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측우기 자료를 이용한 한강 유출량 추정
Estimation of Han River runoff using Cheugugi dat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2 no.12, 2019년, pp.1067 - 1074  

문장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초록

우리나라에는 측우기에 의한 강수량 관측 자료가 장기간 존재하고 있으나 이를 수자원 계획 수립 등에 활용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측우기 자료를 수자원 계획 수립 과정 등에 하나의 시나리오로 활용할 수 있도록 측우기 자료를 기반으로 한강유역의 하천유출량을 추정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강수량-유출량 관계를 도출하여 제시한 후 그 결과를 측우기 관측 강수량 자료에 적용하여 하천유출량 자료를 추정하였다. 추정된 하천유출량에 대한 분석을 통해 1900~1902년까지 3년 연속으로 매우 심각한 가뭄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901년의 경우 평균 대비 8.6%의 매우 적은 유출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수자원 계획이나 가뭄 대응 계획 수립 과정에서 고려할 수 있는 시나리오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there are long-term rainfall observation data using Cheugugi, but it is relatively insufficient to use the data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In this study, river runoff is estimated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using Cheugugi so that it can be used as a scenario for the wa...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측우기 관측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동일 기간 하천유출량을 추정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하천유출량 추정을 위해 먼저 근대 관측 기간의 서울 지점 강수량 자료와 한강 하류 고안 관측소의 하천유출량 관측 자료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Jhun and Moon(1997)에 의해 복원된 측우기 관측 강수량자료를 이용하여 한강유역의 하천유출량을 추정하여 제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측우기에 의한 관측 자료가 서울 지역에 대한 관측 자료임을 고려하여 서울 지점 근대 강수 관측 자료와 한강하류 하천유출량 관측 자료와의 관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부족한 하천유량 자료를 보완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관측 자료가 많은 강수량 등 기상자료와 장기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하천유출량을 모의하고 그 결과를 수자원 계획 수립 등에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 계획 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장기간의 하천유량 자료를 생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측우기 관측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서울 지점 근대 관측 강수량 자료와 한강하류 고안 지점의 하천유출량 관측 자료를 비교하여 강수량-유출량 관계식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측우기 관측 강수량 자료에 적용하여 1700년대 후반부터 1900년대 초반까지의 하천유출량을 추정하여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Jhun and Moon(1997)에 의해 복원된 측우기 관측 강수량자료를 이용하여 한강유역의 하천유출량을 추정하여 제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측우기에 의한 관측 자료가 서울 지역에 대한 관측 자료임을 고려하여 서울 지점 근대 강수 관측 자료와 한강하류 하천유출량 관측 자료와의 관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측우기 관측 자료에 적용함으로써 조선시대 하천유출량을 추정하고 그 결과를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측우기에 의한 강수량 관측 자료의 현황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에는 측우기에 의한 강수량 관측 자료가 장기간 존재하고 있으나 이를 수자원 계획 수립 등에 활용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측우기 자료를 수자원 계획 수립 과정 등에 하나의 시나리오로 활용할 수 있도록 측우기 자료를 기반으로 한강유역의 하천유출량을 추정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측우기 관측 강수량 자료로 하천유출량 분석을 통해 확인한 가뭄이 발생한 시기는 언제인가? 강수량-유출량 관계를 도출하여 제시한 후 그 결과를 측우기 관측 강수량 자료에 적용하여 하천유출량 자료를 추정하였다. 추정된 하천유출량에 대한 분석을 통해 1900~1902년까지 3년 연속으로 매우 심각한 가뭄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901년의 경우 평균 대비 8.6%의 매우 적은 유출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물 관련 재해에 대응하기 위해 파악해야 하는 특성은 무엇인가? 홍수나 가뭄 등 물 관련 재해에 대한 대응능력을 향상하고 효율적인 물 관리를 위한 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수문기상학적 특성에 대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장기간의 수문기상 자료가 필요하며, 특히 강우로 인해 발생되는 하천유출량에 대한 관측 자료가 필수적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강수량, 유출량 등 수문기상학적 인자에 대한 근대적인 관측은 19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 H., Kim, S.W., Chun, Y., Park, H.Y., and Kang, W.J. (2015). "A histrorical review on the introduction of Chugugi and the rainfall observation network during the Joseon dynasty." Atmosphere, KMS, Vol. 25, No. 4, pp. 719-734. 

  2. Cook, E.R., Meko, D.M., Stahle, D., and Cleveland, M.K. (1999). "Drought reconstructions for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 Journal of Climate, AMS, Vol. 12, pp. 1145-1162. 

  3. Davi, N.K., Jacoby, G.C., Curtis, A.E., and Baatarbileg, N. (2006). "Extension of drought records for central asia using tree rings: west-central Mongolia." Journal of Climate, AMS, Vol. 19, pp. 288-299. 

  4. Davi, N.K., Jacoby, G.C., D'Arrigo, R.D., Baatarbileg, N., Jinbao, L., and Curtis, A.E. (2009). "A tree-ring-based drought index reconstruction for far-western Mongolia: 1565-2004."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Wiley, Vol. 29, No. 10, pp. 1508-1514. 

  5. Fan, Z.X., Brauning, A., and Cao, K.F. (2008). "Tree-ring based drought reconstruction in the central Hengduan Mountains region (China) since A.D. 1655."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Wiley, Vol. 28, No. 14, pp. 1879-1887. 

  6. Gonzalez, J., and Valdes, J.B. (2003). "Bivariate drought recurrence analysis using tree ring reconstruction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8, No. 5, pp. 247-258. 

  7. Hwang, S.H., Kim, H.S., Wone, S.Y., and Kim, J.H. (1999). "Drought monitoring using tree-ring reconstructed flow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19, No. II-5, pp. 557-564. 

  8. Hwang, S.H., Kim, J.H., Yoo, C., and Jung, S.W. (2010). "A probabilistic estimation of changing points of Seoul rainfall using BH bayesian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ion, KWRA, Vol. 43, No. 7, pp. 645-655. 

  9. Hwang, S.H., Kim, J.H., Yoo, C., Jung, S.W., and Joo, J.G. (2009a). "A study on the change of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daily Seoul rainfall using markov chai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2, No. 9, pp. 747-758. 

  10. Hwang, S.H., Kim, J.H., Yoo, C., Jung, S.W., and Yoo, D. (2009b). "A statistical homogeneity analysis of Seoul rainfall using bootstrap."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2, No. 10, pp. 795-807. 

  11. Jhun, J.G., and Moon, B.K. (1997). "Restorations and analyses of rainfall amount observed by chukwookee." Asia-Pac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Springer, Vol. 33, No. 4, pp. 691-707. 

  12. Kim, D., Yoo, C., and Kim, H.J. (2007a). "Evaluation of major storm events both measured by chukwooki and recorded in annals of chosun dynasty: 2. quantitative approach."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0, No. 7, pp. 545-554. 

  13. Kim, H.S., Hwang, S.H., and Kim, J.H. (1998). "Reconstruction of river flows using tree-ring series and neural net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18, No. II-6, pp. 583-589. 

  14. Kim, J.E., Yu, J.S., Lee, J.H., and Kim, T.W. (2018). "Drought risk analysis in Seoul using cheugugi and climate change scenario based rainfall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8, No. 3, pp. 387-393. 

  15. Kim, K., Yoo, C., Park, M., and Kim, H.J. (2007b). "Evaluation for usefulness of chukwookee data in rainfall frequency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0, No. 11, pp. 851-859. 

  16. Kwak, J.W., Han, H., Lee, M., Kim, H.S., and Mun, J. (2015). "Annual precipitation reconstruction based on tree-ring data at seorak."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KSWE, Vol. 31, No. 1, pp. 19-28. 

  17. Li, J., Chen, F., Cook, E. R., Gou, X., and Zhang, Y. (2007). "Drought reconstruction for north central China from tree rings: the value of the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Wiley, Vol. 27, No. 7, pp. 903-909. 

  18. Maxwell, R.S., Hessl, A.E., Cook, E.R., and Pederson, N. (2011). "A multispecies tree ring reconstruction of potomac river streamflow (950-2001)." Water Resources Research, Wiley, Vol. 47, No. 5, pp. 1-12. 

  19. Meko, D.M., and Woodhouse, C.A. (2005). "Tree-ring footprint of joint hydrologic drought in sacramento and upper colorado river basins, western USA." Journal of Hydrology, Elsevier, Vol. 308, No. 1-4, pp. 196-213. 

  20.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11). History and future of Korean hydrological survey. 

  21. Park, M., Yoo, C., and Kim, H.J. (2010). "Comparison of chukwooki and modern data using annual maximum rainfall event se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0, No. 2B, pp. 137-147. 

  22. Park, W.K., and Seo, J.W. (2000). "Reconstruction of May-June precipitation (253 years: A.D. 1746-1998) in east-coastal region (Yungdong) of Korea from tree rings of pinus densiflora S. et Z."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KISTI, Vol. 14, No. 2. pp. 87-99. 

  23. Park, W.K., Seo, J.W., Liu, Y., Kim, Y.J., and Han, S.W. (2001). "Reconstruction of April-August precipitation in Mt. sorak region from tree rings."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KISTI, Vol. 15, No. 1. pp. 47-52. 

  24. Pederson, N., Jacoby, G.C., D'Arrigo, R.D., Cook, E.R., Buckley, B.M., Dugarjav, C., and Mijiddorj, R. (2001). "Hydrometeorological reconstructions for northeastern Mongolia derived from tree rings: 1651-1995." Journal of Climate, AMS, Vol. 14, pp. 872-881. 

  25. Sauchyn, D., and Ilich, N. (2017). "Nine hundred years of weekly streamflows: stochastic downscaling of ensemble tree-ring reconstructions." Water Resources Research, Wiley, Vol. 53, No. 11, pp. 9266-9283. 

  26. Stagge, J.H., Rosenberg, D.E., DeRose, R.J., and Rittenour, T.M. (2018). "Monthly paleostreamflow reconstruction from annual tree-ring chronologies." Journal of Hydrology, Elsevier, Vol. 557, pp. 791-804. 

  27. Yeon, J.M., Byun, S.H., Lee, J.K., and Kim, T.W. (2007). "Evaluation of droughts in Seoul using two-dimensional drought frequency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0, No. 4, pp. 335-343. 

  28. Yoo, C., Kim, D., and Kim, H.J. (2007). "Evaluation of major storm events both measured by chukwooki and recorded in annals of chosun dynasty: 1. qualitative approach."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0, No. 7, pp. 533-543. 

  29. Yoo, C. (2000). "An investigation of the recurrence possibility of long dry periods shown in the annual rainfall data at Seou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3, No. 5, pp. 519-526. 

  30. Yoo, C., Kim, P.Y., and Noh, J.K. (2000). "A study on the re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t and dry years appeared in Seoul annual rainfall dat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3, No. 3, pp. 307-3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