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음인 알츠하이머 환자의 외상성 지주막하 출혈로 인한 섬망과 인지저하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Delirium and Cognitive Decline Caused by Traumatic Subarachnoid Hemorrhage in Soeumin Alzheimer Patient 원문보기

JSCM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31 no.4, 2019년, pp.57 - 64  

박경훈 (동의대학교 부속 한방병원 사상체질과) ,  김종원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전수형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on the delirium and cognitive decline caused by traumatic subarachnoid hemorrhage in a soeumin alzheimer patient Methods We have treated a 79-year-old Soeumin patient mainly with Doksampalmul-tang. She was already 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알츠하이머치매를 앓고 있다가 외상성지주막하출혈(T-SAH), 뇌내출혈(ICH), 뇌실내출혈(IVH)로 진단 받고 신경외과에 입원하여 보존적 치료받던 중 섬망과 인지저하가 나타난 환자에 대하여 사상의학적으로 접근하여 치료한 결과 유의미한 호전 반응을 이끌어낸 치험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저자는 알츠하이머치매를 앓고 있다가 외상 성지주막하출혈(T-SAH), 외상성뇌내출혈(T-ICH), 외상성뇌실내출혈(T-IVH)로 진단받고 신경외과에 입원 하여 보존적 치료받았으나 인지저하와 섬망이 지속되는 환자에 대하여 사상의학적인 접근을 통해 유의한 치료 효과를 얻은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7) 한열: 더위보다는 추위를 더 많이 탄다.
  • (9) 설진: 설질은 담홍하고 태는 적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망의 원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섬망의 원인으로 원발뇌질환은 뇌손상, 뇌졸중, 두개내압상승, 감염, 뇌전증이 대표적이고, 전신질환으 로는 감염, 심뇌혈관, 내분비장애가 대표적이다. 알코 올중독이나 약물남용, 또는 이에 대한 금단증상도 섬망을 유발할 수 있다.
섬망(delirium)의 치료에는 어떤 약품이 사용되는가 섬망의 치료에는 항정신병약이 사용되는데, 정형성 항정신병제인 할로페리돌(haloperidol)은 추체외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를 요하며 13 , 비정형성 항정신병제(olanzapine, quetiapine, risperidone, aripiprazole) 또한 진정 작용이 있고 심전도 검사에서 QTc기간의 연장이 발생할 수 있고 뇌졸중의 위험을 높인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투약 시 각종 합병증에 대한 주의를 요한다 14 .
섬망이란 무엇인가 섬망은 인지기능의 변동과 주의집중감소가 의식저하 또는 체계적이지 못한 생각과 더불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뇌의 부전상태로, 수면각성주기의 파괴, 졸림, 안절부절못함, 초조, 과민, 감정불안정, 불안, 환각, 착각, 망상, 사고의 장애, 지리멸렬한 발성 등이 나타 나는데, 주로 밤에 악화되는 경향이 있고 비교적 단기 간인 수 시간에서 하루 정도 지속된다 1 . 섬망은 독립된 질병이 아니고 다양한 질병상태에서 나타나는 증후군 이라 할 수 있다 2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Textbook of Neurology. 3rd ed. Seoul, Korea: Beommun Education, 2017:406-408 

  2. Kim YJ, Kim JH, Kim CH, Lee CH. Delirium after Combined Epidural-General Anesthesia in a Elderly Patient: A Case Report. Korean J Anesthesiol. 1999;36(1):165-8. (Korean) 

  3. McManus J, Pathansali R, Stewart R, Macdonald A, Jackson S. Delirium post-stroke. Age Ageing. 2007;36(6):613-8. 

  4. Caeiro L, Ferro JM, Albuquerque R, Figueira ML. Delirium in the first days of acute stroke. J Neurol. 2004;251:171-8. 

  5. Siddiqi N, House AO, Holmes JD. Occurrence and outcome of delirium in medical in-patien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ge Ageing. 2006;35(4):350-64. 

  6. The Korean Society of Oriental Neuropsychiatry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riental Neuropsychiatry. 4th ed. Seoul, Korea: mavor. 2018:434 

  7. Choi BM, Lee SY. The oriental-western literatural study of Delirious speech and Fading murmuring. J Haehwa Medicine. 2000;9(1):745-61. (Korean) 

  8. Jung JE, Jung WH, Seo SK, Kang JH, Han DN. The Effect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s on the Patients with Delirium ; 4 Cases Report. JKMR. 2009;19(2):303-13. (Korean) 

  9. Ban DJ, Lee HS, Kang TG, Han KS, Bae HS, Park SS. Two Case Reports of Taeumin Delirium Patients. J Sasang Constitut Med. 2007;19(3):257-69 (Korean) 

  10. Park SR, Lee SM, Choi SH, Jung YH, Lee SK. A Case Study of Small-Cell Lung Cancer with Multiple Brain Metastases Patient who Showed Improvement of Delirium and Performance Status. J Sasang Constitut Med. 2014;26(4):400-8. (Korean) 

  11. Gustafson Y, Olsson T, Eriksson S, Asplund K, Bucht G. Acute confusional states (Delirium) in stroke patients. Cerebrovasc Dis. 1991;1:257-64. 

  12. Langhorne P, Stott D, Robertson L, MacDonald J, Jones L, McAlpine C, et al. Medical complications after stroke: a multicenter study. Stroke. 2000;31(6):1223-9. 

  13. Lonergan E, Britton AM, Luxenberg J, Wyller T. Antipsychotics for delirium.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7;18(2):CD005594. 

  14. Oldenbeuving AW, de Kort PL, Jansen BP, Roks G, Kappelle LJ. Delirium in acute stroke: a review. Int J Stroke. 2007;2(4):27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