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악치료 인턴들의 치료적 노래만들기 경험에 대한 주제분석: 포커스 그룹을 중심으로
Thematic Analysis of the Therapeutic Song Writing Experience of Music Therapy Interns: A Focus Group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7 no.1, 2020년, pp.1 - 24  

박찬양 (헤브론선교대학교) ,  김진아 (전주대학교 문화융합대학 예술심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 인턴들의 치료적 노래만들기 경험을 심층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음악치료 인턴 다섯 명을 대상으로 경험적 음악치료 집단의 일환으로 치료적 노래만들기 워크샵을 240분씩 총 2회 진행한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들의 경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자료를 Braun & Clarke(2006)의 방법으로 주제분석하여, 총 6개의 주제와 18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6개의 주제는 '치료적 노래만들기에 대한 선입견', '의미있는 작사 과정', '작곡에서의 도전적 경험', '치료적 노래만들기 기법의 구조성 경험', '음악을 통한 자기인식의 발전', '집단작업을 통한 관계적 경험'으로 나타났다. 음악치료 인턴들은 치료적 노래만들기의 단계적 구조를 통해 집단의 다양한 의견을 조율하고 소통하면서 자신들의 이야기를 하나의 노래로 완성하였다. 이를 통해 자신들의 약점이라 느꼈던 작곡에 대한 부담감을 극복하고, 스스로의 욕구와 필요성을 인식하며 개인적 성장을 경험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음악치료 인턴은 치료적 노래만들기 과정에 참여하면서 인턴훈련 과정에서 직면하는 도전을 규명할 수 있었고 더 나아가 개인적 성장과 전문가로서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ternship is essential for the music therapy curriculum and affords interns the opportunity to apply their classroom-based knowledge and skills to real-world clinical settings. However,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e internship can result in interns undergoing trial-and-error learning, interper...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31)

  1. Baker, F. A., & Krout, R. E. (2011). Collaborative peer lyric writing during music therapy training: A tool for facilitating students' reflections about clinical practicum experiences.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20(1), 62-89. 

  2. Baker, F. A., & Wigram, T. (2008). Songwriting: Methods, techniques and clinical applications for music therapy clinicians, educators and students (M. H. Choi, Trans.). Seoul: Hakjisa. (Original work published 2005) 

  3.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4. Bruscia, K. E. (2003). Defining music therapy (B. C. Choi, Trans.). Seoul: Hakji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8) 

  5. Cho, K. R. (2010). A phenomenological research about music therapists' motivation for choosing and maintaining the path of music therapi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6. Choi, H. R. (2009). The counselor's self-care.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30(1), 1-19. 

  7. Chong, H. J. (2015). Music therapy: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2nd ed.).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8. Connelly, L. M. (2015). Focus groups. Medsurg Nursing, 24(5). 369-371. 

  9. Corey, M. S., Corey, G., & Corey, C. (2013). Groups: Process and practice. Pittsburgh, PA: Cengage Learning. 

  10. Creswell, J. W., & Poth, C. N. (2016).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CA: SAGE Publications. 

  11. Guba, E. G., & Lincoln, Y. S. (1989).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CA: SAGE Publications. 

  12. Jackson, N. A., & Gardstrom, S. C. (2012). Undergraduate music therapy students' experiences as clients in short-term group music therapy. Music Therapy Perspectives, 30(1), 65-82. 

  13. Jeong, W. J. (2013). A study on self-empowerment through a vocal improvisation of trainees specialized in music therap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4. Jin, S. J. (2005). The effect of musical application to develop the emotional expression of mentally retarded adults.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2(1), 17-33. 

  15. Kang, H. J., Lee, H. S., & Choi, H. N. (2016). Concept mapping on self-care perceived by counselor.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7(2), 25-45. 

  16. Kim, D. M. (2009). The relationship among shame, attachment style, self-efficacy, emotional attachment, and evaluation anxiety in music therapy group supervis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7. Kim, G. M., & Chung, N. W. (2004). Novice therapists' difficulty experienced in counseling session and coping process: A qualitative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6(1), 1-20. 

  18. Kim, H. J., & Kim, C. N. (2001). Review of literatures on focus group method in qualitative study.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5(1), 1-21. 

  19. Kim, S. Y. (2013). The study on music therapy student's current additional curricular training and need for professional compete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Kim, Y. S., Jeong, J. H., & Ko, M. H. (2013). A qualitative study of Korean music therapist's turnover experiences. The Arts in Psychotherapy, 40(5), 449-457. 

  21. Kim, Y. S. (2018). Music and imagery as a method for mindfulness: Exploration of music therapy interns' experiences.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5(2), 93-114. 

  22. Kruger, R. A., & Casey, M. A. (2015).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5th ed.). London: SAGE Publications. 

  23. Lee, J. Y. (2010). A phenomenological research about music therapist's experience in an internship (Unpublished ma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4. Maguire, M., & Delahunt, B. (2017). Doing a thematic analysis: A practical, step-by-step guide for learning and teaching scholars. The All Ireland Journal of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9(3), 3351-33514. 

  25. McCaffrey, T. (2013). Music therapists' experience of self in clinical improvisation in music therapy: A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The Arts in Psychotherapy, 40(3), 306-311. 

  26. Nam-Koong, J. S. (2005).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whether a graduate student of music therapy majored in music at undergraduate school or not on the responses to curriculum in the graduate school of music therap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oung Women's University, Seoul. 

  27. Rabiee, F. (2004). Focus-group interview and data analysis. Proceedings of the Nutrition Society, 63(4), 655-660. 

  28. Shin, K. R., Ko, M. S., Kong, B. H., Kim, K. S., Kim, M., Kim, E., ... & Cho, M. Y. (2004).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9. Then, K. L., Rankin, J. A., & Ali, E. (2014). Focus group research: What is it and how can it be used? Canadi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4(1), 16-22. 

  30. Yoo, K. S. (2019). A study on the meaning of counselor's self-reflective witnessing for safe space: From the point of view of authentic movement of Jung. The Journal of Welfare and Counselling Education, 8(1), 239-255. 

  31. Wheeler, B. L. (2000). Music therapy practicum practices: A survey of music therapy educators. Journal of Music Therapy, 37(4), 286-3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