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의수세보원』 십조탕(十棗湯)과 관련된 즙즙한출(濈濈汗出)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Jeubjeubhanchul(濈濈汗出) Related to Sibjo-tang in Donguisusebowon 원문보기

JSCM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31 no.4, 2019년, pp.9 - 17  

김태영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박성식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tention expressed as Jeubjeubhanchul(濈濈汗出) unlike the aspect of perspiration in 『Sanghanlun(傷寒論)』 and 『Donguibogam(東醫寶鑑)』. Methods We examined Sibjo-tang(十棗湯) and the aspect of perspiration focu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 濈을 중심으로 『傷寒論』, 『東醫寶鑑』에 나타난 한출 양상과 이제마가 표현한 한출 양상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십조탕에 대해 『傷寒論』, 『東醫寶鑑』에서의 관점을 살펴보고, 이제마는 십조탕에 대해 어떠한 견해를 갖고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 漐과 濈을 중심으로 『傷寒論』, 『東醫寶鑑』에 나타난 한출 양상과 이제마가 표현한 한출 양상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십조탕에 대해 『傷寒論』, 『東醫寶鑑』에서의 관점을 살펴보고, 이제마는 십조탕에 대해 어떠한 견해를 갖고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십조탕의 인용 목적과 한출 양상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제마가 십조탕과 관련된 한출 양상을 인용 문헌 및 원출처와 달리 표현한 것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 역대 의가들은 땀이 흐르는 양상을 표현하는 데 漐, 濈, 漯 등을 사용하여 단순히 ‘汗出’이라 표현하는 것에 비해 증상을 더욱 세밀하게 표현하고자 하였다.
  • 십조탕에 대해 『傷寒論』, 『東醫寶鑑』에서의 관점을 살펴보고, 이제마는 십조탕에 대해 어떠한 견해를 갖고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십조탕의 인용 목적과 한출 양상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제마가 십조탕과 관련된 한출 양상을 인용 문헌 및 원출처와 달리 표현한 것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 이제마는 십조탕을 『東醫壽世保元』 「少陽人脾受寒表寒病論」에서 소양인 결흉을 설명하기 위해 인용하였으며, 한출 양상을 濈濈汗出이라 하여 『東醫寶鑑』과 본 조문의 원출처인 『傷寒論』에서와 달리 표현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東醫壽世保元』의 십조탕과 관련된 한출 양상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 한출 양상에 대해 漐과 濈을 중심으로 『傷寒論』과 『東醫寶鑑』을 살펴보고, 이제마가 표현한 한출양상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십조탕에 대해 『傷寒論』, 『東醫寶鑑』의 관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십조탕에 대한 이제마의 관점을 소양인 결흉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이제마가 한출 양상을 인용 문헌 및 원출처와 달리 표현한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Lyu JA, Jang WC, Baik YS, Jeong CH.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escriptions of the Perspiration in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0;23(2):205-223. (Korean) 

  2. Yuan KH, Chen HJ, Sun WZ. Interpretations of three words in Chinese ancient medical books. Journal of Beijing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3;36(6):380-382 

  3. Li QZ, Cheng PJ. A study on JilEumSa(迭音?) in ShangHanLun, Geumgweyoryak. Shanghai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1988;5:44-46 

  4. Lee JH, Lee YB. A study on Soyang diseases of Donguibogam.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06;19(1):194-201. (Korean) 

  5. Yoon JJ, Lee YJ, Kim HY, You MA, Xian JJ, Hong MH et al. Improvement Effect of Sibjotang on Blood Glucose and Renal Dysfunction in Type II Diabetic Mice.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017;32(1):15-23. (Korean) 

  6. Kwon OJ, Oh HC, Lee YJ, Kim HY, Tan R, Kang DG et al. Sibjotang Increases Atrial Natriuretic Peptide Secretion in Beating Rabbit Atria. Evidence 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5:1-11. 

  7. Kim DH, Kim SH, Kim YM, Kim JB, Moon JJ, Park WS et al. ShanghanlunJungHae. Kyungido: HanUi publishing Company. 2011. 

  8. Hur J. Donguibogam. Hadong: Donguibogam publishing company. 2016. 

  9. Lee JM(translation by Donguihagyeonguso). Donguisusebowon. Seoul: Yeougang. 2003. 

  10. Qu RY, Sun WZ. "luoluo(??)"and "jiji(??)" in Chimgugapelgyeong(鍼灸甲乙經). Chinese Archive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0;28(10):2067-2068 

  11. Yoo YG. A Research on Duplicate Words in Shang HanLun. Journal of Chinese Humanities. 2012;51:91-107. (Korean) 

  12. Sim JN. A study on Using letter of Chinese medicine's old book. Beijing: hakwonchulpansa. 2007. 

  13. Chae IS. Shanghanlun Translation. Seoul: Kommonsa. 2000. 

  14. Lee JM(translation by Kim DL). Dongyususebowon Gabogubon. Seoul: Mokgwato. 2002. 

  15. Jang WC. Interpretation of chest bind(結胸) in Donguisusebowon based on the chest bind disease of the Soyang pattern.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5;28(4):99-119. (Korean) 

  16. Park SS, Song IB. A study on Medical sourc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Lee Jema's Medical idea(focusing on the quotation of Dongeuisusebowon). The Society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1993;5(1):7-39.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