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esteem, self-efficacy on the college life adjustmen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20 no.3, 2019년, pp.135 - 146  

강현숙 (수원여자대학교 치위생과) ,  소미현 (수원여자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life adopt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in undergraduates majored in dental hygiene to explore the ways to prevent college dropouts and promote and support college life adaptation. Methods: This study was made with the us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과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의 관련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치위생과 학생들의 중도탈락을 방지하고, 대학생활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과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의 관련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치위생과 학생들의 중도탈락을 방지하고, 대학생활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존중감이란 무엇인가? 자아존중감이란 자신의 가치에 대한 평가로, 자신을 좋아하고, 존중하거나 수용하는 주관적인 신념이라 할 수 있다(Rosenberg 등, 1978). 자기효능감은 어떠한 행동을 하거나, 지속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심리적 요인 중 하나로, 특정 과업 성취를 이루기 위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라 할 수 있으며(Bandura, 1977),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은 구분되어진다.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도를 높이는데 있어서 교수가 갖춰야할 태도는 무엇인가? 이외에도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이 큰 요인으로 교수와의 관계를 보고하고 있어, 교수의 역할이 학 문적 지식만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 인격적인 태도와 인간미를 가지고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관심을 기울이며 학생들과 신뢰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다(김정남와 천혜원, 2013). 단순히 교수와 학생의 관계를 넘어 인생의 멘토와 멘티의 관계로 이어지면서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력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이와 함께 대학생활 적응을 강화하기 위한 대학 차원의 양적, 물적, 제도적 측면의 지원책 마련도 필요하다 하겠다.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강화는 왜 필요한가? 한편, 대학생활적응과 관련한 선행연구 고찰결과, 감성지능과 자기효능감은 대학생활적응과 관련성을 보였으며(오윤정, 2017), 자기존중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정애경 등, 2013). 또한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은 대학생활의 스트레스 대처와 관련성을 보이며, 대학생활 스트레스에 잘 대처하는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음이 보고되었다(유은영, 2009; 장수현과 이미영, 2015). 즉, 대학생활 스트레스 극복 및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 서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을 강화해 줄 수 있는 개입들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권혜진. (2007). 대학생의 대학환경풍토지각과 대학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 권현주. (2011). 전문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석사학위논문]. 부산: 부산대학교 대학원. 

  3. 김근면, 차선경. (2013). 간호대학 신입생의 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표현양면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 322-332. 

  4. 김수미, 정경은. (2013).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11(4), 201-210. 

  5. 김영선, 이정화. (2016). 치위생과 학생의 감성지능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지, 16(6), 919-929. 

  6. 김정남, 천혜원. (2013).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만족도,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외식경영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외식산업학회지, 9(3), 81-92. 

  7. 김지응. (2008). 대학생들의 멘토링 기능이 대학생활적응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학회, 11, 77-101. 

  8. 김혜경, 김경덕. (2007).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13(2), 229-236. 

  9. 박미정, 함영림, 오두남. (2012). 전문대학 신입생의 의사결정역량, 대학생활적응, 학생활만족도정도 및 상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4), 327-337. 

  10. 정효주, 정향인. (2012).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1(3), 188-196. 

  11. 이윤정. (2000). 지방출신 서울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계획[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2. 오윤정. (2017).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디지털융합학회지, 15(7), 307-317. 

  13. 유은영. (2009).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6), 225-236. 

  14. 윤현경, 최미숙, 조우순. (2015).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자아효능감, 자아탄력성, 학과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16(1), 1-14. 

  15. 양숙미. (2000). 정신지체 성인자녀의 부모를 위한 역량강화 집단프로그램 개발과 효과[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16. 정애경, 김지심, 김정화. (2013). 대학생의 자기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가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16(5), 11-18. 

  17. 장수현, 이미영. (2015).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극복력과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2), 255-265. 

  18. 최혜정, 이명선. (2013). 일부 치위생과 신입생의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연관성. 대한보건연구, 39(2), 129-138. 

  19.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2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가족.개인 사례관리 관련 척도이해. 서울: 보건사회연구원. 

  21. 한국교육개발원. (2019). 2018년 교육기본통계. 서울: 교육부. 

  22. Baker RW, Siryk B. (1979). SACQ: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Manual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23.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24.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i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arch Methods 41(4), 1149-1160. 

  25. Komarraju, M., Nadler, D. (2013).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Why do implicit beliefs, goals, and effort regulation matter?.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25, 67-72. 

  26.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Instrument reproduced with premission of morris Rosenberg. New York: Basic Books. 

  27. Rosenberg M, Leonard I. Pearlin. (1978). Social class and Self-Esteem among chidren and adult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4(1), 53-77. 

  28. Tipton RM, Worthington EL. (1984). The measurement of generalized self-efficacy: A study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8, 545-5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