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2 no.12, 2019년, pp.1025 - 1031
유지영 (한양대학교(ERICA) 건설환경공학과) , 김장경 (베이지안웍스) , 유도근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태웅 (한양대학교(ERICA) 건설환경공학과)
가뭄의 발달과 이동패턴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연구인 가뭄의 시공간적인 해석은 지금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6개월 누가 강수량을 기반으로 산정하는 표준강수지수(SPI6)를 사용하여 가뭄사상을 3차원적 개념으로 정량화 했다. 분석기간 동안 총 45개 가뭄사상이 발견되었으며, 가뭄사상별 중심을 이용하여 가뭄사상의 이동패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는 동/서 방향에 비해 남/북 방향으로 가뭄사상이 이동하는 빈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000년 이후 동쪽으로 이동하는 가뭄사상의 발생빈도가 감소한 반면, 북쪽으로 이동하는 가뭄사상은 더욱 장기화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시공간적 가뭄사상의 특성 분석 결과는 가뭄의 발달과 이동패턴을 이해하는 데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re are various research works on the spatio-temporal drought analysis because spatio-temporal behaviors of drought are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and migration patterns of drought events. This study quantified three-dimensional drought events using the 6-month Standard Precipita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가뭄을 해석하는 관점은? | 가뭄은 자연과 인간의 영향으로 인한 사회 시스템의 상호과정 속에서 복잡성을 지닌 심각한 위험 현상이며(Kallis, 2008), 최근 수십 년 동안 빈번하게 가뭄으로 인한 자연 생태계와 인간의 삶은 심각하게 영향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Mishra and Singh, 2010). 일반적으로 가뭄은 시간적(예: 발생 빈도, 심도, 지속기간 등) 및 공간적(예: 면적, 심도 등) 특성에 중점을 두어 해석한다. | |
가뭄이란? | 가뭄은 자연과 인간의 영향으로 인한 사회 시스템의 상호과정 속에서 복잡성을 지닌 심각한 위험 현상이며(Kallis, 2008), 최근 수십 년 동안 빈번하게 가뭄으로 인한 자연 생태계와 인간의 삶은 심각하게 영향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Mishra and Singh, 2010). 일반적으로 가뭄은 시간적(예: 발생 빈도, 심도, 지속기간 등) 및 공간적(예: 면적, 심도 등) 특성에 중점을 두어 해석한다. | |
일반적인 가뭄분석방법의 문제점은? | 기존의 일반적인 가뭄분석방법에서는 관측소별로 구축된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한 후, 연속이론에 따라 가뭄의 시작과 종료 시점을 파악하여 가뭄사상을 결정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1차원적 분석방법은 가뭄의 시공간적인 발생 특성 및 이동경로를 분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경도, 위도, 시간)적 개념을 적용하여 가뭄사상을 정의한 후, 가뭄의 시공간적 확장에 따른 가뭄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가뭄중심의 이동 패턴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Andreadis, K.M., Clark, E.A., Wood, A.W., Hamlet, A.F., and Lettenmaier, D.P. (2005). "Twentieth-century drought in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Journal of Hydrometeorology, AMS, Vol. 6, No. 6, pp. 985-1001. https://doi.org/10.1175/Jhm450.1.
Herrera-Estrada, J.E., Satoh, Y., and Sheffield, J. (2017). "Spatiotemporal dynamics of global drought."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AGU, Vol. 44, No. 5, pp. 2254-2263. https://doi.org/10.1002/2016gl071768.
Konapala, G., and Mishra, A. (2017). "Review of complex networks application in hydroclimatic extremes with an implementation to characterize spatio-temporal drought propagation in continental USA." Journal of Hydrology, Elsevier, Vol. 555, pp. 600-620. https://doi.org/10.1016/j.jhydrol.2017.10.033.
Liu, Y., Zhu. Y., Ren, L., Singh, V.P., Yong, B., Jiang, S., Yuan, F., and Yang, X. (2019). "Understanding the spatio-temporal links betwee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s from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AGU, Vol. 124, No. 6, pp. 3090-3109.
Mishra, A.K., and Singh, V.P. (2010). "A review of drought concepts." Journal of Hydrology, Elsevier, Vol. 391, No. 1-2, pp. 202-216. https://doi.org/10.1016/j.jhydrol.2010.07.012.
National Drought Information Analysis Center (2015). South Korea, accessed 29 September 2019, .
Zhou, H., Liu, Y., and Liu, Y. (2019). "An approach to tracking meteorological drought migr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Wiley, Vol. 55, pp. 3266-3284. https://doi.org/10.1029/2018WR023311.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