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연구: 우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Depression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 between The Socioeconomic Deprivation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2, 2019년, pp.231 - 247  

김홍철 (경기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 특히 사회경제적 박탈의 하위변수들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이 매개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2차년도(2017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분석방법을 활용하였고, 우울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 하위변수인 주거박탈, 식생활박탈, 사회보장박탈, 사회적박탈, 건강의료박탈, 직업경제박탈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의 하위변수인 주거박탈, 식생활박탈, 사회적박탈, 직업경제박탈, 건강의료박탈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경제적 박탈의 하위변수인 주거박탈, 식생활박탈, 사회적박탈, 직업경제박탈, 건강의료박탈을 경험할수록 우울이 증가하고 삶의 만족도는 낮아지게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노인의 삶의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경제적 박탈 유형 및 우울의 개인적 특성을 반영한 정책과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며, 이때 소득중심의 빈곤개념에서 벗어나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다차원적 결핍을 파악할 수 있는 기준선이 마련되어야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whether depression has mediating effects in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especially of lower variables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the 12th year(2017)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were used. T...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7년 한국복지패널(KOWEPS) 12차 자료[22]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박탈, 특히 사회경제적 박탈의 하위변수별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는 한국사회의 노인 인구 증가로 인한 사회 경제적 변화 속에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차원과 심리정서적 차원의 요인들을 동시에 다차원적으로 검증하며,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수립 및 실천적 함의의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 특히 사회경제적 박탈 하위변수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에 대해 제시한 후,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제언하고자 한다. 특히, 노인 개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박탈 하위변수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경제적 박탈 하위변수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우울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7년 한국복지패널(KOWEPS) 12차 자료[22]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박탈, 특히 사회경제적 박탈의 하위변수별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는 한국사회의 노인 인구 증가로 인한 사회 경제적 변화 속에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차원과 심리정서적 차원의 요인들을 동시에 다차원적으로 검증하며,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수립 및 실천적 함의의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 이와 같이, 대부분의 기존 연구에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심리정서적 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인을 중요시여기고 있지만, 사회경제적 요인의 경우 주로 생산도구로 측정하면서 노인들이 실제 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불이익 및 다차원적인 결핍을 포괄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기존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차원적인 결핍의 빈곤을 분석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박탈의 개념을 활용하여 심리정서적 차원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우울과 함께 삶의 만족도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는 노인의 사회경제적 요인인 다차원적인 물질적 결핍과 심리정서적 요인이 삶의 만족도를 향상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궁극적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 있어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이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 특히 사회경제적 박탈 하위변수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에 대해 제시한 후,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제언하고자 한다. 특히, 노인 개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자신의 전반적인 생활에 대해 만족하는 노인은 얼마나 되는가? 삶의 만족도는 일반적으로 개인이 자신의 삶이나 생활전반에 대하여 행복과 만족을 느끼는 주관적이며 복합적인 감정[1]으로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통계청(2017)의 사회조사에 따르면 자신의 전반적인 생활에 대해 만족하는 노인(60세 이상)은 20.5%로, 5명 중에 1명만이 삶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더불어, OECD의 96개 국가 중에서 노인소득보장 82위, 빈곤율 1위, 자살률 1위가 말해주듯 매우 낮은 실정이다[3].
노년기에 진입하면서 어떤 어려움을 겪는가? 노인들은 노년기에 진입하면서 경제 및 사회활동의 중단 또는 소외로 소득과 활동범위가 축소된다. 또한 은퇴와 함께 재정적 자원의 부족과 더불어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모든 종류의 자원의 결핍을 겪게 되는 총체적 상실의 시간을 맞게 되는데 관계로부터의 박탈에 의해 소외와 고립, 역할의 박탈에 의해 배제와 무위, 경제적 박탈로 인한 빈곤, 건강의 박탈로 인해 의존상태에 놓이게 되며[6], 직업을 상실한 노인은 수입의 감소뿐만 아니라, 역할 상실과 사회적 유대관계의 변화로 자아존중감이 저하되고 외로움과 소외감을 느끼게 된다[7]. 그 결과 인생의 어느 단계보다도 삶의 질이 저하 되기 쉬우며, 심지어 신체적·정신적 질환까지도 초래될수 있다[8][7].
경제성장 및 의료기술의 발달로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가? 한국은 선진국에 비해 급격한 속도로 고령화가 진전 되고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며, 경제성장 및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 기대수명이 연장되어 전 생애에서 노년기가 차지하는 비중도 점점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인구의 고령화와 노인인구의 증가는 이들의 빈곤, 고립, 사회통합 등 사회경제적 욕구와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노인들의 삶의 만족이 정책적 이슈로 인식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4)

  1. 김남희, 최수일, "여성 노인의 신체적.사회적 특성이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241-252, 2011. 

  2. 통계청, 2017 사회조사보고서: 복지.사회참여.문화와 여가.소득과 소비.노동, 통계청, 2017. 

  3. 김수희, 정종화, 송진영,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식적.비공식적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73권, 제3호, pp.167-191, 2018. 

  4. 통계청, 2018 고령화 통계, 통계청, 2018. 

  5. 김새봄, "노인의 사회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우울을 매개변인으로-," 인문사회21, 제9권, 제3호, pp.115-129, 2018. 

  6. 서연숙, "노인의 연령에 따른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노년학, 제36권, 제1호, pp.99-117, 2015. 

  7. 이지현, 강형곤, 정우식, 채우미, 지영건, "취업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서울지역 남성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8권, 제1호, pp.143-156, 2008. 

  8. 김애련,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9. 정태연, "한국노년학에서 다룬 노인의 심리적 특성-역사적 고찰과 미래의 과제," 한국노년학회, 제31권, 제3호, pp.1119-1134, 2011. 

  10. 박미진, "노인의 우울과 지지네트워크가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빈곤노인과 비빈곤노인의 비교,"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권, 제1호, pp.207-233, 2012. 

  11. 전명숙, 태명옥, "사회경제적 변인이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pp.323-333, 2016. 

  12. 신용석, 윤도연, 노재현, "노인의 자산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참여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2호, pp.216-250, 2017. 

  13. 문성미, "노인의 사회경제적 상태, 건강상태,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6호, pp.259-271, 2017. 

  14. 허원구, "노인의 삶의 만족도 발달궤적과 건강특성요인," 사회복지정책, 제44권, 제2호, pp.297-318, 2017. 

  15. 윤은경, "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 관계에서 대처유형의 매개효과," 임상사회사업연구, 제9권, 제9호, pp.43-61, 2012. 

  16. 정명희,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사회활동 참여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9권, pp.15-41, 2013. 

  17. 김학주, "노인가구의 경제적 변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강변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생명연구, 제46권, pp.297-349, 2017. 

  18. 홍주연, "성별에 따른 65세 이상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8호, pp.616-626, 2018. 

  19. J. R. Beard, M. Tracy, D. Valhov, and S. Galea, "Trajectory and Socioeconomic Predictors of Depression in a Prospective Study of Residents of New York City," Annuals of Epidemiology, Vol.18, No.3, pp.235-243, 2008. 

  20. 김안나, 최승아, "박탈과 우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사회복지정책, 제43권, 제1호, pp.81-105, 2016. 

  21. 김주희, 유정원, 송인한,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령의 조절효과 분석,"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3호, pp.42-70, 2015. 

  2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2018. 

  23. 정순둘, "저소득 노인의 가족동거여부와 삶의 만족도," 한국가족복지학, 제11권, pp.59-79, 2003. 

  24. B. L. Neugarten, R. J. Havighurst, and S. S. Tobin,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pp.134-143, 1961. 

  25. 박영석, "고령자의 사회적 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pp.726-739, 2013. 

  26. 정순둘, 김미리, "고령친화환경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연령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8권, 제2호, pp.121-141, 2017. 

  27. R. Kalish, Late Adulthood: Perspectives on Human Development, Cole Publishing Co., 1975. 

  28. 황혜인, 김연희, 이희선, "사회적 배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분석," 한국공공관리학보, 제32권, 제2호, pp.105-132, 2018. 

  29. S. L. McDowell and D. S. O'Neill, "Nursing Care of Elderly Persons throughout the Cancer Experience: A Quality of Life Framework,"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Vol.3, No.3, pp.517-531, 1987. 

  30. 이효재, 지순, 박민자, "한국 저소득층 노인생활에 관한 사회경제 및 공간문제 연구," 한국문화연구원논총, 제34권, pp.239-288, 1979. 

  31. 유주희, 주운현, "베이비부머들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분석-서울시 베이비부머를 중심으로-," 정책개발연구, 제16권, 제1호, pp.75-111, 2016. 

  32. 하춘광, "호주 시드니 거주 한인 중년층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연구: 문화적응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2호, pp.193-225, 2015. 

  33. 장명숙, 박경숙,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2호, pp.232-266, 2012. 

  34. 권석만, 긍정 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2008. 

  35. 전보영, 권순만, 조병희, 이태진, "산재장애인의 취업 및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장애발생 후 직업복귀 상황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제26권, 제2호, pp.199-222, 2016. 

  36. E. Diener, E. M. Suh, R. E. Lucas, and H. L. Smith,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 bull, Vol.123, No.2, pp.276-302, 1999. 

  37. K. M. DeNeve and H. Cooper, "The happy personality: A meta-analysis of 137 personality traits and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124, No.2, pp.197-229, 1998. 

  38. 장수지,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1호, pp.75-100, 2010. 

  39. 이상일, "상대적 박탈의 논리와 소득의 차원을 비교적으로 적요한 빈곤선의 연구," 민주사회와정책연구, 제13권, pp.185-225, 2008. 

  40. Townsend, Peter, Poverty in the United Kingdom: A Survey of Household Resources and Standards of Living, Penguin, 1979. 

  41. 임유진, 박미현, "1인가구 중년의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34권, 제1호, pp.187-206, 2018. 

  42. C. Oppenhieim(ed), An Inclusive Society: Strategy for Tackling Poverty, IPPR, 1998. 

  43. 강영호, 김수현, 김창엽, 성주헌, 윤태호, 정상훈, 조경애, 조홍준, 주영수, 허선, 빈곤과 건강, 한울, 2003. 

  44. 이웅, 임란, "박탈경험과 불평등인식의 관계연구: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4호, pp.93-122, 2014. 

  45. 윤태호, "지역 간 건강 불평등의 현황과 정책과제," 비판사회정책, 제30권, pp.49-77, 2010. 

  46. 고아라, 정규형, 신보경, "중장년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다인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59권, pp.55-79, 2018. 

  47. J. Berghman, Social Exclusion in Europe: Policy Context and Analytical Framework, Policy Press, 1995. 

  48. 문진영, "사회적 배제의 국가간 비교연구-프랑스, 영국, 스웨덴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3호, pp.253-277, 2004. 

  49. 김안나, "유럽연합(EU) 사회적배제 개념의 한국적 적용가능성 연구," 유럽연구, 제25권, 제1호, pp.351-379, 2007. 

  50. T. Berman and D. Phillips, "Indicators of social quality and social exclusion at national and community level,"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50, No.3, pp.329-350, 2000. 

  51. 허종호, 조영태, 권순만, "사회경제적 박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 제44권, 제2호, pp.93-120, 2010. 

  52. 탁장한, 박정민, "과중채무자의 사회경제적 박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48권, 제2호, pp.173-201, 2017. 

  53. 강동훈, 김윤태, "사회경제적 박탈 경험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6가지 박탈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8권, 제2호, pp.271-290. 2018. 

  54. A. Swigost, "Approaches towards Social Deprivation: Reviewing Measurement Methods," Bulletin of Geography Socioeconomic Series, Vol.38, pp.131-141, 2017. 

  55. S. Zhang, E. Wang, and Y. W. Chen, "Relative deprivation based on occupation: An effective predictor of Chinese life satisfaction,"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4, pp.148-158, 2011. 

  56. 정경희, 오영희, 이윤경, 오미애, 강은나, 김경래, 황남희, 김세진, 이선희, 이석구, 홍송이, 2017년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57. Barker, Robert. L.(ed)., Social Worker Dictionary(3rd ed), NASW Press, 2003. 

  58. 노병일, 손정환, "비정규직 근로자의 사회적 배제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건설직 일용근로자의 우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63권, 제1호, pp.113-135, 2011. 

  59. 최미영, 이승은, 박현식, "사회적 배제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취업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69권, pp.9-29, 2015. 

  60. C. H. Zastrow and K. Kirst-Ashman, Understanding human behavior and the social environment, Thomson Learning, Inc, 2004. 

  61. 윤현숙, 이강, 차민호, 권종희, "노년기 우울증에 대한 구조적 인생회고(Structured Life Review)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53권, pp.96-121, 2011. 

  62. 서홍란, 정윤경, 김희년, "신체적 질환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돌봄 행위의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제61권, pp.57-83, 2013. 

  63. S. E. Hobfoll, "Conservation of Resources: A New Approach at Conceptualizing Stress," American Psychologist, Vol.44, No.3, pp.513-524, 1988. 

  64. 강은나, 최재성, "노년기 우울의 다중변화궤적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34권, 제2호, pp.387-407, 2014. 

  65. 이현정, 항공사 승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일 몰입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박사학위, 2014. 

  66. 양영순, "남편의 은퇴준비도와 아내의 결혼만족 관계에 관한 연구: 은퇴자 아내가 인지하는 자원보존감과 스트레스 수준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27권, pp.5-34, 2009. 

  67. 이현정, "1991-2010년 신문기사 분석을 통해 살펴본 한국 우울증 담론의 변화와 그 문화적 함의," 한국문화인류학, 제l45권, 제1호, pp.43-88, 2012. 

  68. C. T. Kuo and T. I. Chiang, "The association between relative deprivation and self-rated health, depressive symptoms, and smoking behavior in Taiwan,"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89, pp.39-44, 2013. 

  69. 남기민, 박현주, "노인의 종교활동과 사회활동 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49권, pp.405-427, 2010. 

  70. 박선희, 서순림, 김홍순, "여성논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 생활만족도와의 관련 영향요인," 동서간호학연구지, 제21권, 제2호, pp.119-125, 2015. 

  71. 김남현, 정민숙,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광주시와 전남지역 노인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496-506, 2017. 

  72. 이현웅 "국내외 HRD 연구의 매개효과 분석 방법에 대한 고찰," HRD연구, 제16권, 제2호, pp.255-249, 2014. 

  73. 김수영, 허성희, 장수지,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1호, pp.88-124, 2018. 

  74. 박종옥, "경제적 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거주주택관련 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소비자문제연구, 제49권, 제1호, pp.97-129, 2018.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