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주제분석을 통한 사회복지 종사자의 감정노동 경험 연구: P시 사례를 중심으로
Study on about Emotional Labor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through Thematic Analysis : Focusing on Social Workers in P City Cas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3, 2019년, pp.31 - 47  

서보람 (평택복지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공공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 종사자 8명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에 대한 인터뷰한 결과를 주제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개의 범주와 22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6개의 범주는 '분풀이 대상으로서의 직장생활', '살얼음판에 놓여있음', '안전하지 않은 일터', '생활세계를 잠식하는 감정노동', '감정의 상함, 이겨내야 하는 난제', '감정노동, 함께 가야 하는 숙명'이다. 사회복지 종사자들은 실천현장에서 이용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 속에서 감정노동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며 폭언과 욕설을 듣기도 한다. 또한 실수를 용납할 수 없는 업무환경 속에서 업무압박감을 경험하며 안전에 취약한 근무환경 속에서 자신의 안전은 스스로 지켜야 한다. 감정노동 경험 속에서 감정노동은 종사자의 신체,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소진을 경험한다. 감정노동은 해결될 수 없는 난제이며 참고 감내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종사자의 안전보장을 위한 대책마련, 종사자 지원을 위한 거점시설 마련, 이용인, 보호자, 시민에게 사회복지 종사자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인권교육 실시, 슈퍼비전 체계마련, 감정노동 수준이 높은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신건강관리 체계 마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emotional labor experiences of 8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public institutions by thematic analysis method with interveiws with them. Six categories and Twenty two themes concerning the emotional labor experience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Six categ...

주제어

표/그림 (9)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삼각검증법이란? 심층면접 분석 작업이 완료된 후, 분석 결과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삼각검증법(triangulation)을 실시하였다. 삼각검증법은 질적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다수의 연구 조사자나 참여자 등 다수의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결과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42]. 질적 연구에서 삼각검증법은 자료에 나타난 현상을 바라보는데 있어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며 신뢰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감정노동 정도가 심각할 수록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이상 증상은? 먼저 감정노동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다음과 같다. 감정노동 정도가 심각할수록 순환기, 소화기 관련 증상이나 두통 등 신체적 기능의 이상 증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30]. 감정노동은 우울, 신체적 불편감 등의 부정적 건강 행위를 증가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8][30-32].
사회복지 종사자들이 퇴사를 쉽게 할 수 없는 이유는? 그러나 종사자들은 이직이나 일을 그만두 고 싶은 생각이 있어도 쉽게 실행할 수 없다. 나이가 많아 이직을 하기 어렵거나, 이미 오랫동안 같은 직종에 일을 해왔기 때문에, 다른 직종의 일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고 그에 대한 경력도 없다. 같은 직종의 기관으로 이직을 하더라도 새롭게 적응하는 것이 염려된다.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일을 해야 하는 상황이므로 종사자들이 이직이나 퇴사를 쉽게 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공공기관의 사회복지 종사자들은 외적으로 좋은 이미지의 직업이고, 시험을 통해 힘들게 들어왔기 때문에 쉽게 그만둘 수 없는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현남숙, "감정노동의 상업화와 진정성의 문제," 시대와 철학, 제25권, 제3호, pp.105-129, 2014. 

  2. 한상근, "감정노동의 직업적 특성에 관한 연구," 노동연구, Vol.32, pp.5-27, 2016. 

  3. 최혜경, 사회복지실천론, 서울: 학지사, 2010. 

  4. 문영주,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6권, 제3호, pp.283-315, 2014. 

  5. 김희경, 고재욱,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17호, pp.55-79, 2005. 

  6. 이새롬, 박재오, 박재찬, 감정노동 근로자의 감정노동 실태, 위험요인, 건강영향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5. 

  7. 윤진한, 이원강, "감정노동 종사자의 자기효능감과 감정부조화의 관계에서 감정노동전략의 매개효과," 관광연구저널, 제31권, 제2호, pp.189-204, 2017. 

  8. 정명희, 김현주, "화장품 판매직 여성근로자의 감정노동과 우울증상과의 관련성: 정신적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오일 및 응용과학 학회지, 제35권, 제1호, pp.1-11, 2018. 

  9. 김수연, 장세진, 김형렬, 노재훈, "서비스직 근로자의 감정노동과 우울수준,"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제14권, 제3호, pp.227-235, 2002. 

  10. L. M. Schaible and V. Gecas,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and Value Dissonance on Burnout Among Police Officers," Police Quarterly, Vol.13, No.3, pp.316-341, 2010. 

  11. 박연옥, 안성식, "감정노동이 서비스 제공수준,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제29권, 제6호, pp.167-186, 2015. 

  12. 박석희, 송윤정, "조직원들의 감정노동의 직무성과와의 관계,"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20권, 제1호, pp.1-24, 2013. 

  13. 김왕배, 이경용, 이가람, "감정노동자의 직무환경과 스트레스," 한국사회학, 제46권, 제2호, pp.123-149, 2012. 

  14. D. P. Bhave and T. M. Glomb, "The Role of Occupational Emotional Labor Requirements on the Surface Acting-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Journal of Management, Vol.42, No.3, pp.722-741, 2016. 

  15. 박찬임, 이승렬, 신현구, 강병식, 문무기, 김종진, 이정훈, 서비스 산업의 감정노동 연구: 판매원과 전화상담원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12. 

  16. 송현진, 조윤직, "감정노동이 사회복지사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제54권, 제3호, pp.137-173, 2016. 

  17. 김정오, 문희, 박옥임,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1호, pp.302-334, 2018. 

  18. 권순만, 전순득, 고재욱,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험요인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16호, pp.83-100, 2015. 

  19. 오창택, "사회복지종사자의 감정노동수행전략이 이직의도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감정고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46권, 제4호, pp.53-78, 2012. 

  20. 박아가페, 박창우, "학교사회복지실천가의 감정노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66권, pp.261-295, 2018. 

  21. 최희경, "노인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에 대한 연구: 감정노동으로서의 일반적 특징과 차별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29권, pp.113-138, 2011. 

  22. 김송이, "돌봄서비스 노동자들의 노동경험 연구: 감정노동과 관계적 노동 속성을 중심으로," 여성연구, 제82권, 제1호, pp.103-136, 2012. 

  23. 김소정, "동사무소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 딜레마," 사회복지연구, 제46권, 제1호, pp.315-342, 2015. 

  24. 김민주, "감정노동의 재개념화에 관한 논의," 경영컨설팅연구, 제17권, 제2호, pp.73-87, 2017. 

  25. A. R. Hochschild,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26. 신경아, "감정노동의 사회학적 탐색,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제29권, pp.180-204, 2016. 

  27. 정이환, "서비스산업화와 노동의 변화, 한국사회학," 제38권, 제4호, pp.159-186, 2004. 

  28. 이항아, 윤명숙,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우울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4권, 제1호, pp.48-75, 2016. 

  29. 고재욱,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9호, pp.65-94, 2013. 

  30. 이복임, "감정노동 종사자의 건강모형," 한국산업간호학회지, 제16권, 제1호, pp.78-88, 2007. 

  31. 구정순, 김선호,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건강증진행위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9권, 제5호, pp.225-235, 2018. 

  32. 이정은, 신재은, 김명숙, 조문한, 이인재, "감정노동자의 심리적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집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 스트레스연구, 제24권, 제1호, pp.35-45, 2016. 

  33. C. W. Hsieh, "Burnout Among Public Service Workers: The Role of Emotional Labor Requirements and Job Resources,"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Vol.34, No.4, pp.379-402, 2014. 

  34. 이선미, 최항석, "광주지역 사회복지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지역산업연구, 제35권, 제1호, pp.127-148, 2012. 

  35. Y. J. Cho and H. J. Song, "Determinants of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Trust," Public Personnel Management, Vol.46, No.1, pp.41-65, 2017. 

  36. K. M. Eisenhardt, "Building Theories from Case Study Research,"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4, No.4, pp.532-550, 1989. 

  37. R. K. Yin,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5th ed, Sage Publication, 2014. 

  38. S. B. Merriam,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Jossey-Bass, 1998. 

  39. V. Braun and V. Clarke,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Vol.3, No.2, pp.77-101, 2006. 

  40. A. J. Hatch, 진영은 역, 교육 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 :질적 연구 수행방법의 단계별 안내, 서울: 학지사, 2008. 

  41.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 2012. 

  42. M. Q. Patton,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Sage Publication, 2002. 

  43. S. B. Merriam and E. J. Tisdell, Qualitative Resea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Jossey-Bass, 2016. 

  44. 경기도교육청, https://edup.goe.go.kr/views/cms/eapc/i1_001/i2_001.jsp, 2018.12.10. 

  45. 문현주, 신혜정, 강방글, 권지성,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의 감정노동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6권, 제1호, pp.113-146, 201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