S.J. (2014) Paleoenvironmental Reconstruction of the Hupo Basin Using Grain Size and Mineral Analysis. Jour. Miner. Soc. Korea, v.27, p.159-168. 

  13. Kang, N.K, Hwang, I.G. and Kwon, Y.I. (2008) Dstribution of dissolved methane on the seafloor at the gas hydrate drilling sites, Ulleung Basin, Korea. Jour. Geol. Soc. Korea, v44, p.603-614. 

  14. Kelley, J.T., Dickson, S.M., Belknap, D.F., Bernhardt, W.A. and Henderson, M. (1994) Giant seabed pockmarks: evidence for gas escape from Belfast Bay, Maine. Geology, v.22, p.59-62. 

  15. Kim, C.S. (1982) Submarine Geology of Continental Margin of the East Sea, Korea. Min. Geol. Korea, v.15, p.65-88. 

  16. Kim, C.H. and Park, C.H. (2014) Detailed Bathymetry and Seabed Characteristics of Wangdol-cho, Hupo Bank in the East Sea. Econ. Environ. Geol. Korea, v.47, p.533-540. 

  17. Kim, D.C., Lee, G.S., Lee, G.H. and Park, S.C. (2008) Sediment echo types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gas-related acoustic anomalies in Jinhae Bay, southern Korea. Geosci. Jour., v.12, p.47-61. 

  18. Kim, H.C., Lee, Y.M. and Park, J.M. (2006) GIS Spatial D/B Formation of Geothermal Data and Distribution of Heat Flow of Korea. Proc. Conf. Korea Soc. New Renew. Energy, v.1, p.459-460. 

  19. Kim, H.J., Jou, H.T., Yoo, H.S., Kim, K.H. and You, L.S. (2011) High-resolution Seismic Imaging of Shallow Geology Offshore of the Korean Peninsula: Offshore Uljin. Jigu-Mulli-wa-Mulli-Tamsa, v.14, p.127-132. 

  20. Kim, H.J., Lee, G.H., Jou, H.T., Cho, H.M., Yoo, H.S., Park, G.T. and Kim, J.S. (2007) Evolution of the eastern margin of Korea: Constraints on the opening of the East Sea (Japan Sea). Tectonophy., v.436, p.37-55. 

  21. Kim, J.H., Park, M.H., Kong, G.S., Han, H.C., Cheong, T.J., Choi, J.Y., Kim, J.H., Kang, M.H., Lee, C.W. and Oh, J.H. (2010) Geochemical Results and Implication of the Organic Matter in the Holocene Sediments from the Hupo Basin. Econ. Environ. Geol. Korea, v.43, p.1-12. 

  22. Kim, N.J., Yun, S.T., Kim, H.S., Jung, K.M. and Kim, G.B. (2001) Geostatistical Interpretation of Water Quality and Hydrogeochemistry of Shallow Groundwater in the Uljin Area, Korea. Econ. Environ. Geol. Korea, v.34, p.175-192. 

  23. Lee, G.H., Kim, D.C., Kim, H.J., Jou, H.T. and Lee, Y.J. (2005) Shallow gas in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 Strait shelf mud off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Cont. Shelf Res., v.25, p.2036-2052. 

  24. Lee, K.N. and Myoung, J.G. (2003) Sustainable Utilization and Management Scheme in Wangdol-cho Surrounding Sea Area. Ocean and Polar Res., v.25, p.331-345. 

  25. Lee, S.J., Kim, C.H., Jun, C.P., Lee, S.J. and Kim, Y.G. (2015)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Marine Sediments Cores from Uleung Basin and Hupo Basin, East Sea. Jour. Miner. Soc. Korea, v.28, p.71-81. 

  26. Park, H.T., Yoo, D.G., Han H.S., Lee, J.M. and Park, S.C. (2012) Acoustic Characteristics of Gas-related Structures in the Upper Sedimentary Layer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Econ. Environ. Geol. Korea, v.45, p.513-523. 

  27. Shim, J.M., Jin, H.G., Sung, K.T., Hwang, J.D., Yun, S.H., Lee, Y.H., Kim, Y.S. and Kwon, K.Y. (2008) The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in Winter and Summer Around Wangdol-cho. Jour. Environ. Sci. Korea, v.17, p.1403-1411. 

  28. Soter, S. (1998) The Aigion earthquake of 1995: Macroscopic anomalies. In: Ancient Helike and Aigialein.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Aigion, (eds Katsonopoulou, D., Schildardi, D., Soter, S.), Helike Society, Athens, p.464-471. 

  29. Stieglitz, T.C. (2012) The Yongala's halo of holes-systematic bioturbation close to a shipwreck. In: Seafloor geomorphology as benthic habitat: GeoHab Atlas of seafloor geomorphic features and benthic habitats, (eds. Harris PT, Baker EK), Elsevier, London, p.277-287. 

  30. Suk, B.C. (1989) Quaternary sedimentation processes, structures and sea level changes in the East China Sea, the Yellow Sea and the Korea-Tsushima Strait regions. Ph.D. Thesis, Univ. of Tokyo, 246p. 

  31. Yoo, D.G., Kang, D.H., Koo, N.H., Kim, W.S., Kim, G.Y., Kim, B.Y., Chung, S.H., Lee, H.Y., Park, K.P., Lee, G.H. and Park, S.C. (2008) Geophysical Evidence for the occurrence of gas hydrate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Jour. Geol. Soc. Korea, v.44, p.645-655. 

  32. Yoon, S.H. and Chough, S.K. (1995) Regional strike slip in the eastern continental margin of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Bull. Geol. Soc. Am., v.107, p.83-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