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돼지감자 분말 첨가 발효유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ermented Milk Supplemented with Helianthus tuberosus Powder 원문보기

Journal of milk science and biotechnology = 한국유가공학회지, v.37 no.3, 2019년, pp.196 - 205  

박병배 (충남대학교 동물바이오시스템과학과) ,  게렐튜야 렌친핸드 (충남대학교 동물바이오시스템과학과) ,  남명수 (충남대학교 동물바이오시스템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돼지감자 분말을 첨가한 발효유 제조의 이화학적 분석을 통해서 돼지감자를 식품소재로써 활용하고자 첨가량에 따른 발효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돼지감자 분말 1%, 3%, 5% 첨가 발효유 중 5% 첨가구가 산 생성이 가장 우수하였고, 유산균 수도 가장 높게 생장하였다. 또한, 유산 생성이 활발하였고, 항산화 활성항균활성도 높았다. 점도는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는데, 물성적인 측면에서 고려할 사항으로 사료된다. 돼지감자분말 첨가 발효유 생산이 유가공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lianthus tuberosus is a perennial plant in the genus, Asteraceae. Pork potato has various pharmacological functions such as improving constipation, preventing bowel disease, inhibiting colon cancer, reducing serum cholesterol, lowering blood lipids, and enhancing blood sugar. This study investig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이 있는 돼지감자 분말을 첨가한 발효유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유가공산업에 기초 자료로 응용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돼지감자(Helianthus tuberosus)란 무엇인가? 돼지감자(Helianthus tuberosus)는 국화과 해바라기속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한대지역에서 온대지역까지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돼지감자, 뚱딴지 등으로 불리고 있다[5-7]. 돼지감자는 민간요법에서 당뇨병과 류마티스 치료를 위해 사용되어 왔으며, 변비 개선, 장 질환 예방, 대장암 발생 억제, 혈청 콜레스테롤 감소, 혈중 지질 저하, 혈당 강화 및 비만 개선 효과 등 다양한 약리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돼지감자가 가지는 효능에는 무엇이 있는가? 돼지감자(Helianthus tuberosus)는 국화과 해바라기속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한대지역에서 온대지역까지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돼지감자, 뚱딴지 등으로 불리고 있다[5-7]. 돼지감자는 민간요법에서 당뇨병과 류마티스 치료를 위해 사용되어 왔으며, 변비 개선, 장 질환 예방, 대장암 발생 억제, 혈청 콜레스테롤 감소, 혈중 지질 저하, 혈당 강화 및 비만 개선 효과 등 다양한 약리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돼지감자 분말 첨가량이 많은 발효유일수록 또한 발효 시간이 길수록 항균효과가 높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07로 조사되어 돼지감자 분말 첨가량이 많은 발효유일수록 또한 발효 시간이 길수록 항균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유산균은 유산 및 초산과 같은 대사산물을 생산함으로써 pH를 낮추어 유해균의 생장을 억제[23]하고, 유산균이 생산하는 초산과 프로피온산은 세포막과 상호반응하여 세포내 산성화와 단백질 변성을 유발시킨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Dairy statistics yearbook. Korea Dairy Committee. 2018. p. 140. 

  2. Metchnikoff E. The prolongation of life. New York, NY: Arno Press; 1908. 

  3. Mistuoka T. Bifidobacteria and their role in human health. J Ind Microbiol. 1990;6:263-268. 

  4. Ayebo AD, Angelo IA, Shahani KM. Effect of ingesting Lactobacillus acidophilus milk upon fecal flora and enzyme activity in humans. Milchwissenschaft. 1980;35:730-733. 

  5. Kim JW, Kim JK, Song IS, Kwon ES, Youn KS.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Jerusalem artichoke leaves with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42:68-75. 

  6. Kim HN, Yu SY, Yoon WB, Jang SM, Jang YJ, Lee OH.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ot-air dried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4;46:73-78. 

  7. Suh KH, Kim KH.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Helianthus tuberosus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14;24:126-135. 

  8. Yuan X, Gao M, Xiao H, Tan C, Du Y.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bioactive substances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leaves. Food Chem. 2012;133:10-14. 

  9. Kim JL, Bae CR, Cha YS. Helianthus tuberosus extract has anti-diabetes effects in HIT-T15 cells. J Korean Soc Food Sci. 2010;39:31-35. 

  10. Carabin IG, Flamm WG. Evaluation of safety of inulin and oligofructose as dietary fiber. Regul Toxicol Pharmacol. 1999;30:268-282. 

  11. Marshall RT.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dairy product. 16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993. p. 299-308. 

  12. Saidi B, Warthesen JJ. Analysis and stability of orotic acid in milk. J Dairy Sci. 1989;72:2900-2905. 

  13. Singleton VL, Rossi JA.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965;16:144-158. 

  14. Ahn CS, Yuh CS, Bang I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milk containing mulberry leaf extract. Korean J Food Nutr. 2009;22:272-278. 

  15. Kim KH, Ko YT. The preparation of yogurt from milk and cere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3;25:130-135. 

  16. Jung BM, Shin TS. Organic acids, free sugar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by type of Jerusalem Artichok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7;46:822-832. 

  17. Kim YS, Lee SJ, Hwang JW, Kim EH, Park PJ, Jeon BT.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Helianthus tuberosus L. leaves on t-BHP induced oxidative stress in chang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1;40:1525-1531. 

  18. Sato M, Ramarathnam N, Suzuki Y, Ohkubo T, Takeuchi M, Ochi H. Varietal difference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wines from different sources. J Agric Food Chem. 1996;44:37-41. 

  19. Rosengard BR, Cochrane DE. Complement-mediated cytolysis: A quick, simple method for determining levels of immunoglobulin E bound to mast cells. J Histochem 1983;31:441-444. 

  20. Jhon DY, Kim MH. Studies on inulase form Jerusalem artichoke. J Korean Soc Food Nutr. 1988;17:205-210. 

  21. Chae EM, Chol EH. Optimization for alcohol fermentation by Kluyveromyces marxianus using Jerusalem artichoke powder.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1991;19:265-271. 

  22. Jeon SH, Lee SW, Shin YS, Lee GS, Ryu IH. Preparation of yogurt from milk added with purple sweet potato. Korean J Food Nutr. 2000;13:71-77. 

  23. Vandenbergh PA. Lactic acid bacteria, their metabolic products and interference with microbial growth. FEMS Microbiol Rev. 1993;12:221-237. 

  24. Huang L, Forsberg CW, Gibbins LN. Influence of external pH and fermentation products on Clostridium acetobutylicum intracellular pH and cellular distribution of fermentation products. Appl Environ Microbiol. 1986;51:1230-12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