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도계 및 Mohr법으로 측정된 HMR 제품의 나트륨 함량과 제품 영양표시 상의 나트륨 함량 비교
Comparison of Sodium Contents in Nutrition Facts and Sodium Contents of HMR products by Salinity Meter and Mohr Method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4 no.6, 2019년, pp.761 - 770  

김순미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희옥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how much sodium in food could be detected using a salinity meter. First, the salinity of mixed solutions of 0 to 6% sugar, 0 to 5% oil, and 0 to 6.4% MSG in a 1% NaCl solution was measured using a salinity meter and a Mohr titration method, and the results...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CP-OES 방법으로 나트륨을 정량하여 영양표시를 하는 HMR 제품의 염도를 염도계와 Mohr법으로 측정한 후 환산한 나트륨 함량을 제품 영양정보 상의 나트륨 함량과 비교해 봄으로써 염도계 측정 결과가 실제 나트륨 함량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조리에 자주 사용되는 양념인 설탕, 기름과 나트륨을 함유하고 있는 MSG가 염도계와 Mohr법으로 측정하는 나트륨 함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Figure 1]과 같이 NaCl 용액에 첨가된 설탕 및 기름이 나트륨 함량 측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영양정보 상의 나트륨 함량과 염도계 및 Mohr법으로 환산한 나트륨 함량 그리고 영양정보 상의 에너지, 탄수화물, 당, 지방 및 단백질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Table 1]에 표시한 각 제품의 조리 후 무게 100 g을 기준으로 에너지 및 각 영양소의 무게를 계산한 후 분석한 결과는 [Figure 2]와 같다.
  • 본 연구는 HMR 제품 내 나트륨을 정량하기에 앞서 조리 중 자주 사용하게 되는 양념인 설탕과 기름 그리고 그 자체 약 12.3%의 나트륨을 함유하고 있는 MSG (C5H8NNaO4·H2O, 분자량이 187.13)가 나트륨 정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였으며, 이 결과를 [Figure 1]에 제시하였다.
  • 염도계는 개인이 스스로의 짠맛 기호 및 나트륨 섭취량을 객관적으로 인지하기 위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이다. 본 연구는 염도계로 염도를 측정하여 환산한 나트륨 함량이 실측치를 얼마나 반영할 수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ICP-OES 방식으로 측정되는 HMR 제품의 나트륨 영양표시 함량과 식품분석 실험에서 사용하는 방법인 질산은 적정법인 Mohr법 결과치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염도계 측정 방식으로도 개인의 짠맛 기호 수준뿐만 아니라 나트륨 섭취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해 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본 연구는 Mohr법과의 비교를 위하여 혼합, 여과, 원심분리 및 희석 등 시료의 전처리를 동일하게 해야 했으므로 염도계를 사용하는 본래의 취지인 간편성을 유지할 수 없었다는 점이 연구의 제한점이라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음식의 염도 측정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염도계가 식품 속에 함유된 나트륨 함유량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다음 2가지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음식 조리에 흔히 사용되는 설탕과 기름이 염도 측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MSG에 함유된 나트륨이 염도계를 통해 어느 정도 측정이 되는 지를 살펴보기 위해 1% NaCl을 함유한 용액에 0~6%의 설탕, 0~5%의 기름 및 0~6.
  • 본 연구에서는 나트륨 측정 방법에 따른 나트륨 함량의 차이를 보기 위해 설탕, 기름, MSG 등 기본적인 양념류만을 선택했으며, 이들 양념류가 복합적으로 함유된 상태 그리고 이들을 냉장, 냉동 또는 가열했을 때의 나트륨 측정 결과의 변화 등을 살펴보지는 않았다. 음식은 주재료와 부재료, 조미를 위해 첨가하는 양념류 등이 각각 다르며 이들 식재료를 구성하는 성분 사이의 화학반응과 함께 조리 과정을 통해 여러 성분의 변화를 겪게 되므로 측정되는 나트륨 함량에도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트륨이란? 나트륨의 주요 공급원인 소금은 음식에 짠맛을 부여하는 기본적인 조미료이며, 모든 음식은 짠맛에 섞여 음식 고유의 맛을 내게 되므로 짠맛의 정도는 음식의 맛을 결정짓는 주된 요소가 된다(Han 1999). 나트륨은 인체 체중의 약 20% 를 차지하는 세포외액에 가장 풍부한 양이온으로, 혈청 내 정상 농도가 136~145 mEq/L 정도로 체내에 다량 존재한다. 나트륨의 실제적인 하루 최소 필요량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하루 200 mg 정도로 낮을 것으로 추정되며(Mahan et al.
전기 전도도를 이용한 염도 측정법의 원리는? 우선 전기 전도도를 이용한 염도 측정법으로 수용액 상태에서의 염도 측정 방식은 이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는 소금의 주성분인 나트륨은 전기를 잘 통하는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나트륨 농도가 높을 수록 전기저항은 약해진다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기초 식품분석에 주로 사용되는 Mohr법은 용액 내 염소가 질산은(AgNO3)과 반응하여 염화은(AgCl)을 생성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염소의 양을 측정한 다음 소금(NaCl)에서의 염소비율을 이용해 환산함으로써 전체 염분을 측정하는 원리이다.
소금의 특징은? 나트륨의 주요 공급원인 소금은 음식에 짠맛을 부여하는 기본적인 조미료이며, 모든 음식은 짠맛에 섞여 음식 고유의 맛을 내게 되므로 짠맛의 정도는 음식의 맛을 결정짓는 주된 요소가 된다(Han 1999). 나트륨은 인체 체중의 약 20% 를 차지하는 세포외액에 가장 풍부한 양이온으로, 혈청 내 정상 농도가 136~145 mEq/L 정도로 체내에 다량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nfalt T, Jagner, D. 1969. Computer calculation of the interference of ammonium salts in Mohr's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chloride. Talanta 16(4):555-557 

  2. Belcher R, Macdonald A.M.G., Parry, E. 1957. Analytica chimica acta:an international journal devoted to all branches of analytical chemistry v.16, Elservier, Netherlands, pp.524-529 

  3. Beyreuther K, Biesalski HK, Fernstrom JD, Grimm P, Hammes WP, Heinemann U, Kempski O, Stehle P, Sternhart H, Walker R. 2007. Consensus meeting: monosodium glutamate-an update. Eur. J. Clin. Nutr., 61:304-313 

  4. Burney PA. 1987. A diet rich in sodium may potentiate asthma: Epidemiologic evidence for a new hypothesis. Chest., 91(6):143S-148S 

  5. Carbone LD, Bush AJ, Barrow KD, Kang A. 2003. The relationship of sodium intake to calcium and sodium excre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of the hip in postmenopausal African-American and Caucasian women. J. Bone. Miner. Metab., 21:415-420 

  6. Chung Y, Kang M, Kim D, Kang J, Ha JH, Lee Y. 2019. Effects of monosodium glutamate (MSG) on sensory attributes and acceptability of beef and radish soup (Korean soegogi-muguk). J. Kor. Soc. Food Sci. Nutr., 48(5):567-574 

  7. Han JS. 1999. Effect of salt on cook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3):391-401 

  8. Itoh R, Suyama Y, Oguma Y, Yokota F. 1999. Dietary sodium, independent determinant for urinary deoxypyridinoline in elderly women. A cross-sectional study on the effect of dietary factors on deoxypyridinoline excretion in 24-h urine specimens for 763 free-living healthy Japanese. Eur. J. Clin. Nutr., 53(11): 886-890 

  9. Jung J. 2016. Policy trends of sodium reduction. Food Sci. and Industry, 49(2):2-7 

  10. Kim MS. 2017. A study on the sodium and sugar intake reduction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mixed solution of the salt and sweetness. Food Service Industry and Management, 13(1):33-56 

  11. Kim S, Yoon Y, Babajanyan A, Kim J, Lee K. 2007. Concentration of Sodium Chloride Solutions Sensing by Using a Near-Field Microwave Microprobe. J. Kor. Soc. Nondestructive Testing, 27(1):23-30 

  12. Lim AH, Hwang JY, Kim K. 2017. Evaluation of the sodium intake reduction plan for a local government and evidence-based reestablishment of objectives: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J. Nutr. Health, 50(6):664-678 

  13. Mahan LK, Escott-Stump S, Raymond JL. 2012. Krause's Food and the nutrition care process. 13 Ed. Elservier Saunders, Missouri, USA, pp.178-183 

  14. Mickleborough TD. 2005. Dietary salt, airway inflammation, and diffusion capacity in exercise-induced asthma. Med. Sci. Sports Exerc., 37:904-914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 for Koreans 2015 

  17. Murphy C, Cardello AV, Brand JG. 1981. Tastes of fifteen halide salts following water and NaCl: Anion and cation effects. Physiol. & Behavior, 26(6):1083-1095 

  18. Shim E, Yang YJ, Yang YK. 2016. Relationship between thresholds and self-assessed preference for saltiness and sodium intake in young women. J. Nutr. Health, 49(2):88-98 

  19. Song DY, Park JE, Shim JE, Lee JE. 2013. Trends in the major dish groups and food group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0. Kor. J. Nutr., 46(1):72-85 

  20. Stamler R. 1991. Implications of the intersalt study. Hypertension, 17(suppl 1):I16-20 

  21. Tsugane S. 2005. Salt, salted food intake, and risk of gastric cancer: epidemiologic evidence. Cancer Sci., 96(1):1-6 

  22. Yook KJ, Lee ST, Kim JY, Kim JW. 2006. A study of salinity analyzer. Kor. Soc. Marine Engineering, 11:53S-55S 

  23. Atago. Salt meter data book relation to Mohr's method. Available from: https://www.atago.net/en/databook-salt_relationshipmole.php, [accessed 2019. 10. 25] 

  24. Koreatech.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meter. Available from: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00811022&logNo220897604117&parentCategoryNo&categoryNo1&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accessed 2019. 11. 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