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울릉도 너도밤나무림의 미세지형별 생태적 특성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by Micro-Topographies of Beech forest in Ulleung Island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3 no.6, 2019년, pp.686 - 694  

한상학 (국립생태원 기후변화연구팀) ,  윤충원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송주현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김호진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이정은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윤이슬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유윤서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이상훈 (국립생태원 기후변화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울릉도 너도밤나무림의 동태변화를 통한 유지기작을 연구하기 위하여 알봉분지에서 성인봉 사이 소능선부, 사면상부 및 계곡부를 포함한 너도밤나무가 우점하는 임분 1ha(20m×20m, 25개소)를 대상으로 흉고직경급 분포, 중요치, 종조성 분석을 통해 미세지형별 너도밤나무림의 임분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너도밤나무림 전체에서 흉고직경급 10cm 미만에서는 소능선부와 사면상부가 계곡부에 비하여 개체수가 많이 나타났으며, 흉고직경급 10-25cm에서는 소능선부의 개체수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흉고직경급 25-45cm에서는 사면상부, 45cm 이상의 계곡부의 개체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모든 지형에서 흉고직경급 10cm 미만의 너도밤나무가 다수 분포하고 있는 것은 종자번식이 아닌 영양번식 또는 교란에 의한 맹아갱신인 것으로 판단된다. 지표종 분석결과 소능선부에서는 솔송나무, 만병초, 호자덩굴, 섬벚나무, 마가목, 큰두루미꽃 등 8종이, 계곡부에서는 풍게나무, 관중, 난티나무, 섬노루귀, 말오줌나무, 큰연영초, 공작고사리, 황벽나무 8종이 유이하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long-term changes to beech forest due to climate change in Ulleung-do. To study the traits of the stand structure of beech forest with micro-topography,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the basal area, important values, and indicated species in a small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울릉도 너도밤나무림의 변화 양상을 장기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1. 너도밤나무림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 자료를 축적하고, 2. 소능선, 사면상부 및 계곡부의 미세지형에 따른 너도밤나무림의 군집구조의 특성을 제시하여 효율적인 보전 및 관리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생이란 무엇인가? 식생은 지표면에 생육하고 있는 전체 식물의 집단으로 대개 생육지의 환경과 반응해서 결정된 종들이 모인 집단 즉, 군락형태로 존재하고 있어 예로부터 이의 유형화를 통하여 대상지역 산림 생태계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본 단위로 활용되고 있다. 산림식생의 유형화와 식생도 작성은 대상 임지를 생태적으로 건전한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계획 수립과 과거의 토지 이용 패턴을 규명하는데 있어 아주 중요한 자료이다.
기후변화가 섬에 격리된 특산생물 종에 미치는 영향은? 이러한 기후변화는 특히 섬 생물종의 분포와 다양성 및 생태계에도 심각한 여향을 미칠 수 있다(Ingram and Dawson, 2005). 또한 섬에 격리된 특산생물 종은 대체로 내륙 분포종에 비해 유전적 다양성이 낮고 유전적 변이의 감소율이 크기 때문에 소멸되거나 멸종될 가능성이 높다(Frankham, 1996).
너도밤나무의 분포 특징은? )은 참나무과에 속하며 유럽, 아시아 및 북미에 걸쳐 약 1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너도밤나무(Fagus engleriana)는 Korea National Arboretum(2008)에서 IUCN 기준에 의해 재평가되어 희귀식물 LC등급(약관심종, Least Converned)으로 평가 되어 울릉도 서면 태하동의 너도밤나무군락은 천연기념물 제 50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너도밤나무는 울릉도 성인봉을 중심으로 해발 400-900m 까지분포하며, 토심이 깊고 비옥, 적윤한 곳에서 생육이 좋으며,특히 내음성이 강하고 한그루에서 여러 개의 수간이 발달함으로써 눈사태를 예방하는데도 기여하고 있다(Hong,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rbour, M.G., J.H. Burk and W.D. Pitts(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2nd Ed.). The Benjamin Cummings Publishing Co. Menlo Park, 604pp. 

  2. Cho, Y.C., J.K. Hong, H.J. Cho, K.H. Bae and J.S. Kim(2011) Structure and understory species diversity of Pinus parviflora - Tsuga sieboldii forest in Ulleung Island. Journal Korean Forest Society 100(1): 34-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ung, J.M., S.M. Hwang, Y.M. Kim, J.K. Shin and M.S. Kim(2010) Stand structure and dynamics in forests around Nari Basin of Ulleng Island,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1): 23-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5. Dufrene, M. and P. Legendre(1997) Species assemblages and indicator species: the need for a flexible assymetrical approach. Ecological Monographs 67: 345-366. 

  6. Ford, E.D.(1975) Competition and stand structure in some even-aged plant monocultures. Journal of Ecology 63(1): 311-333. 

  7. Frankham, R.(1996) Do island populations have less genetic variation than mainland populations. Heredity 78: 311-327. 

  8. Harcombe, P.A. and P.H.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 precesses in Southern Texas forest. Forest Science 24: 153-166. 

  9. Hong, S.C., S.H. Byen and S.S. Kim(1987) Colored illustrations of trees and shrubs in Korea. Gyemyengsa, Korea, 310pp. (in Korean) 

  10. Hong, S.C., Y.W. Kim, J.H. Park, S.H. Oh, J.S. Kim and B.T. Jang(2002) Wild plants of Ulleung Islands. Dongamunhwasa, Daegu, 404pp. (in Korean) 

  11. Ingram, J.C. and T.P. Dawson(2005) Climate change impact and vegetation response on the island of madagascar. Philosophical Tra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363: 55-59. 

  12. Kim, H.J., C.W. Yun, H.K. Park, H.S. Shin, S.H. Lee, E.S. Doh, J.P. Chang, M.S. Choi, J.K. Yang, K.H. Bae and H.J. Cho(2011) Forest stand structure and interspecific association in the habitat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Journal Korean Forest Society 100(4): 565-5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J.W. and Y.K. Lee(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science, Seoul, 540pp. (in Korean) 

  14. Korea National Arboretum(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332pp. (in Korean) 

  15. Korea National Arboretum(2014a) Korea plant names index committee. http://www.nature.go.kr. 

  16. Korea National Arboretum(2014b)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http://www.nature.go.kr. 

  17. Lee B.C. and L.S. Shim(2011)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of natural growth region in Rhododendron brachycarpum.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0(10): 1319-13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J.H. and S.C. Hong(2006) Forest vegetation types and its life-form composition in Ulleung Island, Korea. Journal Korean Forest Society 95(3): 282-2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J.H., H.J. Cho, B.C. Lee, S.H. Oh and K.H. Bae(2007) Forest vegetation typ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eongin-bong in Ulleung Island,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9(1): 37-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999pp. (in Korean) 

  21. Mawdsley, J.R., R.O. Malley and D.S. Ojima(2009)A review of climate-change adaptation strategies for wildlife management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Conservation Biology 23(5):1080-1089. 

  22. Mcmun, B. and M.J. Mefford(2011) PC-ORD, Multivariate an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6.0. MjM Software Desing, Gleneden Beach, Oregon, 237pp. 

  23. Microsoft(2013) Microsoft Excel 2013. Microsoft Corporation. 

  24. Mohler, C.L., P.L. Marks and D.G. Sprugel(1978) Stand structure and allometry of tree during self-thinning of pure stands. Journal of Ecology 66(2): 599-614. 

  25. Nakai, T.(1919) Report on the vegetation of the Island Ooryongto or Dagelet Island, Corea. The Government of Chosen, Seoul. (in Japanese). 

  26. Oh, S.J., J.G. Koh, E.S. Kim, M.Y. Oh and S.C. Koh(2001) Diurnal and seasonal variation of chlorophyll fluorescence from Korean Fir plants on Mt. Hall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19(1): 43-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Oh, S.Y.(1978) Floral studies on the vascular plants of the Dagelet island. Research Review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5: 131-2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Song, H.K., M.J. Lee, S. Lee, H.J. Lee, Y. Kim, U. Ji and O.W. Kwon(2003) Vegetation structures and ecological niche of Quercus mongolica for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92(4): 409-4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Yang, S.G., H.D. Jang, B.M. Nam, G.Y. Chung, R.Y. Lee, J.H. Lee and B.U. Oh(2015) A florisitic study of Ulleunggo Island in Korea. Korea Journal of Plant Taxonomy 45(2): 192-212. 

  30. Yim, K.B. and K.Y. Ahn(1973)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population of Dagelet Island in Korea and its importance of ene reservation. Journal of the Kor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 9-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Yun, C.W.(2016) Field Guide to Trees and Shrubs. Geobook, Korea, 703pp.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