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아동 어머니가 겪는 편견 및 차별경험 극복과정
The Process of Overcom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Mothers with Disabiliti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2, 2019년, pp.477 - 490  

오연수 (강원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가 겪는 편견 및 차별경험 극복과정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아동을 양육하면서 편견 및 차별경험을 겪고 있는 장애아동 어머니 9명을 선정하여 인터뷰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8년 10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되었으며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일대일 심층 면담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수집한 자료를 근거로 현상을 기술하고 결론을 도출하는 귀납적 접근 방식인 합의적 질적 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 CQR)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CQR 은 연구자들을 포함한 3명이상의 평정 자와 감사자로 구성된 합의 팀을 통해 연구의 전 과정에서 결과를 합의적으로 추론하게 되어 있어 연구자의 주관적인 오류를 방지하여 객관성과 일반화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장애아동을 양육하면서 편견 및 차별경험과 극복과정을 CQR 분석한 결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편견 및 차별 경험', '장애아동 어머니의 차별 경험의 극복' 2개의 영역을 도출되었고, 그에 따른 7개의 하위영역, 28개 의 범주로 최종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어머니가 장애아를 양육하면서 겪는 편견 및 차별경험은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을 비교하고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이다. 잘못된 지각, 편견, 고정관념, 거부감으로 장애아동을 바라보기 보다는 장애아동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태도로 장애아동으로 대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아동 어머니가 겪는 차별경험의 극복과정은 장애아동을 양육하면서 자신의 대한 인식의 심화 및 심리적 성장을 통해 타인에 대한 깊은 이해와 수용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제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문제 상황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이 생기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내적 성장은 사회구성원의 편견 및 차별 등에 어려움을 겪더라도 가족 내의 결속력과 응집력이 강화되는 동기로 작동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장애아동 어머니 심리적 안녕 과 장애아동이 사회구성원으로서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overcom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mothers with disabilities and looks for improvement points. It is interviewed 9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were experienc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while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주제어

표/그림 (1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고통을 수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어머니가 아버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녀양육에 더 많은 책임감을 부과 되는 상황에서 어머니는 지속적인 양육 스트레스, 절망, 불안, 우울 등으로 낮은 자존감을 가지며 대인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4-7]. 이처럼 장애자녀를 양육하는 것은 심리적 고통을 수반하는데, 여기엔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편견이 자리 잡고 있다.
장애아동의 부모들이 겪는 단계적 심리변화는 어떠한가? 장애아동의 부모들은 자녀의 성장과정에서 자녀가 장애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충격과 놀라움에 직면하게 되며 여러 단계의 심리적 변화를 겪는다. 일반적으로 충격, 부정, 분노, 교섭, 우울, 수용이라는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2][3]. 더군다나 아동의 장애를 수용하고 적응한 후에도 장애아동의 욕구를 받아들이기 위해 가족 구성원이 희생하고 변화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위기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스트레스를 경험하기도 한다.
CQR이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 중에서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 이하 CQR)을 선택하였다. CQR 은 수집한 자료를 근거로 하여 현상을 기술하고 결론을 도출하는 귀납적 접근 방식이며, 또한 연구자들을 포함한 3명이상의 평정 자와 감사자로 구성된 합의 팀을 통 해 연구의 전 과정에서 결과를 합의적으로 추론하게 되 어 있어 연구자의 주관적인 오류를 방지하여 객관성과 일반화를 가능하게 장점이 있다[22].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의 이러한 특징은 본 연구의 취지에 적합하다 사료되어 장애아동 어머니가 겪는 편견 및 차별경험의 내 용과 극복과정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 장애 출 현율, 장애인구 추정, 장애인(가구)의 생활실태, 복지욕구, 건강상태 실태조사, 2017. 

  2. S. Searl, Stages of parent reaction, Exceptional parent, Vol.8, pp.27-29, 1978. 

  3. C. Telford and J. Sawrey, The exceptional individual,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1. 

  4. 김미혜, 이동혁, "장애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대처자원 척도 개발," 한국재활심리학회, 제3권, 제2호, pp.49-75, 2017. 

  5. 이종신, 문혁준, "장애아 어머니의 역할행동 연구: 내외통제성, 심리적 안녕감, 우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제30호, 제3호, pp.5-24, 2010. 

  6. M. N. Bristol, J. gallafher, and E. Scholler, "Mother and father of young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nondisabled boys : Adaptation and Spousal Support Development Psychology, Vol.24, No.3, pp.189-200, 1988. 

  7. R. L. Silver and C. B. Wortman, Coping with undesirable life events, In J. Barbar & M. E. P. Seligman. (Eds.). Human helplessness: Theory and application, New york academic press, 1980. 

  8. 최미숙, 장애아동 가족의 심리적 경험과 상담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부와 모의 차이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2. 

  9. 윤종희, 김리진, 하수민, "장애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가족 기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탐색,"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4권, 제2호, pp.149-163, 2006. 

  10. 김영아, 미술치료를 활용한 지지격력 프로그램이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장애수용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1. 이경학, 발달장애인 부모의 양육부담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거주시설 이용만족도의 매개 효과 검증, 평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2. 박혜정, 김영숙, "자폐스펙트럼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행동의 관계 :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제22권, 제1호, pp.69-88, 2017. 

  13. J. Friendland and M. McCll, Disability and Depression; Some Etiological Consideration, Social Science Medicine, Vol.34, 1989. 

  14. 최정아, 일반아동 부모와 장애아동 부모의 심리적 안녕감 비교,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5. 박지연, 부모연계 격려 집단 상담이 초등학교 학교 학업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원, 2012. 

  16. 이진옥,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 감에 대한 대상관계 집단미술 치료사례 연구, 대구사이버대학교 휴먼케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7. 윤영희,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8. 김미애, 집단미술치료 경험을 통한 장애아 어머니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탐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9. 신현정, "발달장애아 어머니 양육체험의 교육적 가능성," 한국자폐학회, 제15권, 제1호, pp.179-202, 2015. 

  20. 김미진, 장애아 어머니의 삶: 동일시로부터 분리된 존재의 자유로움,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1. 장민경, 장애아가족 어머니의 장애아 차별 경험 극복과정에 관한 질적 분석: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2. C. E, Hill, B. J. Thompson, and E. N. Williams, S. A. Hess, and N. Ladan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load,"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2, pp.196-205, 2005. 

  23. D. R. Hawley, "Clinical Implication of Family Resilience,"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Vol.28, pp.102-103, 1996. 

  24. L. McAndrow, "Children with handicap and their families,"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p.227, 1976. 

  25. 서명석, 장애인 형제의 사회적응에 관한 가족탄력성 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26. J. M. Patterson, "Family Resilience to the Challenge of a Child's Disability," Pediatric annals, Vol.20, p.492, 1991. 

  27. J. Park, A. P. Turnbull, and Turnbull III. R. Impact of Poverty on quality of Life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ceptional Children, Vol.68, No.2, pp.151-170, 2002. 

  28. 안주선, 가족탄력성에 기반 한 집단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98-100, 2007. 

  29. 박은희,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사회 복지적 개입 방안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0. D. O'shea. L. O'shea, R. Algozzine, and D. Hammitte, Families and teacher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ollaborative orientations and responsive practices, Needham Height. MA; Allyn & Bacon, 2001. 

  31. F. Walsh, "A Family Resilience Framework: Innovative Practice Application," Family Relations, Vol.51, pp.12-130, 2002. 

  32. N. Stinett, Secrets of strong families, Boston: Little, Brown. pp.14-15, 1986. 

  33. 김계숙, 가족탄력성이 장애아동 가족의 가족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신학대학원, 2013. 

  34. P. J. Beckman, "Comparisons of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s of the effect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Vol.95, No.5, pp.585-595, 1991. 

  35. 김지숙,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및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6. 권진아,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37. 김명화, 홍혜영, "초심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교육 필요성에 대한 합의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573-586, 2017. 

  38. 김진옥, 정문주, "중.노년층 여성 초심상담자의 상담과 학업스트레스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호, pp.573-594, 2018. 

  39. 박아영, 장애아동 어머니의 가족기능과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공주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40. D. R. Hawley, "Clinical Implication of Family Resilience," The American Joutnal od Familoy Therapy, Vol.28, pp.102-103, 2000. 

  41. D. R, Hawley and L. Dehanna, "Towaed a Definition of Family Resilience: Integration Life-Span and Family Perspective," Family Process, Vol.35, pp.284-287, 1996. 

  42. J. M. Patterson, "Family Resilience to the Challenge of a Chid's Disability," Pediatric annals, Vol.20, p.492, 1976. 

  43. 이은혜, 대학생의 장애인 접촉 경험이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2015. 

  44. 오세철, "장애자녀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 및 만족에 미치는 관련 변인 분석 연구," 한국지체부 자유아동교육학회지, 제48권, pp.15-29, 200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