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MR 제품과 방송 속 레시피의 영양성분 분석: 국, 찌개, 탕류를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ents between HMR Products and TV Recipes: Focusing on Soup, Stew, and Broth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5 no.3, 2020년, pp.233 - 240  

강혜연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조리외식경영학과) ,  정라나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nutrient content of HMR products and recipes by television chefs. Twelve menu items from the soup, stew, and broth category were chosen from HMR products and TV chef's recipes. The data on the nutrition labeling from the HMR products and TV chef's recipes were calculated usin...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시판 중인 HMR 국, 탕, 찌개류 제품들과 함께 TV 프로그램 속 음식들의 영양성분을 비교했다. 비교기준은 메뉴별, 1회 섭취량 당 영양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를 기반으로 앞으로 HMR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은 국, 찌개, 탕류를 개발할 때, 고객들의 구매요건 및 균형 잡힌 영양성분에 맞춰 건더기의 양과 가격을 올린 프리미엄 라인 제품, 고혈압 환자 및 식이 조절이 필요한 소비자를 위한 저염 라인 제품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전문가들이 출연하여 다양한 요리를 시연하는 TV 정보 프로그램에서는 나트륨 섭취의 심각성을 알리고, 조리법을 보여줄 때 나트륨 함량이 높은 소금을 대체할 수 있는 제품을 사용하며, 장류 이용 시 저염 제품들에 대해 시청자들에게 알려주는 정보 전달의 기능을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재 시판 중인 HMR 제품들과 TV 요리 프로그램 속 국류, 찌개류, 탕류 중 12가지의 음식에 대하여 영양성분을 비교 분석했다. 1인분량은 국류 200 g, 찌개류 230 g, 탕류 250 g (갈비탕 300 g, 삼계탕 400 g)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 1인분량은 국류 200 g, 찌개류 230 g, 탕류 250 g (갈비탕 300 g, 삼계탕 400 g)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요리 프로그램의 레시피를 따라 만들고, 섭취하는 오늘날의 방송 레시피의 영양불균형에 관해 조사하고, 지속적으로 시장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는 HMR 국, 찌개, 탕류 제품들의 영양기준 선정 및 나트륨 저감화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인분을 기준으로 방송레시피 음식들의 열량(23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MR (Home Meal Replacement)의 역사는? 가정간편식의 통용어인 HMR (Home Meal Replacement)은 1990년대 미국을 시작으로 1990년대 후반 일본, 그리고 2000년부터 국내에서는 백화점 식품매장을 중심으로 활성화되어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식품산업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Moomaw 1996; Chung et al. 2007).
2019년 기준으로, HMR 구매 제품 현황은? Lee et al. (2019) 연구에서 소비자들의 HMR 구매 제품 현황을 살펴보면, 국류가 65.0%, 밥류 21.7%, 반찬류 6.7%로 HMR 제품 중 국류의 소비가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2019년 16개의 기업이 가정간편식 시장에 참여하고 있으며, 2016년도부터 2018년도까지 연도별 연속적으로 그 비중이 상승한 품목은 가공밥, 국탕찌개, 즉석국으로 나타났다(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9).
HMR의 영양 성분 중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요소가 있다고 우려되는 이유는? Cho & An(2013)의 연구에 따르면 HMR의 편의성과 가격 등을 고려하여 제품을 만들 때 비만을 유발할 수 있는 식재료의 사용으로 소비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요소가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또, 국내 HMR 제품 중 국, 탕, 찌개류의 영양성분을 비교한 Ohet al.(2019)의 연구에서는 탕류의 경우 국, 찌개류에 비해 콜레스테롤 함량이 뚜렷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찌개류에서는 나트륨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국, 탕, 찌개류 제품은 2014 나트륨 저감화 가이드라인 개발품목에 포함되어 나트륨 함량 조절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대표적인 음식품목 중 하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 SH, An HM. 2013. The effect of purchase motivation and selection attributes of home meal replacement on longterm orientation upon food-related lifestyle.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50:370-391 

  2. Chung L, Yang IS, Lee HY. 2007. What’s the consideration attribute on purchasing the HMR?. Korean J Food Culture, 22:315-322 

  3. Chung SJ, Kang SH, Song SM, Ryu SH, Yoon J. 2006. Nutritional quality of Korean adults' consumption of lunch prepared at home, commercial places, and institutions: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39(8):841-849 

  4. Chung TS. 2019. Change of the age of TV cooking program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6):379-386 

  5. Hong YW, Lee SW. 2017. A study on consumer preference survey for developing Samgyetang and its development strategies-Focused on retorted pouch products. Journal of Digital Design, 17(1):21-30 

  6. Howard S, Adam J, White M. 2012. Nutritional content of supermarket ready meals and recipes by television chefs in the United Kingdom: cross sectional study. BMJ, 345:1-10 

  7. Jiang L, Lee YK. 2017. Analysis of sodium content of representative Korean foods high in sodium from home meal, foodservice, and restaurants.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50(6):655-663 

  8. Jiang L, Shin EK, Seo JS, Lee YK. 2019.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reducing the sodium content and salinity of Korean fermented soybean sauces and representative Korean foods high in sodium.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52(2):185-193 

  9. Kim ES, Yim GS, Choi KS, Jeong GH, Lee MY, Ryu SH, Yoon EK. 2016. A Guideline for Sodium reduction of processed foods. Food Science and Industry, 49(2):8-17 

  10. Kwon HS. 2019. A Study on the Effect of view motives on the view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s of Oneperson media food contents: Focused on ‘Mokbang’ and ‘Cookbang’.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5(6):102-112 

  11. Lee HJ, Lee CH, Lee KS, Jung YJ, Ha SH, Jung YY, Kim DS. 2010. Survey on sodium contents in meals of school foodservice and sodium intakes of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kuk-d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9(1):85-91 

  12. Lee SM, Choi EK, Cho MS, Oh JE. 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consumer preference of the SoupStew HMR new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8):123-136 

  13. Lim HS, Ko YS, Shin D, Heo YR, Chung HJ, Chae IS, Kim HY, Kim MH, Leem DG, Lee YK. 2013. Sodium and potassium content of school meals for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Masan, Gwangju, and Jej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2(8):1303-1317 

  14. Moomaw P. 1996. Home meal replacement finds its place at the table. Restaurant USA, 16(10):22-26 

  15. Oh HI, Choi EK, Jeon EY, Cho MS, Oh JE. 2019. An exploratory research for reduction of sodium of Korean HMR product: Analysis on labeling of Guk, Tang, Jigae HMR produc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3):510-519 

  16. Oh HR, Kim Y. 2015. Food group assignment of Korean Soup & Stew for desirable target pattern draft-Representative nutritional value calculation based on intake and preference of adolescent.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7(2):137-147 

  17. Park HR, Jeong GO, Lee SL, Kim JY, Kang SA, Park KY, Ryou HJ. 2009. Workers intake too much salt from dishes of eating out and food service cafeterias; direct chemical analysis of sodium content.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3(4):328-333 

  18. Park SY, Lee KA. 2016. Study on the salt and sodium content of middle school lunch meals in Gyungsangbuk-do area-focus on application of ‘SamSam Food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5(5):757-764 

  19.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9. Current status of Processed food segment market in 2019. Available from: http://www.atfis.or.kr/article/M001050000/view.do?articleId3260&page&searchKey&searchString&searchCategory, [accessed 2020.03.01]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Health Plan 2010 Available from : https://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35891, [accessed 2020.02.10]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ccessed 2020.02.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